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정신의 확산 바다로 간 달팽이 15
박영란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나’는 거구 여학생이다. 게다가 하나의 ‘전설’을 남긴 친구다. 중2때, 남학생 5명과 5:1로 싸워 이긴 친구다. 그 뒤로는 아무도 ‘나’의 곁에 오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언제나 혼자다. 그런 ‘나’에게 매일 한 번씩 찾아오는 친구가 있다. 바로 조. 조는 학교에서 쎈캐(쎈 캐릭터)다. 예쁘장하게 생겼지만, 한 마디로 노는 아이들의 리더다. 언제나 오싹한 기운을 몰고 다니는.

 

그런 조는 점차 ‘나’를 자신의 일에 끌어들인다. ‘나’는 조가 노는 세상에 관심이 없지만, 그럼에도 조를 좋아하기에 점차 조금씩 조의 일에 협조한다. 새롭게 세력을 만들어 조의 세력 ‘구가다’를 위협하는 ‘신가다’와 싸울 때, 함께 해 줄 것을 요청하자, 그 일이 싫으면서도 ‘나’는 참여한다. 이런 식으로 ‘나’는 조의 세상에 이런 저런 모습으로 발을 들이게 된다. 과연 ‘나’는 조와의 관계를 어떤 모습으로 이어갈 것인가?

 

이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못된 정신의 확산’ 첫 번째 모습이다. ‘나’는 조의 세상에 조금씩 발을 딛는다. 그리고 조 역시 자신의 세력 확장을 위해 ‘나’를 이용하고, 가까이 접근한다. 폭력을 싫어하고 노는 것을 싫어하는 줄을 알면서도 자꾸 ‘나’를 끌어들이려는 조의 모습이야말로 ‘못된 정신의 확산’이다.

 

그리고 이 소설 속에서 작가가 말하는 ‘못된 정신의 확산’ 두 번째의 모습은 재개발병이다. 재개발이 답이 아님을 알고 있음에도 이런저런 이유로 재개발에 목을 매는 모습들. 재개발이 많은 소시민들 삶의 터전을 보상이라는 명목으로 빼앗아버리는 행위임에도 가진 자들은 더 많은 이익을 위해 재개발을 선호한다. 그리고 그 일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들은 보다 더 나은 환경으로 변한다는 논리에 찬성한다. 또한 그렇게 새로워진 공간에 재개발에 반대 의사를 가지고 있던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제 그곳에 입주하여 편의를 누리게 된다. 이것이 소설에서 발견되는 두 번째 ‘못된 정신의 확산’이다.

 

또 하나 ‘못된 정신의 확산’은 ‘트로이의 목마’에서 볼 수 있는 폭력의 재생산이다. 트로이의 시민들은 자신들의 도시국가를 공격한 적들에 의해 집단학살을 당한다. 그 끔찍한 집단학살을 피해 난민이 된 트로이 시민들은 자신들 역시 자신들을 집단학살하였던 그 악마들의 모습 그대로 로마의 원주민들을 집단학살하고 그곳에 로마제국을 건설한다. 폭력의 재생산, 즉 ‘못된 정신의 확산’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못된 정신이 확산’되는 이유를 작가는 이렇게 들고 있다.

 

“못된 정신은 멋진 모습으로 나타나지. 모두 꼼짝 못하게 말이지. 그래서 그 편에 서고 싶은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되지. 말하자면 이기는 편에 서고 싶다는 욕망, 그게 이 세계의 모순이기도 하고.”(194쪽)

 

하지만, 이런 ‘못된 정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착한 정신’이 있기에 세상은 유지됨을 작가는 말한다.

 

“못된 정신에 비해 착한 정신은 적지만 견고할지도 몰라. 중요한 건 우리 안에 착한 정신 편에 서려는 욕망이 있고, 결국은 의지를 내보인다는 거지. 인류의 역사를 봐도 알 수 있어. 못된 정신이 한차례 확산되고 나면 뒤이어 착한 정신이 그걸 뒤덮기를 반복하니까. 그렇지 않았다면 인류는 벌써 멸망했을 수도 있지.”(194쪽)

 

그렇다. 비록 다수가 못된 정신을 따라간다 하지라도 착한 정신을 붙잡고 투쟁하는 이들이 있기에 인류는 유지되고 있다. 비록 여전히 ‘못된 정신’이 큰 소리를 내고 있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비록 작은 소리이지만, 자신의 신념이 확고한 ‘착한 정신’을 붙잡는 이들을 위해 사회는 유지된다. 오늘 우리 사회 역시 마찬가지이고. 이 사실을 알기에 어쩌면 ‘못된 정신’들은 그토록 ‘착한 정신’을 두려워하고 끊임없이 밟으려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또 하나 생각해야 할 것은 비록 지금 내가 약자의 입장에서 ‘착한 정신’을 붙잡고 있다면, 그리고 ‘못된 정신’의 강자들로부터 고통을 당하고 있다면, 비록 추후에 내가 강자의 자리에 서게 된다 할지라도 내가 당한 고통을 다른 이들에게 다시 전해주지 않겠다는 그런 정신에 도달할 것을 작가는 말한다. 이것이 바로 트로이 이야기를 꺼내는 목적이기도 하다. 이것 역시 우리가 주의해야할 부분이 아닐까? 분명, ‘착한 정신’의 입장에서 투쟁하며 세상을 밝게 하는 데에 역할을 했던 이들이 정작 자신들이 기득권층에 앉게 되면, 슬그머니 ‘못된 정신’을 붙잡는 것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봐왔지 않은가?

 

아울러 이것이야말로 작가가 제시하는 ‘못된 정신의 확산’의 고리를 끊는 방법이기도 하다.

 

“연속되는 고리를 끊어 내는 행동. 내가 당한 못된 일을 다른 사람에 물려주니 않겠다는 윤리적 정신을 다지는 것. 그리고 행동하는 것. 돌발적일수도 있고, 냉정할 수도, 대담할 수도 있는 어떤 행동이 우리의 정신을 바꿔 놓는 지점이 될 수도 있겠지.”(205쪽)

 

그렇다. 비록 내가 ‘착한 정신’을 붙잡고 살아감으로 피해를 본다 할지라도, 그리고 추후 내가 힘을 갖게 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착한 정신’을 붙잡는 모습이야말로 ‘못된 정신의 확산’의 고리를 끊는 행위가 아닐까? 소설 속의 전설적 싸움꾼이 되어버린 ‘나’가 힘이 있음에도 끝까지 ‘못된 정신의 확산’에 함몰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