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비록 - 유성룡이 보고 겪은 참혹한 임진왜란
김기택 옮김, 임홍빈 해설, 이부록 그림, 유성룡 원작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요즘 유성룡의 징비록이 유행인가보다. 아무래도 tv 드라마가 진행 중인 영향이 없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작년 한해 <명량>이란 영화의 흥행도 한 몫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징비록에서 보여주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의 모습들과 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다.
아무튼 이런 유행으로 인해, 나 역시 몇 편의 징비록 책들을 봤다. 소설도 봤고, 유성룡에 대한 역사서도 봤다. 이번에 본 이 책은 유성룡이 쓴 <징비록> 원작을 쉽게 오늘 우리의 말로 번역해 내놓은 책이다. 그러니, 어쩌면 가장 오리지널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전시재상(戰時宰相)이라고도 불리는 유성룡, 우리 역사의 가장 부끄러운 시간 동안 조선이란 배를 끌고 갔던 재상, 그가 바라본 임진왜란은 어떨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책을 펼쳐 읽어나간다.
『징비록』을 읽는 가운데 느끼는 점은 사실, 여느 임진왜란에 대한 책을 읽으며 느끼는 바와 다르진 않다. 하지만, 유성룡의 <징비록>은 훨씬 더 담담하게 기록되었다는 느낌이다. 본인이 직접 그 역사의 한 가운데서 체휼한 바였기에 어쩌면 가장 감정적으로 접근하기 쉬었으련만, 자신이 직접 경험한 역사이기에 어쩌면 더욱 끓어오르는 감정을 애써 억누르며 기록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담담한 느낌을 받게 된다.
아울러, 당시 조선호의 선장이었던 이균, 조선의 왕 선조에 대한 평가는 극히 생략되어 있음도 새롭다. 이것은 어쩌면 신하로서의 한계이면서, 또 한 편으로는 군왕을 섬기는 신하의 자세로구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사실, 임진왜란 당시 가장 부끄러운 모습을 보여준 사람은 어쩌면 선조였다.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철저하게 자제하고 있음을 느낀다. 물론, 간혹 간략한 언급은 주어지지만, 선조에 대한 이야기는 최대한 아끼고 있다.
이렇게 어쩌면 담담히 기록된 유성룡의 <징비록>, 임진왜란 당시의 그 끔찍한 상황들을 읽어나가는 가운데 무엇보다 당시의 가장 큰 문제는 인사문제에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실력은 없으며 큰소리만 치는 자들이 정책을 만들고 책임을 져야하는 자리에 앉아 있었다. 전쟁이 발발하기 전에도 그랬고, 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도 그랬다. 이런 모습이 유성룡의 <징비록>을 읽어가는 가운데, 가장 눈에 들어온다.
전쟁에 대해 모르는 자들이 지휘관의 자리에 앉아 있었고, 오히려 그나마 전쟁을 아는 숙련된 군사들은 그들의 지휘를 받았다. 그리고 지휘관들은 자신의 생각, 자신의 고집, 자신의 감정에 이끌려 전투를 치른다. 상황판단 능력이 없는 자들이 지휘관으로 전투를 지휘하기에 수많은 생명을 사지로 몬다.
아울러 조정에 앉아 입으로 전쟁하는 자들은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도 생각지 못한다. 그래서 전쟁이 발발한 상황에서도 위기를 타계하려는 노력은 없고 여전히 책임추궁이 먼저이며 자신의 안위가 우선이다.
이처럼 사람을 제대로 쓰지 못함이 조선호가 가라앉을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원인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바로 이런 문제의식 때문에 오늘 이 시점에서 <징비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조심스레 해본다.
물론 유성룡이 <징비록>을 기록한 이유는 누군가의 잘잘못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닐 것이다. 그건 바로 이 뼈아프고, 부끄러운 역사를 보며, 후세는 제발 그런 부끄러운 역사를 반복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였을 게다.
그럼에도, 유성룡 이후에 우리는 더 부끄럽고 뼈아픈 역사를 반복했다. 하지만, 오늘 우리가 다시 이 <징비록>을 읽는 이유는 앞으로는 그 부끄러운 역사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 아닐까? 그것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을 바로 세우고, 쓰는 거다. 우리 대한민국이라는 배가 제대로 운항하기 위해선 사람을 바로 세우는 축복이 있길 소망해본다. 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