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삼키는 교실 바우솔 작은 어린이 20
신정민 지음, 김소영 그림 / 바우솔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동화책은 담임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내주는 숙제를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답니다. 담임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특별한 숙제를 내 주는데, 그것은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으로 동화를 한 편씩 써오라는 겁니다. 이에 친구들이 각자 동화 한 편씩 써온 답니다. 물론 이 모두는 작가 선생님의 창작이죠. 하지만, 작가 선생님은 최대한 아이의 입장, 아이의 눈높이에서 동화를 만드네요. 그리고 오히려 그렇게 아이의 입장에서 만든 동화들이 너무나도 재미있답니다.

 

샘이는 「두부의 모험」을 써왔는데, 냉장고 속에 들어 있던 두부를 엄마가 요리하려 하는데, 엄마에게 자꾸 일이 생기네요. 갑자기 오줌이 마렵기도 하고, 전화가 오기도 한답니다. 그 때마다 두부는 무시무시한 칼날을 피해 슬금슬금 도망치고 말이죠. 마치 달팽이처럼 느릿느릿. 하지만, 계속 반복되는 이야기에 선생님은 조금 지루해 하시네요.

 

민호가 발표하는 「김」은 더 지독하네요. 김 군이 길을 떠납니다. 그 길에서 김 군은 안 김 군, 구운 김 군, 안 구운 김 군, 구운 안 김 군, 안 구운 안 김군 등을 만나네요. 민호의 말장난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답니다. 이번엔 파래김 군, 안 파래김 군, 구운 파래김 군, 안 구운 파래김 군,,, 등등을 만난답니다. 웃긴 말장난인데, 읽는 가운데 웃음을 터트리고 말았답니다.. 말장난을 좋아하는 남자아이들의 모습이 눈앞에 아른거려 미소 짓게 되고요.

 

수빈이가 발표한 「눈물 만두」는 참 감동적이네요. 엄마의 사랑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하는 동화고요. 어쩌면 우리 모두는 엄마의 눈물만두를 먹고 지금까지 자란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민희가 발표한 「모두 다 섞인 종합 음식 나라」는 왠지 민호가 발표한 「김」을 떠올리면서도, 다문화사회에 대한 돌아봄을 생각게 하고, 용이가 발표한 「음식물 쓰레기 공룡」은 우리가 버린 쓰레기들이 결국에는 우리의 삶을 공격하게 될 것을 경고하는 내용도 담고 있답니다. 웅이가 발표한 동시 「볶음밥과 친구들」 역시 민호의 「김」 못지않게 말장난잔치네요. 역시 유치하지만, 재미나고 말이죠.

 

이처럼, 재미난 이야기들을 우리 아이들이 실제로 만들어간다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동화책을 읽고 상상력을 키우는 데에서 더 나아가 아이들만의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써본다면 어쩌면 어른들의 작품보다 더 멋진 작품들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보게 되네요. 우리 아이들이 상상력이 충만한 아이들로 자라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