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엄마가 낳지 않았어요? - 가슴으로 세 아이를 낳은 엄마의 실재 이야기 꿈공작소 22
아말테아 글, 줄리아 오레키아 그림, 김현주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짧은 그림책은 입양가정에 대한 이야기랍니다. 실제로 작가 본인의 이야기를 풀어놓은 거랍니다. 작가는 이탈리아인으로 세 명의 아이들을 러시아에서 동시에 입양하여 가정을 이루고 있답니다. 그러니, 입양가정, 다문화가정을 모두 아우른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죠.

 

무엇보다 예쁜 은유가 돋보이는 내용이네요.

소피아와 안나, 블라디는 각기 5살, 3살, 2살 때 입양된 아이들이랍니다. 그들이 엄마에게 묻습니다. “왜 우리는 엄마가 낳지 않았어요?” 이런 질문에 엄마가 대답해 주네요.

 

언젠가 함께 친구들을 만나러 시골에 가려 했는데,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가지 못하고, 수족관 구경으로 변경했네요. 그런데, 그만 수족관은 문이 닫혔고요. 그래서 계획에도 없는 바닷가 구경을 갔답니다. 그래서 좋은 시간, 멋진 하루를 갖게 되었고요.

 

엄마는 설명하네요. 마치 이와 같다고요. 엄마 아빠가 너희들을 낳고 싶었지만, 낳을 수 없었고, 결국 처음 계획과는 다르지만 더 좋은 곳을 찾아 다녔던 것처럼, 너희들을 찾게 되었고, 결국 너희들을 만나게 되었다고. 그래서 오히려 더 멋진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고 말이죠.

결코 가볍지 않은 주제이지만, 참 밝고 아름답게 이야기가 펼쳐진답니다. 이제 우리가 예전에 생각하던 가족의 개념을 계속하여 고집하는 것은 어쩌면 또 다른 많은 아름다운 가족을 부인하는 것이며, 의도치 않게 누군가를 상처 주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답니다. 이제는 가족의 개념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죠.

 

입양가족이 될 수도 있고, 편부모 가족이 될 수도 있으며, 미혼모 가족이 될 수도 있답니다. 엄마 아빠가 새롭게 만나 새로운 형제자매가 생기는 재혼 가정이 될 수도 있고요. 또는 싱글 가정, 싱글 입양가정도 있겠죠. 형태가 무엇이든 간에 그 안에 서로를 향한 돌봄과 사랑이 가득하면 된답니다.

 

혹 친구네 가족의 형태가 우리 가족의 형태와 다를 수도 있답니다. 하지만, 다르다고 해서 틀린 것은 아니랍니다. 아울러 괜한 호기심은 상대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고요. 물론 무관심 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죠. 하지만, 악의적 호기심은 삼가야 한답니다.

 

이렇게 예쁜 동화가 입양가정에서 혹 상처를 감추고 있을 아이들에게 치유의 이야기가 되면 좋겠네요. 그리고 아이들로 하여금 가족의 정의를 넓힐 수 있으면 좋겠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