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의 아이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영주 옮김 / 박하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준은 아버지와 단 둘이 살아간다. 준의 아버지는 형사다. 그리고 준 역시 그런 아버지의 영향인지, 탐정놀이(?)를 좋아한다. 그런 준의 마을에서 어느 날 토막 난 시신의 일부가 발견되어지고, 며칠 후 경찰서에는 또 다른 시신에 대한 정보가 쪽지로 배달된다. 한편 준의 집에도 쪽지 하나가 배달되는데, 그곳에는 “시노다 도고 는 살인자”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이 쪽지를 발견한 준은 같은 마을에 사는, 그리고 사람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세계적 화가 시노다 도고를 조사하기 시작하는데, 과연 이 사건의 진실은 무엇이며, 누가 살인자인 걸까? 이 사건에는 어떤 사람들이 관계되어 있는 걸까? 흥미로운 마음으로 소설을 읽어나간다.

 

이 책, 『형사의 아이』는 미야베 미유키의 첫 번째 장편소설이라고 한다. 역시 미야베 미유키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건 전개가 흥미롭고, 몰입도가 크다. 뿐 아니라, 단순히 추리소설에서만 멈추지 않고, 작가는 사회적 문제점을 고발하며, 독자로 하여금 여기에 대해 고민하도록 한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고발하는 가장 커다란 사회적 문제는 미성년자 강력범죄에 대한 질문이다. 끔찍한 강력범죄를 저지르고도 미성년자라는 신분 때문에 그 죄를 가볍게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라는 질문. 여기에 더하여 이토록 미성년자들이 강력한 범죄를 범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우리로 하여금 고민하게 한다. 더 나아가 이들 어린 괴물들을 만들어 낸 그 토양은 무엇인지도 돌아보게 한다.

 

작가는 강력 소년범들에게는 상상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상식이 있는 어른들 눈엔 잔인하기 그지없는 일을 아무렇기도 않게 할 수 있어. 이렇게 행동했을 때 상대방이 어떻게 느낄지, 거기에 생각이 미치질 않는 거야. 살아서 거기 존재하는 타인이 자신하고 똑같이 살아 있는 인간이란 생각을 못해. 자기 욕망의 대상으로만 파악하지.”(277-8쪽)

 

작가가 말하는 이 상상력은 타인의 느낌, 감정, 마음을 돌아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이기도 하다. 결국 이 상상력의 결여라는 것은 온통 관심이 나에게만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작가가 해석하는 끔찍한 강력 미성년 범죄들은 결국 그들을 자신만 아는 자들로 만들어 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네들은 자신만 아는 상상력이 결여된 인간, 인간미가 사라진 자들이 되었을까? 그 원인은 결국 그들을 괴물로 보는 기성세대에게 있다고 작가는 말한다.

 

“하지만 그런 소년들을 길러낸 건 ... 우리 세대입니다. 자기 자식에 비해 그런 애들의 목숨 따위 무가치하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우리 세대란 말입니다.”(321쪽)

 

그렇다. 내 자녀만 귀하게 여기는 부모들의 어긋난 사랑이 결국엔 이 세상에 괴물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결국 이것이야말로 작가가 이 책을 통해, 세상에 던지는 외침이다. 당신들이 욕하는 괴물들은 결국 당신들의 이기적 사랑, 기형적 사랑이 만들어낸 거라고 말이다. 오늘 우리 역시 이런 괴물들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길러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