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남성성 이매진 컨텍스트 52
주디스 핼버스탬 지음, 유강은 옮김 / 이매진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나는 미니애폴리스에 강연을 하러 가는 길에 시카고 오헤어 공항에서 비행기를 갈아탄 일이 있다. 나는 과감하게 여자 화장실로 성큼성큼 걸어갔다. 내가 칸을 찾아 들어가자마자 누군가 문을 두드렸다. 문 열어요, 경비원 여기요!” 금세 무슨 일이 벌어진 건지 알 수 있었다. 이번에도 어떤 여자가 나를 남자나 소년으로 오인하고 경비원을 부른 것이었다. 내가 입을 열자마자 문 앞에 있던 두 경비원은 실수를 깨닫고 우물우물 사과를 하고는 자리를 떴다.[1]

 

 

이 황당한 사연의 주인공은 퀴어 이론(queer theory: 게이, 레즈비언, 트랜스섹슈얼 등 성 소수자 중심의 담론을 연구하는 학문)을 연구하는 주디스 핼버스탬(Judith Halberstam)이다. 현재 그의 이름은 잭(Jack) 핼버스탬이다. 핼버스탬은 남자 같은 여자. 그의 남자 같은 외모 때문에 여자 화장실에 들어갔다가 변태 취급을 당해 쫓겨날 뻔한 일이 한두 번이 아니다. 화장실을 성별 이분법으로 나눴을 때 성 소수자들은 난감한 상황에 부닥친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이 상황에 심각하게 고민을 해본 적이 없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의 성 정체성에 대해 한 번도 의심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스스로 충분히 여성스럽다고, 혹은 남성답다고 여길 것이며 어떻게 하면 자신의 남성성을 혹은 여성성을 더 드러나게 할 것인지 고민하는 게 보통의 우리다.

 

하지만 잭 핼버스탬은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정말 여성이라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남성이라고 생각하나요? 몸은 여성인데 성 정체성은 남성이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어요?’ 어떤 이는 그의 질문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릴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성 소수자는 여전히 이해받지 못한다. 남성도 여성이 아닌, 3의 성(Third gender)[2]을 가진 이들에 대해 우리는 아직도 낯설고, 특이한 존재로 바라본다.

 

여성의 남성성(famale masculinity)(이매진, 2015)은 성 이분법을 깨뜨리는 퀴어 담론을 통해 대중문화 속 여성의 남성성을 분석한 책이다. 퀴어 이론이 낯선 독자라면 이 책에 나오는 퀴어 용어와 퀴어 문화를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책의 옮긴이가 친절하게 주를 달아 설명하고 있지만, 방대한 내용을 수월하게 따라가기 위해선 이 책을 읽기 전에 기본적인 퀴어 용어를 숙지하는 것이 낫다.

 

퀴어(Queer)의 사전적 의미는 기묘한, 이상한, 괴상한이다. 처음에는 동성애자를 비하하는 뜻으로 사용됐지만 1980년대 이후 동성애 운동가들에 의해 긍정적으로 수용된 단어이다. 여성 역할을 하는 게이를 보텀(Bottom), 남성 역할의 게이를 (Top)이라 부른다. 레즈비언 남성 역할은 부치(Butch), 여성 역할은 (Femme)이라 칭한다. 그러나 이는 동성애를 이성애 규범성(heteronormativity)으로 본 것이고, 동성애를 성애의 역할에 한정시킨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드랙 킹(Drag King)드랙 퀸(Drag Queen)은 각각 단순하게 번역하면 남장 여자, 여장 남자다. 이들은 공연 행위를 통해 반대의 성이 되거나 중간자적 성의 경계를 즐긴다. 트리바드(tribade)는 레즈비언의 동의어이며 레즈비언 간의 비삽입 성행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트랜스젠더(Transgender)트랜스섹슈얼(transsexual)은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지만 조금씩 다르다. 먼저 트랜스섹슈얼은 정신적인 성에 육체적인 성을 일치시키려는 사람, 즉 성호르몬 투여와 성전환수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트랜스젠더는 꼭 수술이나 성호르몬을 투여하진 않더라도 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젠더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된다. MTF(male-to-female) 트랜스여성은 남성에서 여성의 몸으로 전환한 트랜스젠더, FTM(female-to-male) 트랜스남성은 여성에서 남성의 몸으로 전환한 트랜스젠더이다.

