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삶은 어떻게 오는가?‘행복한 삶을 살고 싶다는 건 모든 인간들의 바램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인간들이 행복한 삶을 살지는 못한다. 그들이 처한 상황이 달라서이다. 보유재산의 크기따위 등이 처한 상황의 차이일텐데 부자와 가난한 자 중에서는 부자 쪽이 행복할 것이다. 부자들이라고 해서 모두 행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행복할 여지는 가난한 사람들보다는 많다.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애쓰는 이유기도 하다. (내가 돈을 더 벌고 싶은 마음은 언제나 그렇듯이 읽고 싶은 책을 마음껏 읽기 위해서임을 밝힌다 ^^)처한 상황이 같거나 비슷한 경우라도 어떤 사람들은 행복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불행하다. 전쟁 때 포로가 된 사람들이 있다. 포로생활을 하는 중 가장 먼저 죽어가는 사람들은 근육이 탄탄했던 소위 근육맨들이라고 한다. 우람한 근육들은 운동, 수면, 영양분이라는 3가지 요소가 안정적으로 지속되어야만 가능하다. 포로생활은 수감자들에게서 이것들을 박탈한다. 근육맨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절망하고 삶의 의욕을 접게 된다고 한다. 물론 모든 근육맨들이 해당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근력이라는 피지컬로 남들보다 더 오래 살아남을 지도 모른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럼 절망적인 환경을 견디게 하는 힘, 나아가 삶을 행복으로 이끄는 것은 무엇일까? 돈, 권력, 명예, 근육도 완벽한 답을 주지는 못하는 것 같다. 나는 그 답을 회복탄력성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김주환 교수는 ‘회복탄력성을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이라고 한다. 그리고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감사하기‘와 ‘운동하기‘를 권하기도 했다. 나는 그 2가지에 하나를 더 추가하고 싶다. ‘자기 만족‘이 그것이다. 자기 만족을 가장 잘 표현한 제목의 책이 여기 있다. ‘생각보다 잘 살고 있어‘라는 책이다. 저자는 번역가, 작가로 활동하는 싱글맘이다. 이 책은 작가 자신과 고등학생 딸 릴리, 반려동물인 7살 난 송이라는 고양이와 생후 3개월 경의 해피라는 시바견, 이렇게 4인(?) 가족이 알콩달콩 만들어가는 성장이야기다. 일련의 에피소드들을 보면 양육자도 자녀와 반려동물들을 양육하면서 그들을 통해 성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개개인은 약하지만 함께하면 강해진다는 것을 또 한번 느낀다. 작가 스스로가 말했듯이 비록 구시대의 잣대로 보면 이들은 ‘정상가족‘의 형태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얼마든지 다양한 가족형태와 삶들이 있다는 것을 용기내어 보여준다. 비록 정상(?)과는 다른 삶을 살고 있지만 자신들은 행복하다는 것을. 나는 이것을 ‘자기 만족‘의 정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에게 필요한 것도 바로 이 마음이다. 고난을 견디고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라도 ‘자기만족‘을 견지해야겠다. ‘나도 생각보다 잘 살고 있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