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딸들
랜디 수전 마이어스 지음, 홍성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한 순간에 벌어진 끔찍한 일로 인해, 한 가정이 철저하게 깨지고, 상처받게 된 이야기이다.

 

아홉 살 룰루는 생일을 앞둔 전날 엄마를 잃게 된다. 그것도 아버지의 칼에... 이 일은 평생 룰루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와 자책감을 안겨준다. 왜냐하면, 엄마는 아버지가 집에 와 문을 열어 달라 해도 절대 열어줘서는 안된다고 말했지만, 룰루가 문을 열어줬기 때문이다. 뿐 아니라, 아빠가 자신을 죽이려 하니 빨리 도움을 청하라는 엄마의 외침에도 자신이 머뭇거리느라 시간을 지체하였기에 엄마가 죽은 것이라 룰루는 생각한다.

 

한편 룰루의 동생, 메리는 다섯 살의 나이에 아빠가 엄마를 죽이는 장면을 목격하게 되고, 뿐 아니라, 술 취한 아빠가 자신을 죽이기 위해 칼로 가슴을 찌른 끔찍한 경험을 한다. 메리의 가슴에 평생 지워지지 않을 끔찍한 흉터가 남게 된다.

 

이렇게 순식간에 엄마를 잃었을 뿐더러, 살인자의 딸이 되어버린 두 소녀. 그녀들은 살인자의 딸로 살아가야만 한다. 바로 그 여정을 소설은 그려내고 있다. ‘살인자의 딸’이라는 주변의 수군거림. 그리고 자신들을 맡았던 외할머니의 갑작스런 죽음. 그 이후 자신들을 맡지 않고 버린 이모와 이모부. 이렇게 해서 보육원에서 자라는 두 소녀의 힘겨운 시간들. 그리고 양부모 아래에서의 새롭게 시작된 삶, 기회.

 

소설은 이러한 두 딸의 모습을 어린 시절, 청년시절, 성인시절, 이렇게 3부로 그려내고 있다. 룰루와 메리, 두 딸의 입장에서 교대로 그려가며, 이들이 어떻게 ‘살인자의 딸들’이라는 굴레를 대처하는 지를 보여준다. 두 딸의 모습은 전혀 상반된 모습이다.

 

첫째 룰루는 철저하게 아버지를 외면하며 살아간다. 아버지를 잊으려 몸부림치며 살아간다. 의사라는 번듯한 직업, 좋은 남편, 예쁜 두 딸의 어머니가 되어 행복한 가정을 이루며 살아가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그날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간다.

 

둘째 메리는 아버지를 지키려 노력하며 살아간다. 어린 시절에는 아버지를 보고 싶은 마음에, 성인이 되어서는 책임감과 아버지를 향한 연민의 마음으로 아버지를 면회하고 돌본다. 하지만, 메리에게 있어 그날의 고통은 때론 방탕함으로 표출되어지기도 한다.

 

과연 이들의 짐은 내려질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린 오늘 어떤 짐을 짊어지고 살아가는가? 우리에게도 지울 수 없는 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이 책을 읽는 내내 안타깝고 무거운 마음이다. 책을 덮으며 먼저, 부모 된 자로서 이런 생각을 해본다. 부모의 선택에 의해 자녀들이 겪을 엄청난 상처와 고통. 부모는 항상 그것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

 

아울러 용서라는 단어가 결코 쉽지 않은 것임도 말이다. 마지막까지 룰루는 아버지를 용서하지 않는다. 물론, 아버지를 한 번 찾아가긴 하지만, 그것을 용서라고 볼 순 없다. 그만큼 룰루에게 심겨진 상처는 깊었다는 의미. 아울러 아버지 역시 용서를 구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것도 중요하다. 어느 한 쪽의 용서만이 아닌, 양쪽의 노력이 함께 필요함을 생각해본다.

 

또한 두 딸의 두 가지 방법 모두 상처와 아픔을 씻을 수 없음도 생각해 본다. 잊으려 한들 잊혀질리 없고, 책임감에 의한 돌봄 역시 때론 더 힘겨운 무게로 짓눌릴 수 있기에. 그만큼 그들이 경험한 그날의 사건은 강력했다.

 

메리의 독백이 인상 깊다. “우리는 과거의 덫에 걸려 있었다. 마흔한 살과 서른여섯 살인데도 오래전에 끝난 부모의 전쟁에 갇힌 죄수들이었고, 여전히 악몽 같은 기억에 갇혀 있었고, 은밀한 시선을 주고받았고, 사람들에게 알린 비밀과 숨긴 비밀이 스치듯 지나갔다.”(p.311)

 

이러한 과거의 덫의 무게가 마지막까지 느껴지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