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워지지 않는 나라
이제홍 지음 / 푸른향기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의 이야기는 충남 부여에서 한 구의 시신이 발견되며 시작된다. 그 시신의 주인공은 문화재청에 근무하는 백동운이란 남자. 경찰은 그 범인이 누구인지를 추적하는 가운데, 유력 용의자로 백제사 연구에 몰두하는 서민준이란 사람을 지목한다. 그런데, 그 뒤로도 또 다시 백제연구의 신진학자인 김명석이 살인을 당하고, 그 뒤로는 중국대사관 문화참사관인 은미령이 살인미수로 인해 의식불명의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 모든 사건의 용의자로 서민준이란 사람이 지목되는데, 과연 서민준이 범인일까? 피해자들 모두에게 공통점이 있다면 백제가 남긴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금동대향로와 이런저런 모습으로 연관이 있으며, 서민준 역시 그러하다.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

 

이 소설은 백제가 남긴 자랑스러운 우리의 보물(국보 287호) 금동대향로를 둘러싼 살인사건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이 소설이 우리에게 전하는 진정한 메시지는 바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의식 고취에 있다. 우리에게는 세계가 놀랄만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들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백제의 문화유산인 금동대향로이다. 우리 민족에게는 이처럼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 가득함에도 우리는 여전히 스스로를 비하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이것 역시 일제의 의도적 식민지 역사교육 탓이 없지 않다).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우리에게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 있음을 깨닫게 하려하며, 우리로 하여금 자기 비하가 아닌 자긍심을 갖길 촉구한다.

 

여기에 더하여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정한론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무엇보다 백제가 우리 역사 가운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하려 한다. 그는 백제의 중요성이 우리 국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일본의 의도적 식민지 역사교육 탓이라 말한다.

 

저자는 이 재미난 소설을 통해, 백제의 역사와 국력은 엄청났음을 알린다. 그 예로 백제 22담로를 이야기하고 있다. 담로는 백제가 해외 영토를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22개의 행정 구역으로, 당시 백제는 한반도를 뛰어넘어 중국의 해안선 지역들과 일본 땅까지, 더 나아가서는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며 점령하였던 지역들까지 모두 아우르고 있다고 말한다. 그만큼 백제가 강국이었다는 것.

 

그리고 이렇게 강국이었던 백제가 한반도의 수호신으로 만든 것이 바로 금동대향로라는 것이다(물론, 이것은 저자가 소설 속에서 일본의 입장을 통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즉 소설 속의 설정이다).

 

소설의 전반부는 동북공정과 정한론, 그리고 금동대향로, 대백제론 등에 대한 역사적 진술들이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기에 자칫 지루한 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중후반부로 넘어가며, 적절한 사건과 함께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줄 내용들을 다루고 있기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재미나게 읽을 수 있을 내용이다. 마치 고인이 되신 최인호 작가의 『잃어버린 왕국』 그 다음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리만치 백제문화의 우월성에 대한 고양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