짜샤
이찬석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고등학생인 성근이는 어느 날 ‘짜샤’가 되어 버렸다. 이제 그는 그저 ‘짜샤’에 불과하다. 사실, 성근도 초등학교 시절 학교 짱이었다. 아버지가 조직 폭력배 두목이었기에 아버지로부터 싸움을 배운 덕분이다. 물론, 아버지는 진정한 건달이었기에, 약한 사람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싸움을 가르쳐줬고, 그로 인해 결국 성근은 학교 짱이 된다. 그 덕분에 중학교에 올라간 그를 건드는 친구는 아무도 없었고, 이제 외교관의 꿈을 품고 열심히 공부하는 성근이었지만, 어느 순간 악마와 같은 동식의 표적이 됨으로 폭력의 제물이 되고 만다.

 

과연 성근은 ‘짜샤’에서 자신의 이름을 되찾을 수 있을까? 그리고, 동식의 표적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까?

 

결론을 이야기하면 그럴 수 없다. 물론, 성근은 동식의 표적에서 벗어난다. 하지만, 이는 스스로 자신의 목숨을 끊음으로 인해서다.

 

이 소설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이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다. 사실 쉽게 읽히는 문체이지만, 소설을 끝까지 읽기는 쉽지 않다. 너무 마음이 아프고, 때론 너무 안타깝고, 때론 너무 화가 나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학교폭력에 대한 소설이다(작가는 왕따에 대한 소설이라고 말하지만, 왕따보다는 학교폭력이 맞을 듯싶다). 먼저 폭력의 주체인 동식에게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이런 녀석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모른 척 방관해야 하나? 아님, 더 크고 강한 폭력으로 짓눌러야 하나? 그것도 아니면, 계도에 최선을 다해야 할까? 쉽지 않은 문제다. 그 폭력성에 대해 분노함과 동시에 그렇게 살아가는 인생이 불쌍하다. 아울러, 그 폭력의 끔찍함에는 치가 떨리기도 한다.

 

작가는 무엇보다 폭력의 대상이 된 자들의 심리 상태에 주목한다. 무엇보다 그 두려움, 용기를 잃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우리는 폭력 앞에 왜 그런 반응들을 보였을까 싶은 생각들을 할 수 있지만, 실상 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는 그 두려움 때문에 용기를 내기가 쉽지 않음을 작가는 이야기한다.

 

그럼에도 처음 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곧장 누군가에게 도움의 손길을 요청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다. <왕따줄이기국제연대> 창립자인 작가 역시 이것이 최우선적인 대안임을 이야기한다.

 

내가 만약 처음 그에게 학대당할 때 반발을 하거나 누군가에게 고해바쳤다면 그는 내가 방어 능력이 있는 줄 알고 더는 나를 물고 늘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니, 이렇게까지 참담한 지옥의 나락으로 떨어뜨려 나를 괴롭히지는 않았을 것이란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172쪽)

 

처음 용기를 내지 못하면, 폭력이 진행될수록 용기를 내는 것은 쉽지 않음을 소설은 보여준다. 두려움, 분노, 체념의 순으로 진행됨으로 나중에는 영원히 폭력의 피해자로 머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처음 용기를 내어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성근이 용기내지 못한다 할지라도, 누군가 먼저 성근을 향해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성근의 엄마 역시 더 적극적으로 나섰더라면. 그리고 성근의 담임의 무감각에도 화가 난다. 분명 이상한 낌새를 느낄 수 있음에도 본인에게 귀찮은 일이 생길까 모른 척 하는 그 모습은 사실 직무유기를 넘어서서 폭력의 동조자일뿐더러 또 하나의 폭력의 주체라는 사실을 알았으면 한다.

 

이 땅의 청소년들이 더 이상은 ‘짜샤’로 남지 않고, 자신의 꿈을 향해 마음껏 나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울러 힘이 약하다고 해서 자신의 자존감을 상실하게 되는 그런 안타까운 현실이 더 이상은 우리의 것이 아니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