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모 ㅣ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적부터 모모라는 책은 이야기를 너무 많이 들어 내가 읽은 책이 아니었던가 의아해질 때가 종종 있었다. 실은 내가 사놓은 책인 줄 알았는데.. 아니어서 좀 당황하기도 했다.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읽은 이 책은 확실히 어린이용이긴 했으나 초등학생이 읽기엔 좀 어렵지 않나 싶다.
다들 알겠지만... 모모는 시간에 관한 동화다. 회색 인간들에게 빼앗긴 시간을 되찾아오는 단순한 내용이나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기에는 초등학생은 좀 어리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책의 사양이나 편집은 아이들이 보기에도 좋지만 어른이 보기에도 눈이 피곤하지 않아 좋다.
[세상에는 아주 중요하지만 너무나 일상적인 비밀이 있다. 모든 사람이 이 비밀에 관여하고, 그것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람들은 대개 이 비밀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조금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 비밀은 바로 시간이다.
시간을 재기 위해서 달력과 시계가 있지만, 그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 사실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한 시간은 한없이 계속되는 영겁과 같을 수도 있고, 한 순간의 찰나와 같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한 시간 동안 우리가 무슨 일을 겪는가에 달려 있다. 시간은 삶이며, 삶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니까.]
읽으면서 시간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된다. 언제부턴지 시간이란 다시 잡을수 없는 것이란 생각이 들면서 현재 누리고 있는 시간들을 제대로 쓰지 않으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인지.... 이것 저것 하고 싶은 것도 많이 생기고, 만나고 싶은 사람도 많이 생겼나 보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회색인간의 간계에 빠져 자기 시간을 은행에 저축한다 믿고 그간 누렸던 여유와 느긋함을 잠시 미뤄두었다. 그리고 어떤 생각도 할 겨를이 없이 바쁜 일상에 쫓기게 된다.
하지만 삶이 팍팍해지도록 시간을 쪼개 일을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하릴없이 시간을 흘려보내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번뿐인 인생을 그렇게 보내긴 아깝다. 시간이 아까운 것이야 사실이지만, 아껴두고 나중에 쓸수 있다는 말이 그럴 듯 하지만... 흘러간 시간은 다시 오지 않는다.
동화라 그런지 은유적인 표현보다는 직접적인 표현이 많다. 책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도 깊이 고민해야 알수 있는 그런 것보다는..... 책을 읽는 와중에도 알수 있을 정도다. 읽어보지 않았다면 시간내 읽어 보길 권한다. 단순한 동화도 머리를 식히는데 도움이 된다.
시간도둑인 회색인간......... 나에게 있어서는 ‘게으름’일까.... ㅡㅡ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 시계바늘이다
모모는 방랑자 모모는 외로운 그림자
너무 기뻐서 박수를 치듯이 날개짓하며
날아가는 니스의 새들을 꿈꾸는 모모는 환상가
그런데 왜 모모 앞에 있는 생은 행복한가
인간은 사랑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을
모모는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 시계 바늘이다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 시계 바늘이다
우~~~~ 우우우
- 대학가요제에서 김만준씨가 불렀던 [모모]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