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이유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제인 구달 지음, 박순영 옮김 / 궁리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침팬지 행동연구로 유명한 제인구달의 자서전이자 침팬지 행동학, 그리고 인류학 보고서...

그녀는 과연 침팬지 연구의 목적을 어디에 두었던걸까 ? 책을 읽기 전 나는 순수한 침팬지 연구의 분야를 기대했었지만 그녀는 침팬지의 행동들을 연구하면서 매번 인간의 행동과 비교하고 있었다. 순수한 침팬지 연구인지... 침팬지 연구로 인간의 본성을 파악하고 싶었는지.. 잘 모르겠다.

아직 2/3밖에 읽지 않아 그녀가 말하는 희망의 이유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수는 없으나, 제인 구달은 이 책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안겨주는 것은 인간의 사랑과 연민과 자기희생의 자질을 부정할 수 없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결국 그녀는 침팬지를 연구했던 것인지... 인간을 연구했던 것인지.... 아무리 침팬지를 사랑했어도 인간의 시각을 벗어날 수 없었던 걸까...

책은 조금 지루한 그녀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서, 흥미진진한 침팬지 행동연구, 머리아픈 인간의 본성 탐구로 이어진다.

책 곳곳에 묻어나는 기독교적 사고가 종교없는 내겐 좀 짜증도 났었지만, 그녀의 인생은 멋지다.

내가 그녀의 삶에 박수를 치고픈건 어린 시절의 꿈을 결국 현실로 이루고 끝까지 그 꿈을 유지시켜 나갔다는 것이다. 그 당시 결코 쉽지 않았을 아프리카행, 위험한 야생동물 연구, 학살이 이루어졌던 아프리카 내전의 사이에서 나는 잘 구별조차 되지 않는 침팬지에게 각각 고유 이름을 붙여가며 연구에 몰두했던 그 열정이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의 전략 - Reading & Writing
정희모.이재성 지음 / 들녘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간이 칼럼을 쓰는데다 글쓰기에도 관심이 있어서 집은 책인데 전문서적 못지 않게 체계적이지만 일반인도 알기 쉽게 풀어쓴 책이다.

게다가 페이지마다 익살스러운 그림들이 그 장을 요약해 주어 전문적인 딱딱함이 훨씬 줄어든다. 챕터가 끝날때마다 헷갈리기 쉬운 우리 글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있는데, 공부할 때 봤으면 문법 공부하는데 시간이 훨씬 줄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떨칠수가 없다. ^^;;0

글은 써보지 않고는 늘지 않는다. ‘어머, 나는 글 잘 못쓰는데... 한 문장 쓰는 것도 어려워..’라고 생각해서 시도도 안해본 사람이 많을텐데 문장을 잘못 썼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문장력은 글쓰기의 기본이라 학습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어떤 문장가라도 완벽한 문장을 쓰는 경우는 드물다. 어려워만 말고 한번 시도해 보는건 어떨까...

좋은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것 또 하나는 읽기다. 많은 책들을 읽지 않고는 좋은 글을 쓸수 없다. 그러나 무턱대고 많이 읽기만 한다고 좋은 글을 쓸수 있는 것도 아니다. 지식을 얻고, 분석(구성, 문장력 등)하면서 읽는 연습이 글쓰기의 기본이다. 독서는 단지 지식을 얻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남의 문체, 구조, 표현력 등을 배울 수 있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많은 책들이 글쓰기에 관해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내용은 대개 비슷하다. 우리도 작문시간에 교과서를 두고 배웠었다. 그러나 그 책들을 읽고 글쓰기 능력이 향상된 사람은 없다.

필자는 글쓰기는 순전히 노동이라 말한다. 쓰는 것도 준비하는 것도 좋은 글을 쓰기 위한 학습도 고된 노동이라고 얘기한다. 글을 써본 사람 입장에서 이 말에 100% 공감한다. 짧은 A4 한 장을 채우기 위해 얼마나 많은 페이지의 글을 읽어둬야 하는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른다. 그 과정을 거치고 본격적으로 글을 쓰는 과정에서도 버려지는 문장이 한 둘이 아니다. 한줄 쓰고 다시 읽어보고, 또 한줄 쓰고 또 다시 읽어보고.... 그렇게 다듬고 다듬어 완성된 글도 마음에 안들면 뭉텅이로 버린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것인가? 하는 글쓰기의 전략을 순서대로 말하면서 특별히 그 비법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많은 예시글을 제시하고 분석해가며 자신이 직접 글을 쓰도록 유도하고 있다. 챕터가 짧아 읽기에 부담스런 책은 아니나 잔재미가 있는 책도 아니어서 읽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평소 글을 써보고 싶었는데.... 글재주가 없어서... 란 이유로 선뜻 펜을 잡지 못했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50%는 작문책․문법책, 50%는 교양서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