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에는 아파트가 없다 - 초록도깨비 낮은산 작은숲 15
김중미 지음, 유동훈 그림 / 도깨비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개발’이 우리에게 좀더 쾌적하며 안락한 생활을 부여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아니 오히려 ‘개발’이란 명목으로 삶의 자리를 빼앗겨 억울함 가운데 한숨과 눈물로 세월을 보내야만 하는 이웃들이 상당수에 이른다.

김중미의 글은 바로 이런 ‘개발’의 이면에 도사린 어두움에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그녀는 이러한 어두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피어나는 한줄기 빛과 같은 희망을 그려낸다. 그 희망은 비록 작은 이들이지만, 이들이 함께 나누는 정을 통하여 새록새록 자라간다. 그의 글은 궁극적으로 작은 이들에게 관심을 가짐으로 그들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자 함에 있다.

“우리 동네에는 아파트가 없다”는 가난한 이들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빈민촌인 ‘만석동’에 이사온 한 가정의 아이들이 쓴 일기를 차례로 살펴보는 형식을 취한다. 다닥다닥 붙어 있는 집들만큼이나 북적거리며 살갑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애환과 그 속에 피어나는 정(情)을 아이들의 눈을 통하여 보여준다.

상미네 가족이 만석동으로 이사를 가면서 가족이 함께 살게된 희망으로 일기는 시작한다. 그런데, 막상 도착한 곳은 가난의 불쾌함과 불결함이 덕지덕지 엉켜있는 어촌이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가 열심히 살아가지만, 그들의 부지런함에도 그들은 가난을 벗지 못한다.

“엄마는 아버지랑 둘이 버니까 이제 금방 부자가 될 거라고 좋아한다. 근데 나는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우리 동네 엄마 아버지들은 거의 다 공장에 다니는 것 같은데 별로 부자 같지 않기 때문이다.”(25쪽)라고 첫째 상윤은 말한다.

가난이 이들의 게으름 탓만이 아님을 저자는 아이의 눈을 통해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가난은 그들의 게으름 탓이 아니라 사회구조의 잘못과 부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을 보면 사람들이 다 잘 사는 것 같은데 우리는 왜 이렇게 가난한지 모르겠다”(94쪽)는 넷째 상희의 질문은 가난한 이들을 대변해서 저자가 사회를 향해 외치는 함성이다.

왜 그들은 가난해야만 하는가? 왜 그들은 항상 궁색함을 달고 살아야만 하는가? 그처럼 아등바등 노력함에도 가난이란 괴물을 떨쳐버리지 못함은 무엇 때문인가? 왜 다른 이들은 매일같이 유유자적하면서도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는 것인가? 왜 사회는 우리나라가 잘 살게 되었다고 선전함에도 찢어지는 가난이 여전한 것은 무슨 조화란 말인가? 어느 샌가 만석동 곁에 자리잡은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과 자신들의 삶이 그처럼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의문가운데 그들의 아픔은 커져가지만, 셋째 상미의 바램은 의외이다. 비록 만석동이 가난의 궁색함과 불결함과 불쾌감이 스멀거리는 곳이라지만, 자신들의 삶의 추억과 작은 기쁨들이 있던 곳에서 가족이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더 이상 아파트가 그곳에 들어서지 않아야 한다. 그렇기에 “우리 동네에는 아파트가 없다”란 제목은 만석동이 아파트와 대조된 빈민촌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면서 아울러 그곳에 아파트가 더 이상 들어서지 않아 정겨운 이웃들이 함께 살아가기를 희망함이 투영된 것이다.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비밀 없이 서로를 의지하고 왕래하며 살아가는 빈민촌의 모습. 반면 안락함과 편리함은 있지만, 이웃이 누구인지 관심조차 갖지 않는 단절의 상징인 아파트는 대조를 이룬다.

우리네 삶이 점차 편리해지고 발전해가지만, 그에 비례하여 이웃 간의 정을 잃어 가는 현시점에서 이 책은 진정 우리가 회복하여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돌아보게 한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이 땅엔 더 이상 단절과 이기주의의 상징인 ‘아파트’는 없어야 한다. 움켜쥐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 된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