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서 지금 사야 하나요? - 부동산, 3년 내 특이점이 온다
우용표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12월
평점 :
정부는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고 있다. 그런데, 정말 집값은 안정될 수 있을까? 아니 이런 질문이 더 맞을 것 같다. 집이란 공간이 투자의 대상이 아닌 살아가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을까? 아니면 여전히 투자의 대상으로 매력적일까? 집은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 될 수 있을까? 아니면 여전히 집은 사는 곳이 아니라 사는 것인 걸까?
여기에 대한 답을 책은 말한다. 집은 여전히 사는 곳이 아니라 사는 것이 될 것이라고. 『그래서 지금 사야 하나요?』란 대단히 직설적인 책 제목처럼 책 내용 역시 대단히 직설적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사도 된다는 것. 물론 이는 한정적이긴 하다. 지방보다는 수도권, 상가보다는 아파트, 작은 평수보다는 큰 평수, 싼 아파트보다는 비싼 아파트, 등등.
저자는 말한다. 3년 이내에 부동산의 특이점이 온다고.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그리고 서울 시장인 박원순 시장의 임기와 연관해서 말한다. 여기에 더하여 인구가 줄어드는 2030년 이전까지는 집값은 내리지 않을 것이고, 실제 아파트 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보이는 시기는 30년 후라는 것. 이런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역시 아파트를 사도 좋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럼 어떤 아파트를 사면 좋을까? 저자는 무식하리만치 이렇게 명확하게 말하기도 한다. 더 비싼 곳에 투자하면 된다고. 자신이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의 최대치를 찾아 투자하면 된다고. 물론, 저자의 말에 때론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저자는 이 책의 핵심이기도 한 5장에서 수도권 지역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며 든 생각은 역시 난 안 되겠다 라는 생각이다. 여전히 규범경제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게 되는 나의 한계 때문이다. 부동산은 경제는 이러해야 한다는 규범경제학의 영역이 아닌, 지금 경제 상황이 어떠하다는 말하는 실증경제학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나 개인의 한계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그럼에도 저자의 주장이 때론 개연성이 있어 고개를 끄덕이게 되기도 한다.
저자는 말한다. 부동산은 똑똑한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고, 문제는 실행력이라고. 그러니 이 책을 읽고 실행하는 사람은 둘 중 하나임에 분명하다. 집값이 대박을 맞아 노후 자금을 확보할 수도 있고, 반대로 투자한 곳이 쪽박을 차서 손가락만 빨고 있을 수도. 물론, 저자는 대박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하고 있다. 물론 그 지역적 범위가 수도권에 한정되어 있다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비록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언급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저자의 주장들을 본다면 나름 판단할 수 있겠다.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말 그대로 “?” 아닐까? 이미 인구의 수가 줄어들고 있는 지방들을 생각한다면 더욱 그럴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부동산 가격은 여전히 저자의 말마따나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중소도시 역시 집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는 곳들을 우린 기사를 통해 보게 되니까 말이다.
그럼, 다시 책 제목으로 돌아와 보자. “그래서 지금 사야 하나요?” 나처럼 새가슴은 못 사겠다. 그러나 실행력 좋은 분들이여! 자신이 행동하고, 자신이 책임지라! 결국엔 자신의 몫이 아닐까? 물론, 이런 책에 많은 도움을 받게 되는 것 역시 사실이겠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