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조선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8
김소연 지음 / 비룡소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타인의 시선으로 날 바라볼 때, 때로는 그 시선이 자신을 스스로 바라보는 것보다 정확할 때가 있다. 무엇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외국인의 시선으로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것 역시 필요하다. 청소년역사소설인 『굿바이 조선』은 이처럼 외국인의 시선으로 우리의 역사를 바라본 장편소설이다.

 

때는 1905년, 열강이 조선을 호시탐탐 노리던 시기, 러시아의 귀족 장교인 알렉세이는 조선탐사단의 일원으로 조선을 찾아온다. 물론, 이들이 조선을 탐사하는 목적은 조선을 삼키기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한 것. 이 탐사단의 분대장 가운데 하나인 알렉세이는 자신의 분대원인 비빅, 니콜라이와 함께 조선을 탐사하기 시작한다. 비빅은 다소 다혈질의 거구 퇴역 군인이며, 통역관인 니콜라이는 조선인으로서 러시아에 귀화한 사람이다. 이 세 사람은 탐사여행에 필요한 말을 구하던 중 근석이란 소년과 함께 여정을 떠나게 된다. 과연 이들의 탐사를 통해 발견되어지는 조선은 어떤 모습일까?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이 소설은 바람 앞의 등불과 같던 조선을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소설이다. 그렇다면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조선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상당히 무능하며, 본질을 상실한 정부의 모습이다. 조선에 대해 탐문하던 알렉세이에게 한 러시아 상인은 조선인들은 마치 백조와 같다고 말한다. 백조가 사냥꾼에게 사냥을 당하듯이 러시아 수비대에 의해 조선인들이 사냥당하고 있다는 것. 이에 조선의 정부는 왜 가만히 있느냐는 알렉세이의 질문에 러시아 상인은 이렇게 말한다.

 

작금의 코레야라는 국가가 그렇습니다. 사살 사건이 지방 정부에 보고된다 한들 그에 대한 항의나 재발 방지 요구 따위는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그럴 만한 힘이 없으니까요. 단적으로 말해 코레야 정부는 자국민을 지킬 힘도 의지도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30쪽)

 

자국민을 지킬 힘도 없을뿐더러 의지도 없다는 평가가 우릴 부끄럽게 한다. 더 서글픈 것은 이런 모습이 100여년이 지난 지금도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는 점 아닐까?

 

뿐만 아니라 동학군을 외세의 힘을 빌려 척결하려는 조선의 모습을 바라보는 외국인의 시선 역시 우릴 부끄럽게 한다.

 

알렉세이 두 눈이 커졌다.

“동학군은 코레야 사람 아닙니까?”

“조선 사람 맞지요.”

“그런데 지금 외국 군대에게 자국의 백성을 학살해 달라고 하시는 겁니까?”

“왕조에 반역하고 사민평등을 내세우며 극악한 도적질을 일삼는 동학당 따위는 조선 백성이 아니오. 도적 떼일 뿐이오. 반상의 질서를 무너트리고 양반을 능멸하는 저런 무리는 하루 속히 이 땅에서 쓸어 버려야 하오.”(109-110쪽)

 

반상의 질서가 더 중요하고, 민중은 함께 가야할 대상이 아니라고 여기는 양반의 사고구조에 화나면서도 한편으론 부끄럽기만 하다.

 

외국인의 눈에 비친 조선의 모습은 이처럼 너무나도 부끄러운 모습이었다. 조선 사람들이 순하디 순한 백조가 되어 수많은 외세의 폭력에 제물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다름 아닌 이러한 양반과 정부의 왜곡된 시선, 본질을 상실한 모습 때문이다. 그렇기에 외국인의 눈에 비친 조선은 백조에 불과하다. 겉으로는 고고한 척 하지만, 아무런 힘도 없는 불쌍한 동물이 조선의 현실이었던 거다.

 

하지만, 이런 시선은 조선에 직접 들어와 탐사하는 가운데 점차 변하게 된다. 힘없던 백조에서 절개를 잃지 않고 용감하게 역사에 맞서는 백두산 호랑이로 말이다.

 

그리고 이렇게 시선이 변하는 이유는 조선 안에서 살아가는 민중들의 삶을 경험하였기 때문이다. 그 안에서 꿈틀대며 깨어나고 있는 민중들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모습이 부정부패의 온상지인 탐관오리들의 창고를 터는 동학군의 모습이며, 외세에 대항하여 싸우는 의병대의 모습 등이다. 아울러 이런 모습들을 통해, 새롭게 깨어나는 근석 역시 여기에 속한다. 그저 시골마을의 소년에 불과했던 근석은 알렉세이 일행과 함께 하는 가운데, 깨어나게 된다. 근석의 고백을 보자.

 

나는 지금껏 조선이 임금님 한 분의 나라인 줄만 알고 살았어요. 그래서 한 번도 산과 들이 내가 지켜야 할 내 것이라고 여겨본 적도 없고요. 그런데 대장님과 여행을 하다 보니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깨닫게 되었어요. 조선은 임금 한 사람만의 나라가 아닌 이 땅에 사는 모든 조선인의 나라라는 걸 말이에요. 조선이 백성의 나라가 아니라면 왜 의병들이 목숨을 버려가며 적군과 싸우고 동학당들이 탐관오리의 사창을 털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겠어요?(250쪽)

 

결국 작가는 『굿바이 조선』이란 소설을 통해, 우리의 민중이 이처럼 깨어나길 바라는 것이 아닐까? 그럼으로 우리 조선(대한민국)이 여전히 오늘날 이 땅의 열강들에게 백조에 불과한 모습에 머무는 것이 아닌 이제는 호랑이의 모습으로 열강의 눈에 비춰지길 소망하는 것이 아닐까?

 

아울러 이 소설의 또 하나의 의미는 이처럼 백조에 불과했던 조선이 호랑이의 모습으로 열강의 눈에 비춰질뿐더러, 열강의 시선이 우리 조선의 시선과 동일시된다는 점이다. 바로 이 소설의 주인공인 알렉세이가 그렇다. 사실 알렉세이가 조선 탐사단에 들어오게 된 이유는 자신의 민중을 보호하기보다는 민중을 학살하는 러시아 정부에 대한 회의였다. 이제 알렉세이는 시골 아이 근석이 세상을 향해 눈을 뜨는 모습을 통해, 이젠 도망치지 않고, 근석처럼 자신의 고국을 위해 뭔가 해야 할 바를 찾아 떠나게 된다. 이런 모습 역시 타자의 눈으로 자신들을 바라봄일 것이다. 외국인의 눈으로 조선을 바라보는 것에서 이 소설은 그치지 않고, 조선을 통해, 다시 자신들을 바라보게 됨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선의 확장은 오늘 우리 독자들에게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역시 이 소설을 통해, 오늘 우리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면 좋겠다. 그리고 근석과 알렉세이, 아울러 니콜라이가 자신들의 조국을 위해 나아가는 것처럼 오늘 우리 역시 조국의 멋진 미래를 위해 나아갈 수 있게 되길 소망한다. 물론,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