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담 고미답 : 설화와 신화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고전 새로 읽기 3
정진 지음, 김주경 그림 / 아주좋은날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미담 고미답 시리즈>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고전 새로 읽기 시리즈입니다. 먼저, “고미담 고미답의 의미는 이렇습니다. “고미담고전은 미래를 담은 그릇이란 의미를. “고미답고전이 미래의 답이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어쩌면 왠지 예스러운 이야기, 오늘의 우리와는 동떨어진 구닥다리 이야기로 치부해버릴 수도 있는 그런 우리의 고전, 그 고전 속에서 우리 미래를 열어갈 교훈을 찾을 때,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열리게 될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겠죠.

 

그 시리즈 3번째 책은 설화와 신화라는 주제로, <토끼전>, <심청전>, <바리데기> 이렇게 세 가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이야기일 겁니다. 그럼에도 다시 읽게 될 때, 또 다른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 세 이야기를 읽으며, 이들을 하나로 묶은 이유는 어쩌면 희생이란 관점에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용왕이 자신의 병든 몸을 낫기 위해 토끼를 희생하려 하고.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려 심청이 자신을 희생하며, 아울러 자신들의 무역선을 무사히 왕래하기 위해 어린 소녀를 희생시키려는 뱃사람들의 모습도 나오죠. 바리데기 역시 아버지를 위한 희생이 그 주제가 아닐까 싶어요.

 

물론, <심청전><바리데기>라는 주제로 공통점을 찾을 수도 있지만 말입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되요. 앞 못 보는 소경의 눈을 뜨기 위해선 300석이나 되는 재물을 공양해야만 이루어질까 하는 생각을 말입니다. 물론 신에게 정성을 들여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꼭 과도한 그런 재물을 요구하는 것은 신일까요 아님 신을 붙들고 있는 인간들일까요?

 

또한 풍랑이 이는 바다를 잔잔케 하려면 소녀의 목숨을 바쳐야만 하는 걸까요? 다수의 평안을 위해 한 생명을 희생해야만 한다는 이런 인신제사의 관습이 놀랍게도 우리 정서 속에서 제법 뿌리 깊은 개념이란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용왕 역시 자신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누군가의 목숨을 아무렇지 않게 빼앗아도 된다는 그런 사고는 단순히 지배이데올로기 만의 사고일까요? 물론, <심청전>이 그런 양반사회, 지배계급의 사고를 꼬집고 있다 말할 수 있겠지만, 어쩌면 나를 위해선 타인을 희생해도 된다는 사고는 우리 모두의 사고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네요. 우리 자녀들이 고전 속에서 이런 희생을 강요하는 사고에 대한 경계를 배울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토끼전>은 또한 지혜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자라와 토끼가 번갈아가면서 그 반짝이는 지혜를 보이게 되죠. 이런 고전을 읽고 자라는 우리 자녀들에게도 삶의 지혜가 가득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고전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힘이 있는 것 같아요. 이러한 힘이 우리 자녀들의 미래를 밝게 열어준다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