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미우라 아야코 지음, 김윤옥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 / 199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인류의 역사 이면에는 가진 자 밑에 눌려 착취당하고 신음하는 약한 자들의 한숨의 역사가 공존한다. 또한 이처럼 부당하게 착취당하고 억압당하던 풀뿌리 인생들의 소외된 인권과 그들 삶의 최소한의 보장을 위해 소리를 높이다가 거대한 권력의 폭력 앞에 무참히 짓밟힌 생명들 역시 부지기수이다. 우리 민족 역시 그러한 암울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제 억압하에서 민족이 당하였던 착취와 눈물. 해방 후 일제는 물러갔지만 가진 자들의 여전한 억압과 착취 아래 이에 항거하다 얼마나 많은 청춘들이 한 송이 꽃잎처럼 스러져 갔던가! 피로 붉게 물들인 5월의 광주, 불의에 맞서 학업을 뒤로한 채 투사가 되어 자욱한 최루가스 가운데서 이상을 키워가던 지난 80년대의 끈끈한 생명력. 아마도 우리 사회가 조금씩이라도 따뜻하고 살만한 세상으로 진보하고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희생들이 사회의 거름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미우라 아야코의 “어머니”라는 소설은 그와 같은 실존 인물(고바야시 다키지)의 삶과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다. 평등한 사회를 꿈꾸며 활동하였던 다키지라는 실존 인물. 그의 어머니가 다키지에 대해 회상하는 진술을 기본 틀로 작가는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가난한 시절, 공권력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경찰 아저씨의 따뜻한 인간미를 느끼고 자랐던 어머니는 공권력이라는 것이 백성을 위한 도구라는 막연한 이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은 세상의 불평등을 보았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있다. 그래서 그는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소설을 쓴다. 그의 소설은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 평등의 세상을 지향하게 한다. 하지만, 그로 인해 기득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가진 자들의 마수에 걸려 결국 경찰의 고문 앞에 목숨을 잃게 된다.

사랑하는 아들을 공권력에 의해 희생당한 어머니의 슬픔을 저자는 어머니의 독백을 통해 잔잔하게 전개해 간다. 특히 세상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시각의 변화는 아마도 저자가 독자들에게 말하는 외침이 아닌가 싶다. 처음의 어머니는 기존의 세상에 대한 반성과 극복보다는 그에 대한 순응의 자세를 보인다. 이러한 것은 시작부분에 언급되는 어머니의 어린 시절 고향에서 느꼈던 경찰 아저씨의 따뜻함에 대한 묘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어쩜, 공권력의 진정한 이상을 보여주는 저자의 의도이리라.

주어진 환경에서 순응하며 그 틀거리 안에서 열심히 살아가던 어머니의 시각은 자신의 아들의 죽음 앞에서 조금씩 변화한다. “나는 아무래도 모를 일이 있었소. 다키지가 아무리 극악한 놈이라 하더라도 체포하자마자 몽둥이로 때리고, 송곳으로 찌르고, 제멋대로 찔러서 죽여버려도 되는 건지요. 경찰은 재판을 하지 않고 즉각 죽여도 되는 법인지요. 이것을 알 수가 없소. 이런 경우에 경찰이 한 일은 살인이 되지 않는지요. 나는 법률이라는 것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경찰이 나쁘다 싶으면 누구든 죄다 죽여도 된다고는 아무래도 생각이 되지 않거든요.” 이러한 어머니의 눈을 비춰진 공권력의 모순 고발은 비록 작고 약한 푸념에 그칠 듯 보이지만 독자들의 가슴을 예리하게 파고드는 힘을 가진다. 아마도 ‘어머니’라는 존재의 이미지를 통해 잔잔한 고발이 결코 잔잔함에 그치지 않고 독자들의 가슴을 후벼놓는 효과를 갖는 듯하다.

권력의 희생양이 된 맑은 영혼의 소유자 다키지의 어머니는 오늘도 권력을 놓치고 싶지 않아 다른 생명들을 억압하는 독재자들, 그리고 그의 손과 발이 되어 자신들의 욕구를 채우는 공권력의 횡포에 대해 잔잔하게 대항한다. 혹, 아직도 우리 사회가 이러한 우리네 어머니의 절규를 만들어가고 있는 사회는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