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aladin.co.kr/img/shop/19_85cover.png)
-
365일 ㅣ 365일 1
블란카 리핀스카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2월
평점 :
작년부터 인터넷 티비를 해지하고 넷플릭스를 가족들과 구독중이라 드라마는 잘 보지 않지만 대신 영화를 많이 보게 된다.
그중에 작년 말에 본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365일도 있는데, 성인용 킬링타임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끝이 후편이 반드시 나올것 같은 결말로 끝났기 때문에 원작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찾아 보니 인기 소설을 영화화한 거였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는 언제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뒷이야기가 궁금해 소설을 보고 싶었다.
스포가 될 수 있으므로 스토리는 배제하고 감상 위주로 작성하였다. 영화나 소설을 본 사람은 무슨 말인지 알것이지만 아직 안 본 사람은 모를 것이다.
젊은 마피아 마시모는 총격을 당해 생사를 해멜 때, 눈 앞에 나타난 환상인지 실제인지 모를 여인을 잊지 못한다. 실존 인물인지도 모르면서 그녀를 언젠간 찾으리라는 미련을 버리지 못해, 초상화까지 그려 집에 걸어 두었다.
그런데 마침내 그녀를 우연히 만난다. 환상의 여인은 라우라 라는 이름을 가진 실존 인물이었던 것이다! 마르틴이라는 남자친구와 시칠리아로 여행을 온 라우라를 마시모는 납치하고 만다. 그리고 그녀에게 365일동안 함께 있을 것을 강요하게 된다.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남자는 매너있게 그녀를 대하면서도 위협을 가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에 걸린 듯 라울라도 마시모에게 빠져들게 되는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17/pimg_701817175287921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17/pimg_7018171752879220.jpg)
스토리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상당히 자극적인 내용이다.
보통 소설 한 권은 두 시간 남짓한 영화로 표현하기엔 짧기 때문에 소설 원작 영화는 크게 재미가 없을 가능성이 많다. 다빈치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다. 글로 표현하는 것이 더 많은 분량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읽는 호흡도 좀 더 길고.
영화는 설명을 하기 보단 보여줘야 하는 장면이 많고 그런걸 잘 살린 작품이 좋은 평가를 받기 때문에 장편을 잘 살리기란 쉽지 않은일이다.
반대로 단편 소설을 영화화 한 것들은 수작이 많다.
스티븐 킹의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감독이 원작의 짧은 내용에 자신만의 것을 더 붙여서 재창작할 수 있지만 장편은 줄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원작의 호흡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소설이 영화의 내용보다 더 많이 나올줄 알았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아주 조금만 더 나올 뿐이다.
물론 중간의 내용들이 더 풍부하고 묘사가 더 세밀하기 때문에 영화에서 생략된 부분이 적지 않지만, (피오트르라는 꽤 비중있는 인물이 영화에서 아예 나오지 않는다거나) 그래도 장편소설을 영화화 한 것 치고는 꽤 잘 각색했다고 보인다. (쓰다보니 소설평인데 영화평처럼 흘러가는?)
원작은 총 3부작이라는 것을 알았다. 인기가 많았다고 하니 후속 영화도 나올것이다. 이미 원서는 있고 번역본도 곧 출간된다고 한다.
영화보다 소설이 분량이 많을 수 밖에 없으므로 영화를 이미 본 사람들은 디테일한 내용을 보며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쉽게 읽어나갈 수 있는 이야기라 시간이 있다면 하루면 다 읽을 수 있다. 나도 속독할 정도는 아니지만 책을 빨리 읽는 편이라 몇시간 걸리진 않았다.
성적 묘사가 많기 때문에 그런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얼굴이 화끈 거릴 수 있겠다.
소설로는 그런걸 많이 보질 않았어도 에로 영화가 아니더라도 19금 영화 좀 본 사람이면 그렇게 놀랄 정도의 수위는 아닌 듯하다. 성적 묘사가 많지만 그것보다 스톡홀름 증후군을 연상시키는 파격적인 스토리가 더 자극적이니까. 바람직한 스토리는 절대 아니다.
이야기는 그냥 이야기니까 너무 몰입해서 감정적으로 읽지 않는 것이 좋다. 허구는 허구일 뿐이니까...
가끔 허구보다 더 놀라운 실화들이 있지만... 로또 당첨보다 더 희박한 소수에 불과하다. 가벼운 소설을 읽고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다면 세상을 살기 힘들다. 세상에는 온갖 유혹이 실제하고 있으니까. TV에 연예인들의 행동에 나쁜 영향을 받는다고 걱정들 많이 한다. 하지만 오히려 뉴스가 더 자극적일 수 있다. 나쁜 영향을 쉽게 받지 않을 만큼 자기 주관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 세상이다. 이 책이야 대놓고 현실적이지 못하니까 흉내낼 수조차 없다만....
성적 묘사를 하기 위해 스토리를 만든 책도 있지만 그정도는 아니고 스토리가 주고 그 속에 너무 과하진 않고 그렇다고 절대 적지는 않게 잘 버무린 것으로 보인다.
환경이 사람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점으로 읽어도 흥미로울 것이다. 납치당한 여주인공이 돈 많고 완벽하다 할 정도의 미남인 남 주인공에게 반감을 가지면서도 점점 빠져드는 것은 어떻게 보면 예정된 수순인것 같기도 하다. 자신은 꿈도 못꾸는 부를 가지고 큰키에 조각같은 몸매와 숯컷의 야성미까지 갖춘 매력덩어리 마시모.
하지만 단점이 너무 쎄다. 자신을 납치한 깡패라는 것. 그렇기 때문에 그 단점을 상쇄할 시간이 여주에게 필요했던 것 같다. 처음부터 끌렸으니까.
그냥 보통의 만남을 가졌더라면 둘은 더 쉽게 가까워졌을지 모르지만, 마피아로 평생을 거칠게 살아온 마시모는 그런걸 잘 할 줄 모른다.
라우라를 만나면서 그런 그의 성격도 조금 변하기 시작한다. 라우라는 말할 것도 없다. 짧은 기간동안 인생이 너무 급격하게 바뀌어 버린 것이다. 몸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위험한 세계로 빠져든 주인공을 보다보면 읽는 이는 내가 과격하고도 위험한 신데렐라가 되어 모험을 하는 듯한 대리만족을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소설이 많은 여성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 이 글은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고 쓰였으며, 객관적인 시각으로 가감없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