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읽기 시작!
끝까지 잘 읽어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장. 성적 자기결정권을 넘어서
성매매가 노동인가 폭력인가에 대하여, 성폭력 피해자 중심주의에 대한 논의, 그리고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담론이 담겨있다.
˝내 몸은 나의 것˝이 아니라 ˝내 몸이 바로 나˝라는 인식이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출발점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부록으로 실린 ˝죽어야 사는 여성들의 인권:한국 기지촌 여성 운동사1986~1998˝은 ... 이보다 더 자세히 알긴 어렵다 느낄 정도! 같은 사건(윤금이, 송종순 사건)을 여러 책에서 반복적으로 대하다보니 이런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어온다.

피해자 중심주의는 오랜 세월 동안 객관성이 남성의 경험에 근거했기 때문에 이제는 여성의 경험이 객관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객관성이 사회적 권력관계로부터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며, 마치 여성주의가 가부장제 세계관을 대체할 수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여성주의는 기존남성의 입장에서 구성된 객관성이 틀렸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남성의 객관성을 역사화하고 정치화함으로써 부분화하고 상대화하자는 것이다. 객관성은 권력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이며, 권력관계에 따라 변화하고 유동하고 이동하는 정치적 구성물이기 때문이다.  - P259

피해자 중심주의는 모든 피해 여성이 동일한 경험을 하며 피해자의 경험이 그 자체로 객관적인 것 같은 오해를 준다. - P259

사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성폭력 피해자 중심주의는 실현 불가능한 기획이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주장이 대립할 때, 피해자의 목소리를 우선 경청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P260

이는 성폭력뿐 아니라 모든 인권 이슈의 기본 시각이다. 유독 성폭력 문제에만 피해자 중심주의를 강조해야 하는 상황과 이 주장이 과격하게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조건 자체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성차별적인지 보여줄 뿐이다. - P260

가장 큰 문제는 피해자 중심주의가 오히려 성폭력 사건의 객관성 증명 책임을 피해 여성에게 지운다는 사실이다. 피해자 진술의 객관성은 피해 여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성의 이야기를 제대로 들을 수 있는 사회의 태도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해 성폭력 사건의 객관성은 피해 여성이 증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여성들의 목소리를 존중하는가 ,아닌가에 달려 있다. 객관성은 ‘해방‘에 관한 것이 아니라 무엇이 객관적인지 사회적 경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피해 당사자들이 정치적 위험을 무릅쓰는 문제이며 그렇기 때문에 불평등한 구조를 드러내는 표식의 일부이다. - P260

개인의 경험과 말하기 실천은 기억들 간의 경합과 선택의 결과이다. 따라서 경험은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해석이다. 성폭력 사건의 객관성(‘사실‘, ‘진실‘)은 여성의 경험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경험을 해석할 수 있는 특정 사회의 언어 체계에 그 책임이 있으며, 이는 성별 권력관계에 의해 구조화된다.
- P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성애자가 경험하는 섹슈얼리티가 내게는 낯설기 그지 없었고, 이십 대 중반에 이걸 깨달으면서 내 삶은 많은 부분이 새롭게 구성되었다. 남들에게는 사춘기 때 켜진 스위치가 내게는 끝까지 딸깍이지 않았다. 이 시기에 대다수는 자위를 시작하고, 야한 꿈을 꾸거나 성적 환상을 품고, 머리카락 냄새나 드러난 어깨 같은 육체성과 접촉을 극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일부에게는 이런 발달이 약간 늦게 나타난다. 다른 사람, 나 같은 사람에게는 이 모든 일이 아예 일어나지 않았다.  - P32

나는 키가 자라고 감수성이 예민해졌지만 어느 
날  갑자기  주위를 둘러보며 여러 몸을 의식하지는 않았다. 그 몸에서 뭔가를 원하는 건 말할 것도 없었고. 십대시절의 짝사랑은 물론 강렬했으나 더 어려서 느꼈던, 미적으로 끌려서나 상대가 똑똑하다고 생각해서 생겼던 마음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환상 속에서조차 이 마음은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더러 연애 상대로 괜찮다고 말해주는 것 이상으로 나아간 적이 없었다. - P32

 "성적 끌림을 아예 느껴보지 않은사람은 성적 끌림이 어떤 느낌인지 알지 못하며 지금껏 그걸 느낀 적이 있는지 알기 어려울 수 있다." 
무성애 연구자 앤드루 C. 힌더라이터 Andrew C. Hinderliter가 2009년 학술지 《성적행동 기록Archives of Sexual Behavior》의 편집자에게 보내는 서신에 쓴 말이다. 그래, 누가 아니라니.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 시작부터 맘에 드네!

들어가며: 신비롭지 않은 모두를 위하여
수억 마리 정자는 난자 하나를 목표로 달려간다. 정자는 도중에 산성 물질에 죽거나  대식 세포에 잡아먹히기도 하고 길을 잃기도 한다. 고난의 레이스 끝에 단 하나의 정자만이 난자의 투명대를 뚫고 들어가 승자가 된다. 생명탄생은 이렇게 수억분의 일의 확률로 정자가 난자와 만났을 때 시작되는 경이로운 과정이다.

지금까지 난자와 정자의 수정 과정은 대체로 이런 식으로 묘사되어 왔다. 정자는 자체적 추진력을 가진 능동적 존재로, 수정 과정은 이 능동적인 정자가 수동적인 난자를 포획하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마치 적극적인 남성이 여성을 쟁취한다는 이야기 
같다. 그런데 현실은 이렇다.

거대한 정자 무리가 물결치듯 움직이며 어디론가 흘러간다. 때로는 벽에 부딪히고 때로는 끈끈한 점액 속에 허우적대면서. 무리의 일부가 난자 가까이다가가 서성대면 난자는 잠시 시간을 두었다가 그중 하나를 끌어당긴다. 생명 탄생은 이렇게 까다로운 난자가 정자를 선택하며 시작되는 경이로운 과정이다.

이것이 바로 지금 과학의 이야기다. 2020년 6월 초 스웨덴 스톡홀름대학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난자는 정자들이 경쟁해 획득하는 목표물이 아니다. 난자는 화학 신호를 보내 스스로 선택한 정자를 끌어들인다. 정자가 난자의 여포액에 포함된 화학 물질에 반응해 이동하는 수동적 존재라면 난자는 마지막 순간까지 수정에 적합한 정자를 골라내는 능동적 존재다.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익숙할 ‘경쟁적인 정자와 조신한 난자‘ 이야기는 이미 1970년대부터 과학자의 실험실에서 퇴출되기 시작했다. 실험실 밖 세상은 인간의 두 생식 세포에게 여전히 전통적인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섹슈얼리티 정치학˝, ˝3장 젠더들˝을 읽었다.
한번 펼치니 쭈욱 계속 읽게 된다. 일단, 재밌다.
3장의 ‘주필리아, 동물성애의 경우‘ 부분은 내가 읽지는 않았지만 <성스러운 동물성애자>와 주필리아, 그리고 어제 읽었던 정희진 선생님 다른 책 <영화가 내몸을 지나간 후>에서도 인상깊게 읽었던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를 연관지어 설명해 놓았는데, 읽고 나니 영화가 더 궁금해져서 얼른 보고 싶다.
4장과 부록은 ‘성매매‘와 관련있는 부분이어서
같이 읽으면 될 거 같아 잠시 미룬다. 이 부분도 근래에 성매매 관련으로 읽은 책들이 있어 도움이 될 거 같다. 매우 궁금하지만 잠시 쉬기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