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탐정록 경성탐정록 1
한동진 지음 / 학산문화사(단행본)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탐정물을 좋아하는 터라 알라딘에서 소개되었던 경성탐정록에 눈이 갔다. 네티즌 평이 다 좋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탐정물도 한번 쯤을 봐보고 싶은 생각에 샀는데... 재미는 있다. 
 

단지... 셜록 홈즈의 패러디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뿐... 뭐.. 애초에 작가가 그걸 의도하고 쓴것 같기도 하지만, 조금 씁쓸한 생각도 든다. 우리나라에도 탐정이 있을건데 하필 영국탐정을 모델로 쓸건 뭔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만큼 셜록 홈즈의 팬이 많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주인공 이름은 설홍주다. 딱 셜록 홈즈를 연상시키는 이름이다. 물론 홈즈의 캐릭터도 거의 완벽할 정도라서.. 읽다 보면 개화기때 외국 소설을 번역한 책을 읽는 기분이다. 오만한 홈즈의 말투나 사고방식도, 추리를 해나가는 전개 방식도, 하다못해 주변인물까지도 보는 내내 셜록 홈즈를 연상시킬 정도였다. 재미라도 없었으면 완전 후회할뻔한 책이다.

다행이 책 내용 자체는 재미있었다. 1930년대 경성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5가지의 사건들이 설홍주의 명쾌한 추리로 해결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 단편들의 제목이 소제목으로 쓰여 독특하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내용은 원 소설과는 완전 딴판이지만...

셜록 홈즈의 가차없는 말은 설홍주에게서도 보인다, 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광화사 편에 나오는 ‘조선의 지식인이란 것들은 열에 아홉이 그 모양 그 꼴이라네. 사람들 앞에선 구습을 타파하고 자유와 평등의 기치를 높이 세울 것을 주창하지만, 뒤에선 미신에 매달리고 가문의 명성에 집착하지. 그리고 왜놈들을 만나면 어떻게든 한자리 차지하려는 욕심에 개처럼 꼬리를 흔들어 대지. 마치 나혜석의 남편처럼 말야. 하지만 그래봐야 뭐하겠나 ? 후세에 더러운 이름을 남기는게 고작이겠지’ 부분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그 무렵에 그런 지식인들이 없던게 아니었기 때문에 더 따끔하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무렵의 일제 통치에 대해서는 조금 미화된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어차피 정치물이 아닌 추리물이기때문에 그런 심각한 부분까지는 묘사되지 않았겠지. 그래서인지 작품이 훨씬 가볍고 산뜻하다는 느낌이 있어 나쁘지만은 않다.

그 당시에도 일본인에게 대접받는 설홍주처럼 명쾌한 탐정이 있었더라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고초가 덜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셜록 홈즈의 패러디라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다음 작품도 기대해 볼만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엄청난 광고 속에 충동구매를 했던 책인데.. 역시 충동구매는 후회의 지름길이란 생각을 합니다.

처음 볼 때부터 그닥 끌리지 않았는데.. 너무나 여러번 끊어 보아 그런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도 잘 모르겠군요. (참고로... 전 재밌으면 날을 새서라도 다 봅니다.)

분명 랭던이란 사람이 주인공이었는데.. 다른 사람들에게 끌려다니는 주인공도 오랫만에 보는군요.

미술이나 종교, 기호학에 관해서는 제가 잘 모르기 때문에 얼마나 박식한지 잘 모르겠지만 대단하다는 생각은 듭니다.

보다보니 예전에 봤던 [쿰란]이라는 책이 생각이 나더군요.

[쿰란]도 기존의 예수에 대한 생각을 뒤집는 그런 내용이었거든요.

예수라는 사람은 아마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실존인물이던 아니던... 구세주이던 아니던...

이미 지나간 일을 우리는 확인하기 어렵고 교회의 자료 안에 파묻힌 그를 제대로 알긴 어렵지요.

이 책도 역시나 교회가 은폐하고 있던 새로운 예수에 관한 사실을 알려줍니다.

물론 그런 생각은 당연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수는 분명 신이 아니라 인간이었으니까요.

책이 재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작가가 가진 상상력만은 인정하고 싶군요.

그 동안 성배라는 것은 '잔'이라는 것이 통상적 생각이었고

예수는 '우리와는 다른 존재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으니까요.

고정관념을 깨기란 어렵다는 것을 생각할 때 참 파격적인 생각을 지닌 작가라고 말해 주고 싶군요.

 

참 하나 더.. 이 책을 읽다보니 다빈치의 그림을 다시 한번 자세히 봐야겠다라는 생각은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돔의 성자 - 신주쿠상어 1
오사와 아리마사 지음 / 이성 / 1993년 5월
평점 :
절판


 사메지마란 현실과 타협하기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경관이 나오는 일본 경찰소설이다.

창룡전을 보면서도 느낀거지만 정말 책에서 묘사된대로 일본의 상황이 그렇다면 일본도 우리나라 못지않게 부패했다는 건가.

정경유착이 심한 나라라는 말은 들은 적이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적나라하게 읽는 것은 처음이다.

경제대국이라는 그늘에 가려 그 동안의 일본 사회가 들리지 않았던 것일까.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나라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

사메지마는 적당히 야쿠자와 손잡는 법, 상관에게 빌붙는 법을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아 엘리트이면서도 엘리트코스에서 이탈해 있다.

그렇다고 존 맥클레인같은 영웅취급을 받지도 않는다.

 한번에 해치우는게 아니라 끈질기게 따라붙는 다고 신주쿠 상어로 통한다.

모두가 꺼리는 경관이라 파트너 없이 행동하는 신주쿠서의 유일한 경관이다.

그렇지만 굉장히 용감한 사람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다.

혼자의 힘으로 불의에 맞선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지만 그러면서도 올바른 정신으로 일을 한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것이 아닌가.

신념이 있는 경관에게 경의를 표하며.....

지금은 구할수 없는 책 같은데 도서관에서 빌려라도 보라고 권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