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 트렌드 2023 - 정확한 조사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3년 한국 교회 전망과 전략
지용근 외 지음 / 규장(규장문화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기의 한국교회라는 말이 나온 것이 어제 오늘만은 아니다. 그럼에도 피부에 와 닿을 정도로 위기 상황 가운데 몰린 것은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 기인한 바가 크다. 교회마다 상당수(대략 30% 전후)의 교인들이 줄어든 상황에서 팬데믹 상황이 종결되면 집나갔던 성도들이 돌아올 것이라는 핑크빛 전망은 망상에 불과하다.

 

이러한 때, 교회를 생각하며 고민해야 할 키워드가 무엇인지 제시해주는 고마운 책이 나왔다. 한국교회 트렌드 2023이란 책으로 다가올 2023년을 맞으며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찾아야 할 키워드는 무엇인지 책은 열 가지 키워드를 제시한다. 처음 들어보는 키워드가 많았다. 물론 그 내용을 살펴보다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함께 고민하게 되는 그런 내용들이다. 이런 고민을 함께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이 책의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책에서 제시하는 키워드는 이렇다. 플로팅 크리스천(Floating Christian), SBNR(Spiritual But Not Religious), 하이브리드 처치(Hybrid Church), 몰라큘 라이프(Molecule Life),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MZ세대, 올라인 교육(All-Line Education), 퍼블릭 처치(Public Church), 격차 교회 서바이벌 목회(Polarization of Church, Survival Ministry), 기후교회(Climate Church). 이렇게 열 가지 키워드에 더하여 미국교회 트렌드까지 알려주고 있다. 이런 키워드를 통해 책이 주는 힘은 무엇보다 현시점을 이해하는 안목이 아닐까 싶다.

 

코로나 19로 인해 한국교회의 교인수가 줄어든 것만이 문제는 아니다. 다음세대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교회학교가 사라진 교회가 태반이며, 그나마 성도들 자녀만으로 구성된 교회학교가 운영되고 있는 교회는 다행일 정도다. 시골교회의 경우 청년부가 존재한다면 정말 희귀한 교회가 되어 버렸다. 장년의 경우 역시 70세 이상으로 은퇴한 성도가 태반인 상황에서 의결기관들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비관적으로만 생각할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책을 통해 통계를 더욱 냉철하게 직시하며 대안을 향해 함께 고민하며 나아가야 한다. 이 책 한국교회 트렌드 2023은 분명 그 시작을 열어주기에 충분하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