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과 노니는 집』, 언제 봐도 제목이 참 좋다. 이 책 제목은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홍 교리의 집 사랑채에 걸려 있는 현판 “서유당(書遊堂)”이란 이름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이 이름은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장이가 차리게 되는 책방의 이름이 되기도 한다. 언문으로 “책과 노니는 집”

 

책과 노니는 집이라니 책을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파라다이스와 같은 공간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 동화의 내용은 파라다이스를 가는 길이 너무 험하고 고단하게만 보인다. 장이를 휘감고 있는 아픔과 눈물,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안타까움이 가득하다.

 

필사장이 아버지를 둔 장이. 장이의 아버지는 서학(천주학)의 책을 필사하였다가 천주학쟁이로 몰려 매질을 당하게 되고, 이 일로 인해 결국 죽음을 맞게 된다. 이런 억울한 아버지의 죽음 뒤 홀로 남겨진 장이는 아버지가 섬겼던 최 서쾌의 책방에서 심부름을 하며 지내게 된다. 책을 필요로 하는 분들에게 책방의 책을 전해주는 일을 하는 장이. 그런 가운데, 장이는 홍 교리의 집에 책을 전하러 가게 되고 이 때, 처음 “책과 노니는 집”, ‘서유당’을 구경하게 된다. 온통 책으로 가득한 곳. 그곳에서의 홍 교리와의 몇 차례의 대화는 장이를 언제나 행복하게 만든다. 비록 엄청난 번민과 어려움이 장이를 괴롭히고 있지만, 그럼에도 이곳, ‘책과 노니는 집(서유당)’에서의 홍 교리와의 만남은 장이를 행복하게 한다. 그러니, ‘책과 노니는 집’은 어쩌면, 장이에게는 행복의 공간, 이상향의 공간이 아닐까 싶다.

 

이곳, ‘서유당’에서 홍 교리가 장이에게 하던 말 가운데 인상적인 대화가 나온다.

 

“책은 읽는 재미도 좋다만, 모아 두고 아껴 두는 재미도 그만이다. 재미있다, 유익하다 주변에서 권해 주는 책을 한 권, 두 권 사 모아서 서가에 꽂아 놓으면 드나들 때마다 그 책들이 안부라도 건네는 양 눈에 들어오기 마련이지. 어느 책을 먼저 읽을까 고민하는 것도 설레고, 이 책을 읽으면서도 저 책이 궁금해 자꾸 마음이 그리 가는 것도 난 좋다. 다람쥐가 겨우내 먹을 도토리를 가을부터 준비하듯 나도 책을 차곡차곡 모아 놓으면 당장 다 읽을 수는 없어도 겨울 양식이라도 마련해 놓은 양 뿌듯하고 행복하다.”(78쪽)

 

이런 홍 교리의 말이야말로 어쩌면 책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의 마음이 아닐까 싶다. 책을 재미나게 읽으면서도, 다음에 읽을 책을 궁금해 하기도 하고, 바라보고 흐뭇해하기도 하는 모습은 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공감할 마음이 아닐까? 집 안 가득한 책들을 바라보면 흐뭇한 마음이 들기도 하고, 또한 어느 책을 볼까 이곳저곳 기웃거리는 재미, 그리고 처음 보는 책이 서가에 꽂혀 있어 펼쳐보곤 아하~ 하며 가물거리는 기억을 떠올려보는 재미란 책을 많이 소장한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이 아닐까? 물론, 때론 너무 많은 책이 짐이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말이다. 아무튼 홍 교리의 말에 공감 한 표를 찍어본다.

 

이처럼, 이 책은 책을 사랑하는 마음, 책이 주는 기쁨을 물씬 느낄 수 있는 동화다. 하지만, 또 다른 주요 주제는 천주교 박해로 인해 겪게 되는 장이의 아픔과 천주교 박해로 인한 긴장감을 그려내고 있다. 단지, 천주학 책을 필사한 것뿐이지만, 천주학쟁이로 몰려 매를 맞은 억울한 아버지. 그리고 장이를 괴롭히던 허궁제비의 문제도 해결되고 이젠 행복한 일만이 가득할 것 같았지만, 또 다시 시작된 위기 역시 천주교박해 때문이다. 장이의 의지처인 최 서쾌, 장이를 평안케 해주는 어른인 홍 교리, 천사와 같은 미적 아씨 등이 모두 또 다시 천주교박해로 인해 긴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천주교박해 사건을 통해, 특히 장이 아버지의 말을 통해, 오늘 우리에게 말한다. 단지 평등을 이야기 하고, 죄 짓지 않고 착하게 살아 죽어 천당에 가겠다는 것이 어찌 죄가 될 수 있느냐고 말이다. 이는 천주교박해 사건을 통해, 언제나 이 땅에 존재하는 부조리를 향한 고발이 아닐까?

 

“양반이건 상놈이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천히 여기는 백정, 망나니건 모든 사람은 다 똑같이 귀하고 평등하다는구나. ... 천주학 책을 옮겨 적으며 아비는 손이 떨리고 마음에 비바람이 일었다. 우리 같은 것들은 날 때부터 천한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하더구나. 조선에서는 천지개벽할 소리지만 서양에서는 모두 그렇게 믿는다더라. 천주님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90쪽)

 

이것이야말로 참 지혜임을 작가는 오늘 우리에게 말하는 것이 아닐까? 수많은 책과 수많은 지식이 불평등한 세상을 고착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됨은 가짜라고. 참 공부는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이것이 천주교박해 사건을 통해, 이 이야기가 오늘 우리에게 속삭이는 소리가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 또 하나 발견하는 주제는 꿈을 향해 나아가는 멋진 모습이다. 이는 장이의 아버지에게서 시작하여 장이를 통해 이루어진다. 장이의 아버지는 억울한 매질로 인해 죽어가면서도, 약값으로 돈을 낭비하지 않길 바란다. 왜냐하면, 그 돈은 아들과 함께 책방을 차려 누릴 꿈의 쌈짓돈이었기 때문이다.

 

“장아, 아비는 책방을 꾸미려 한 푼 두 푼 모은 돈을 약값으로 헐고 싶지 않다. 책방을 차려 오래된 종이 냄새를 맡고, 새로 들여온 책의 자리를 찾아 주고 싶구나. 단골손님이 오면 이야기책도 소개해 주고... 그렇게 사는 게 아비 꿈이다.”(77쪽)

 

약보다는 꿈이 먼저였던 아버지. 그 아버지의 꿈은 누군가에게 동무가 될 이야기를 필사하는 것, 그리고 그 이야기책을 사람들에게 소개해 주는 것이었다. 이 꿈은 장이에게로 계대하게 되며, 결국에는 “책과 노니는 집”이란 공간으로 실현된다.

 

우리에겐 이런 꿈이 있나 생각해 본다. 그것을 위해선 무엇도 희생할 수 있는 그런 꿈. 더군다나 나에게서 끝나는 것이 아닌, 계대하여 품게 되는 꿈이라면. 이런 꿈을 갖는다는 것은 큰 축복이란 생각을 해본다. 비록 꿈을 향해 나아갈 때, 장이처럼 애끓는 아픔이 있다 할지라도 말이다.

 

오늘 우리 사회가 책을 통한 기쁨이 넘쳐나며, 꿈을 향한 설렘이 가득하고, 모든 이들이 평등을 누리는 진정한 “책과 노니는 집”이 되길 『책과 노니는 집』을 읽고 난 후 소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