 

핼버스탬은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는 생물학적 본질주의와 남성성-여성성등 삶의 형태를 억압적으로 작동시키는 젠더 이분법을 해체하면서 성 소수자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 역사적 담론에 대한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성 정체성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다. 사회적 약자인 이들이 당당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지 못하는 분위기는 여전하다. 이렇다 보니 자신들이 차별받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할 수 있는 담론이 형성되지 못했다. 그리고 성 소수자 문제는 페미니스트들이 손쓰기 어려운 딜레마가 된다. 페미니스트들(레즈비언 페미니스트도 포함됨)FTM남성 진영으로 넘어간 여성 운동의 배신자로 본다. 페미니스트의 공격을 성차별로 인식하는 FTM은 레즈비언와 페미니스트들을 남성처럼 흉내 내면서도 남성 전체를 악마로 매도하는 부정 세력으로 생각한다. FTM여성혹은 레즈비언처럼 보이지 않기 위해 남성성이 돋보이는 복장을 착용한다. 핼버스탬은 FTM부치 동성애자를 구분하는 기준이 이성애 규범성 형성에 기여하게 되고, ‘혐오에 이르는 성 소수자 차별로 변질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개인의 성 정체성은 인구의 수만큼 다양하다. 그런데 억지로 틀에 끼워 맞추려고 하면 편견이 생기고, 차별과 혐오가 양산된다. 동성애 코드를 시종 무겁게 다루던 TV와 같은 주류 매체가 성 소수자의 문제를 세련되게 풀어가는 것은 좋은 현상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개방적으로 되었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영화나 드라마 속 동성애를 용인하는 것과 현실의 동성애를 인정하는 것은 다르다. 대중문화 속 동성애는 한 가지 측면만 보여줄 뿐 실제 그들의 삶을 다루고 있지 못하다. 동성애자들에게 이성애자들과 같은 고정된 성 역할을 강요하고 동성 간의 사랑은 대개 비극적 사랑으로 왜곡된다. 성 소수자의 목소리를 당사자들이 직접 표출하려는 욕망은 진작부터 강했다. 성 소수자는 우리 사회 문화지형에서 투명인간으로 치부되거나 드러나는 경우라도 피해야 할 존재 또는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묘사돼온 탓이다. 성 소수자 혐오와 차별은 오래된 문제지만, 최근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극우 세력이 늘면서 혐오 발언이나 행위가 더 만연한 상황이다. 성 소수자 인권이 존중받는 사회가 오려면 페미니스트들의 참여를 통한 사회적 연대가 필요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여성의 남성성을 읽기 바란다. 성 소수자들을 외면하든 지지하든 우리 사회에 질문을 던져야 한다. ‘남자가 되고 싶은 여자또는 몸과 마음이 남자로 바뀐 사람을 법률상 여자로 계속 묶어두는 것은 성 소수자에 대한 다수의 억압이 아닌지 따져볼 일이다.

 

 

 

 

 

 

[1] 주디스 잭 핼버스탬 여성의 남성성, 49~50

 

[2] 여성의 남성성49쪽에 3의 성의 원어를 thirdness’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나는 3의 성을 영어로 표기할 때 ‘thirdness’보다는 ‘Third gender’로 쓰고 싶다. ‘Third gender’는 영어사전에 등재된 단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7-09-19 14: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읽기 쉽지 않은 책은 읽으셨네요.^^

저는 (문화적 경험의 차이로 인해?) 읽지 않고 건너 뛴 부분이 있었습니다.

cyrus 2017-09-19 18:11   좋아요 1 | URL
퀴어 이론을 공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읽은 거라 ‘수박 겉핥기식‘으로 내용을 이해했습니다. 저도 퀴어 영화를 본 적이 없어서 퀴어 영화가 언급된 챕터는 건너 뛰었습니다.. ^^;;

나와같다면 2017-09-19 16: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표지 Sadie Lee 의 ‘Raging Bull‘ 강렬하네요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인정한다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cyrus 2017-09-19 18:14   좋아요 1 | URL
어떤 현상이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려고 해도 편견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

csp 2017-09-19 16: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몇달 전 같은 저자의 <가가 페미니즘>이란 책을 흥미롭게 읽었었는데요. 소개하신 글을 보니 이 책도 구매해서 읽어봐야겠네요.

cyrus 2017-09-19 18:15   좋아요 2 | URL
《여성의 남성성》이 《가가 페미니즘》보다 먼저 나왔으니 저자의 대표작으로 보면 됩니다. ^^

yamoo 2017-09-19 18: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페미미즘 관련 서적도 열심히 읽으시는 사이러스 님^^

안 읽는 분야가 별로 없으신 듯...그러고보니 경제 분야는 리뷰가 많이 없으신 듯...하다는 생각이 갑자기 스치네요..ㅎㅎ

cyrus 2017-09-19 19:37   좋아요 2 | URL
네, 맞습니다. 제가 가장 안 읽는 책의 분야는 경제, 종교입니다. 이 두 분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양의 책을 읽어야될 겁니다.. ㅎㅎㅎ

2017-09-19 19: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9-19 19:39   좋아요 1 | URL
‘제3의 성‘ 또는 ‘안드로진‘이라고 부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