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 한국의 땅과 사람에 관한 이야기 대한민국 도슨트 3
최성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포를 처음 방문했던 건 80년대 중반 고등학교 수학여행 당시였습니다. 물론, 목포가 수학여행 목적지는 아니었지만, 목포에서 출발하는 제주행 여객선 탑승 시간이 오후 시간이었기에 아침 일찍 출발하여 목포에 도착하여 점심을 먹고 자투리 시간에 유달산을 올랐던 기억입니다. 그때 유달산을 오르며 봤던 조각공원, 목포의 눈물 노래비 등이 그 후 20여년이 지나 아내와 함께 찾았을 때 그대로 기억이 나 신기해했던 생각이 나네요.

 

그 뒤로도 목포는 몇 차례 방문한 기억입니다. 박물관 위주로 하루 온종일 돌아다녔던 기억도 있고, 또 어떤 때에는 근대문화유산을 찾아 답사여행으로 아내와 함께 떠났던 기억도 있고요. 기독교 유적지를 살펴봤던 기억도 있습니다. 물론 유달산을 다시 올랐던 기억도 있고요. 딸아이가 아직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 함께 방문하여 크롬방제과점에서 빵을 잔뜩 사 먹었던 기억도 있답니다. 그러고 보니 목포를 제법 여러 차례 찾았던 셈이네요.

 

평소 답사 여행을 좋아하는 나에게 정말 반가운 책이 선물처럼 찾아왔습니다. <대한민국 도슨트 시리즈>인데, 그 세 번째 책이 바로 목포랍니다. 책을 읽어가며, 예전에 방문했던 곳들에 대한 추억을 떠올려보게도 됩니다. 그런데, 제법 목포를 여러 차례 방문했음에도 처음 만나는 장소들이 많아 설렜답니다.

 

물론, 가슴 아픈 장소도 있어 울컥하기도 했고요. 특히, 고하도 감화원에 대한 이야기는 오랫동안 가슴 한 쪽에 자리 잡고 있어, 그곳을 꼭 다시 방문하여야겠다는 의무감이 생기기도 합니다. 어린 아이들의 인권이 일제에 의해, 그리고 해방 후에도 여전히 계속 되었다는 점이 화가 나는 그런 내용이기도 했답니다.

 

목포를 한 번도 충무공과 연관시켜 살펴본 적이 없었음도 이 책을 보며 깨달았답니다. 목포 사람들은 그렇게 자부심을 갖는 내용 가운데 하나였음을 알게 되어 어쩐지 미안하기도 했고요.

 

그 외에도 그저 방문했을 때는 몰랐던 숨은 이야기들을 많이 만나 좋았습니다. 알아야 보이는 법. 다시 목포를 방문할 날을 손꼽아 보게 됩니다. 아무래도 하루에 다 볼 수는 없을 테니, 휴일을 이용하여 볼 수 있도록 책 내용을 곰곰이 생각하며 코스를 잡아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목포를 찾게 될 때엔 분명, 내 손엔 이 책 대한민국 도슨트 03. 목포가 들려 있을 겁니다. 덤으로 아이들에게 잘난 척 좀 하고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