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잡기 아주 좋은 만화 미적분
요람 바우먼 지음, 그래디 클라인 그림, 정경훈 옮김 / 바다출판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수학을 어렵게 만들었던 대표적인 녀석들이 바로 미적분이었습니다. 그 이유가 몇몇 있겠지만, 무엇보다 개념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점점 더 어려워졌고, 그러다 결국 포기하였던 듯싶습니다(사실 다 핑계입니다. 진짜 이유는 공부하기 싫었던 거겠죠.).

 

바로 그 원수 같은 미적분에 대해 만화로 알려주는 책이 있다기에 관심이 갔답니다. 지금에 이르러 미적분이 내 인생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싶은 생각도 없지 않지만, 그럼에도 남들 다 아는 미적분을 한번 알아보고 싶은 욕망이 이 책을 품게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어쩌죠? 역시 어렵다는. 역시 미적분은 미적분인걸까요? 역시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 건 수알못이어서일까요? 그럼에도 뭔가 잡힐 듯 말 듯 한다는 것이 어디인가요? 개념 잡기 아주 좋은 만화 미적분이란 제목처럼 개념 잡기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합니다. 기대가 컸기 때문일까요? 아님 입에 떠먹여줄 수준의 내용을 기대했기 때문일까요? 솔직히 엄청 친절하게, 그리고 이해하기 쉽게 개념을 설명해주는 것 같진 않습니다(물론, 이는 개인적 이해도의 차이겠죠.). 그럼에도 미분 적분이 어떤 것인지 알게 해준다는 점에서 고마운 책임에는 분명합니다.

 

무엇보다 만화로 되어 있어 일단은 따분하게 느껴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저자 역시 따분하게 느끼지 않도록 가벼운 내용들을 많이 싣고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이 때론 논점을 흐리는 역할을 하지만 말입니다.). 그럼에도 역시 미적분이란 녀석들은 머리를 돌아가게 만드는 힘이 있는 녀석들이기에 만만하게 볼 순 없습니다. 그래도 만화이니 끝까지 읽어보자는 각오로 끝까지 책장을 넘겨봅니다.

 

미적분이란 게 시험을 위한 것 말고 어디에 유용할까 생각했었는데, 놀랍게도 미적분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는 부분이 많다는 점에 눈이 휘둥그레지기도 했답니다. 특히, 경제학에 미적분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어진다는 말에 처음엔 거짓말인 줄 알았답니다.

 

경제학과 미적분은 언뜻 생각할 때, 전혀 관계가 없을 것만 같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놀랍게도 미적분이란 도구야말로 경제학에서 아주 유용할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됩니다. 이것만으로도 큰 수확이 아닐까 싶어요. 경제학자가 어찌 미적분에 대한 책을 썼는지 궁금했는데,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답니다.

 

이 책 개념 잡기 아주 좋은 만화 미적분은 처음 미적분을 접하는 학생들에게, 그리고 미적분을 공부해야만 할 동기부여가 필요한 학생들에게, 그리고 이 서평을 적고 있는 사람과 같이 수알못이지만, 미적분을 알고 싶은 오지랖퍼들에게 유용하게 읽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