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의 전략 - Reading & Writing
정희모.이재성 지음 / 들녘 / 2005년 10월
평점 :
간간이 칼럼을 쓰는데다 글쓰기에도 관심이 있어서 집은 책인데 전문서적 못지 않게 체계적이지만 일반인도 알기 쉽게 풀어쓴 책이다.
게다가 페이지마다 익살스러운 그림들이 그 장을 요약해 주어 전문적인 딱딱함이 훨씬 줄어든다. 챕터가 끝날때마다 헷갈리기 쉬운 우리 글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있는데, 공부할 때 봤으면 문법 공부하는데 시간이 훨씬 줄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떨칠수가 없다. ^^;;0
글은 써보지 않고는 늘지 않는다. ‘어머, 나는 글 잘 못쓰는데... 한 문장 쓰는 것도 어려워..’라고 생각해서 시도도 안해본 사람이 많을텐데 문장을 잘못 썼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문장력은 글쓰기의 기본이라 학습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어떤 문장가라도 완벽한 문장을 쓰는 경우는 드물다. 어려워만 말고 한번 시도해 보는건 어떨까...
좋은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것 또 하나는 읽기다. 많은 책들을 읽지 않고는 좋은 글을 쓸수 없다. 그러나 무턱대고 많이 읽기만 한다고 좋은 글을 쓸수 있는 것도 아니다. 지식을 얻고, 분석(구성, 문장력 등)하면서 읽는 연습이 글쓰기의 기본이다. 독서는 단지 지식을 얻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남의 문체, 구조, 표현력 등을 배울 수 있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많은 책들이 글쓰기에 관해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내용은 대개 비슷하다. 우리도 작문시간에 교과서를 두고 배웠었다. 그러나 그 책들을 읽고 글쓰기 능력이 향상된 사람은 없다.
필자는 글쓰기는 순전히 노동이라 말한다. 쓰는 것도 준비하는 것도 좋은 글을 쓰기 위한 학습도 고된 노동이라고 얘기한다. 글을 써본 사람 입장에서 이 말에 100% 공감한다. 짧은 A4 한 장을 채우기 위해 얼마나 많은 페이지의 글을 읽어둬야 하는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른다. 그 과정을 거치고 본격적으로 글을 쓰는 과정에서도 버려지는 문장이 한 둘이 아니다. 한줄 쓰고 다시 읽어보고, 또 한줄 쓰고 또 다시 읽어보고.... 그렇게 다듬고 다듬어 완성된 글도 마음에 안들면 뭉텅이로 버린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것인가? 하는 글쓰기의 전략을 순서대로 말하면서 특별히 그 비법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많은 예시글을 제시하고 분석해가며 자신이 직접 글을 쓰도록 유도하고 있다. 챕터가 짧아 읽기에 부담스런 책은 아니나 잔재미가 있는 책도 아니어서 읽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평소 글을 써보고 싶었는데.... 글재주가 없어서... 란 이유로 선뜻 펜을 잡지 못했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50%는 작문책․문법책, 50%는 교양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