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형사의 아이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영주 옮김 / 박하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준은 아버지와 단 둘이 살아간다. 준의 아버지는 형사다. 그리고 준 역시 그런 아버지의 영향인지, 탐정놀이(?)를 좋아한다. 그런 준의 마을에서 어느 날 토막 난 시신의 일부가 발견되어지고, 며칠 후 경찰서에는 또 다른 시신에 대한 정보가 쪽지로 배달된다. 한편 준의 집에도 쪽지 하나가 배달되는데, 그곳에는 “시노다 도고 는 살인자”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이 쪽지를 발견한 준은 같은 마을에 사는, 그리고 사람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세계적 화가 시노다 도고를 조사하기 시작하는데, 과연 이 사건의 진실은 무엇이며, 누가 살인자인 걸까? 이 사건에는 어떤 사람들이 관계되어 있는 걸까? 흥미로운 마음으로 소설을 읽어나간다.
이 책, 『형사의 아이』는 미야베 미유키의 첫 번째 장편소설이라고 한다. 역시 미야베 미유키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건 전개가 흥미롭고, 몰입도가 크다. 뿐 아니라, 단순히 추리소설에서만 멈추지 않고, 작가는 사회적 문제점을 고발하며, 독자로 하여금 여기에 대해 고민하도록 한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고발하는 가장 커다란 사회적 문제는 미성년자 강력범죄에 대한 질문이다. 끔찍한 강력범죄를 저지르고도 미성년자라는 신분 때문에 그 죄를 가볍게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라는 질문. 여기에 더하여 이토록 미성년자들이 강력한 범죄를 범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우리로 하여금 고민하게 한다. 더 나아가 이들 어린 괴물들을 만들어 낸 그 토양은 무엇인지도 돌아보게 한다.
작가는 강력 소년범들에게는 상상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상식이 있는 어른들 눈엔 잔인하기 그지없는 일을 아무렇기도 않게 할 수 있어. 이렇게 행동했을 때 상대방이 어떻게 느낄지, 거기에 생각이 미치질 않는 거야. 살아서 거기 존재하는 타인이 자신하고 똑같이 살아 있는 인간이란 생각을 못해. 자기 욕망의 대상으로만 파악하지.”(277-8쪽)
작가가 말하는 이 상상력은 타인의 느낌, 감정, 마음을 돌아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이기도 하다. 결국 이 상상력의 결여라는 것은 온통 관심이 나에게만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작가가 해석하는 끔찍한 강력 미성년 범죄들은 결국 그들을 자신만 아는 자들로 만들어 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네들은 자신만 아는 상상력이 결여된 인간, 인간미가 사라진 자들이 되었을까? 그 원인은 결국 그들을 괴물로 보는 기성세대에게 있다고 작가는 말한다.
“하지만 그런 소년들을 길러낸 건 ... 우리 세대입니다. 자기 자식에 비해 그런 애들의 목숨 따위 무가치하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우리 세대란 말입니다.”(321쪽)
그렇다. 내 자녀만 귀하게 여기는 부모들의 어긋난 사랑이 결국엔 이 세상에 괴물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결국 이것이야말로 작가가 이 책을 통해, 세상에 던지는 외침이다. 당신들이 욕하는 괴물들은 결국 당신들의 이기적 사랑, 기형적 사랑이 만들어낸 거라고 말이다. 오늘 우리 역시 이런 괴물들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길러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