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토론 문화와 알라딘의 배고픈 논객들의 욕구불만을 위로하고자 살벌한 토론장을 개장합니다.

의제야 제가 능력이 있나요.

쟁점이 될 만한 신문기사를 따다가 의견을 달고, 댓글을 통해 피를 튀기는 방법이지요.

많은 참여 바랍니다^^

참여방법은 물론 댓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80013

내 은사님은 매우 예민하다. 그게 좀 심하기도 한데, 특히 맞춤법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

차를 몰고 가다가 표지판의 어법이 틀렸으면 당장 당국에 전화를 해서 수정을 요구한다.

하지만 대개는 수정되지 않는다.

그 길을 다시 지나며 은사님은 '괜한 아픔'을 또 느끼신다.

그래서 은사님 앞에서 발표를 할 때는 발음이며 어법을 살핀다.

나도 그 '편벽'을 조금 물려받았을까?

뉴스를 보거나 신문을 보거나 잘못된 부분들을 그냥 넘기지 않고,

한참 분개를 하고서야 지나간다.

그때마다 '아프다'

내가 아파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 '아픔'의 속성이라는 것은

識字憂患

오래전에 이곳을 거쳐간 사상가나 문학가들이 느낀 '고통'을 조금 알 것도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업, 특히 서점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두렵다.

그들의 서비스 정신이라는 것은 서비스의 대상을 '사물 혹은 나쁘게 말하면 먹이'로 인식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만약 그들이 서비스의 대상을 '인간'이라고 인식한다면 인간을 상품보다 밑으로 두는 일은 없을 것 같다. "만원이십니다" 같은 것을 두고 하는 말은 아니다. 요즘은 '서비스'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FTA가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루어져 서비스 업종이 대거 진출을 한다면 우리의 '서비스 색채'를 갖지 못한 상태에서 무방비로 시장을 내주지 않을까 하는 걱정마저 든다. 못된 비약에다 결벽증세이지만 그렇다는 것이다.

암튼 나는 지금 몹시 아프며, 서비스 하는 분들을 접할 때마다 상처받을까 두렵다.

이러다 대인공포증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무래도 이 글은 필터를 통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도 하는데 그냥 흘려보낸다.

'딴지돌이' 승주나무는 그렇지만 소심한 'B형'은 아니다. ㅋㅋ

원하는 고객에게만 모니터를 실시한다.

모니터를 하면서 글을 다듬고, 그것이 반영되면 또 행복할 뿐이다.

녹색평론에서는 '결제'를 '결재'라고 표기해서 불평글을 또 남겼다.

답장 메일에는 고쳐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주문하신 책을 보내드리지요'라고 했다.

아직까지 서점가에서 (겉으로라도) 나의 진심을 알아준 곳은 녹색평론뿐이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69873

이때는 내가 또 말을 잘못했나 하여 걱정스럽기도 했다.

내가 OO문고에 잘 안 가는 이유는 "만원이십니다"를 지적했더니 '재수없다'는 눈으로 쳐다봤기 때문이다.

싱겁소심한 승주나무^^;;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05-18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역시 알아야 그것두 지적이 가능하죠. 그냥 그런가부다 하고 지나가는 저는 눈에 잘 안들어오더라구요.

물만두 2006-05-18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소심하시면서 잘하시네요^^ㅋㅋ

chika 2006-05-18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하시는거예요. (근데... 그래서 저도 댓글 잘 안쓰는거 이해하시죠? 흐흐흐~

승주나무 2006-05-18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락사스 님//'알아야 면장질을 하지'라는 말이 갑자기 떠오르네요^^ 제 눈에는 아프락사스 님만 들어오는데요^^(제가 또 무슨 말을)
물만두님//너무 하세요 ㅠㅠ;; ^^;; (울다 웃는 승주나무)
치카치카 뿡뿡 님//정체를 밝히시지요. 매일같이 아뒤를 바꾸니 제가 '존함'을 정하기가 매우 힘들지 않습니까. 그리고 댓글 안 다시면 제가 서재를 '급습'하겠습니다. (반 협박임)^^

chika 2006-05-18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급습은 하나도 두렵지 않다네~ 룰루~ (방어가 철저한! 이라고 표어를 내걸고 싶지만, 와봤자지~ 라는 생각이 더 크기땀시...흐흐~)

승주나무 2006-05-19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치카님, 과연 그럴까요. (실은 내가 더 두려움^^;;;;)
 

일본군의 진주만 기습이 되풀이되지 않게 하기 위해 1947년 창설돼 60년 가까이 미국 정보기관들의 ‘맏형’ 역할을 해온 CIA의 자리가 흔들리게 된 것은 냉전이 끝난 뒤부터다. 1993년 2월 정치첩보에서 경제첩보로 역할 전환을 선언했지만 각국의 첨단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미 산업기술의 유출을 막는 낯선 임무에 적응해가는 사이 백악관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봇(robot)은 ‘일하다’는 뜻의 체코어 ‘robota’에서 나왔다. 로봇이란 말은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에서 처음 쓰였다. 이 희곡에 등장하는 로봇은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도록 개발됐다. 그리스 신화에 제우스가 놋쇠로 만든 거인 ‘탈로스’가 나오는 것을 보면 로봇과 인조인간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내재적 요소가 아닐까.

출처 : 경향신문 5월 6일자 '여적'(쓰다 남은 먹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5-15 0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상식꺼리 하나 던져주셨네요. 얼마나 오랫동안 기억할지 모르지만
 

‘작전명과 작전내용의 모순관계’라는 법칙대로 대추리 황새울 벌판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군경의 작전도 ‘5월 광주’를 방불케 할 정도로 자못 폭력적이었다. 시위대가 죽봉을 ‘무기’로 사용했다고 하나 이미 경찰과 밀고당기는 과정에서 갈라지고 부러져 무용지물이 된 상태에서 경찰은 10배가 넘는 병력의 우위로 시위대를 진압봉으로 사정없이 내리치고, 방패로 찍으며, 군홧발로 짓밟았다.

5월 광주민주화운동때 있었던 진압작전명이 '화려한 휴가'인 것도 이와 같다.

출처 : 경향신문 5월5일자 사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