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2 진주성 - 전라도로 가는 마지막 관문
정용연 그림, 권숯돌 글 / 레드리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작가 정용연 작가의 작품을 처음 만났던 건 정가네 소사(3)였다. 작가의 가정 이야기를 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근현대사를 돌아보는 묘한 느낌과 특별한 시선의 작품이었다. 그 뒤 작가의 작품을 몇 권 더 만난 기억이다. 의병장 희순을 만났고. 무엇보다 목호의 난 1374 제주를 만났을 때엔 이런 역사가 있었어? 싶었다. 제주에는 4.3의 아픈 역사만이 아닌 그 이전 목호의 난이 있었음을. 게다가 그 목호의 난을 평정한 최영장군은 우리에겐 언제나 영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관점에 따라 다른 평가가 주어질 수밖에 없음을 생각해본 작품, 그리고 역사에 대해선 또 다른 시각이 필요함을 생각게 했던 작품이었다.

 

이처럼 정용연 작가는 우리의 역사에 관심이 많다. 아울러 그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이 때론 평범치 않아 당황스러울 때도 있겠지만, 그 시선에 묘한 매력을 느끼게 하는 작가다. 그런 그가 의병장 희순에 이어 권숯돌 작가와 함께 협업한 또 하나의 작품으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바로 1592 진주성이란 작품으로 이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를 이끌었던 김시민 장군에 대한 이야기다.

 

왜군의 진군 앞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하던 한심한 조선에 한 줄기 빛처럼 왜군들을 무찔렀던 위대한 인물 김시민, 그가 주도했던 제1차 진주성 전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슬프기만 하진 않다. 왜냐하면, 다음 해에 있을 제2차 진주성 전투의 결과를 생각하지 않아도 되니까. 비록 김시민이란 거목이 쓰러졌음엔 가슴 아프지만, 왜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로 끝을 맺으니까 말이다.

 

진주성 전투를 다루게 된다면 당연히(?) 논개 이야기와 정평구의 비거 이야기 등이 언급되며 임진왜란 당시 단일 전투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냈던 그 치열하다 못해 처절한 전투를 이야기해야 하겠지만 오히려 그 부분을 과감히 떼어내고 제1차 진주성 전투만을 다룸으로 또 다른 느낌을 갖게 한다는 것이야말로 이 작품의 가장 큰 힘이 아닐까? 승리로 끝나는 전투가 갖게 하는 특별한 힘 말이다.

 

아무튼 1592 진주성은 임진왜란 당시 부끄럽고 분노를 유발시키는 그런 모습 가득한 상황 속에서 김시민이란 인물의 등장은 결코 우리의 역사가 부끄럽지 않고 자랑스럽고 자랑할 만한 역사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