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미암일기 1567-1577
정창권 지음 / 사계절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미암 유희춘이 1567년 10월 1일부터 1577년 5월 13일까지의 개인 일기를 바탕으로 씌여진 책이다. 저자는 매일 매일 한문으로 기록한 그의 일기를 통해 그가 살던 16세기 조선의 생활사를 엿보고자 한다.


저자의 의도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조선 후기에 비해, 전기나 중기의 생활상은 우리에게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사실, 우리가 아는 조선의 생활상은 거의 모두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의 생활상일뿐이다,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여성 문학과 생활사를 공부하던 나는 시간이 흐를수록 그 구체적인 생활상이 더욱 더 궁금하였다. 도대체 이 시기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으며, 어떤 의식을 지니고 있었을까?'

저자는 그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암 유희춘이 작성한 개인 일기인 [미암일기]를 참조하기로 한다. [미암일기]는 흔치 않은 개인일기이며, 더욱이 그 생활차체를 세세히 기록한 보기드문 기록이기도 하다.

허나, 안타까운 것은 이 책이 철저히 지배계급인 미암의 시선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책은 그 시대의 생활사라고는 하나 온전히 양반계급의 생활상이 두드러진다.

물론,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책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더욱이 미암은 집안의 경제생활이 관심이 많아서 들어오고 나간 물건에 대한 소상한 내역을 일기에 모두 적어놓았다. 그것만으로도 그 시대 양반계급이 어떻게 생계를 유지해 나갔는지를 대략 짐작케 한다. (물론, 이도 중앙 관료 양반계층에 한 한다고 봄이 더 옳을 듯하다.)

어느시대를 막론하고 피지배계층의 생활에 크게 관심을 가진 적은 물론 거의 없었다고 본다. (있었다면 내가 모르고 있는 것이다.) 사실, 역사공부를 해도 피지배계층의 생활사 같은 것은 배우지 않는다.

미암 일기를 통해 양반 사회의 가족관계와 그 시대 여성(물론, 양반)의 지위를 짐작하게 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노비들의 위치도 알 수 있다. 이 시대 양반들은 노비가 없으면 생활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미암의 일기에서도 그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노비, 하면 그 어감 때문인지 중세 유럽의 노예와 비슷하게 들린다. 물론, 어느 정도 비슷하다고는 본다. 노비는 어찌되었던 양반의 개인 소유물이었다. 그렇지만, 개나 소처럼 대접받았던 것은 아니다. 아프면 의원을 불러 치료도 하고, 적절한 때에 휴가도 주며, 심지어 급료도 주었다(물론, 특별한 경우. - 미암의 경우 서울로 함께 올라와 집안을 돌보던 노비들에게). 자신의 노비를 지켜주기도 하였다.

또한 처가살이를 해서인지는 몰라도, 여성의 권위가 높았다. 물론, 그 많은 가족들의 생계를 챙기는 것은 여성이었으니, 당연한지도 모른다.

일기를 통해서 보면 미암은 상당부분 부인은 덕봉에게 의지하고 있으며, 그녀를 존경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덕봉이 그의 창작활동에도 도움을 줄 정도의 여인이며, 부부가 서로를 많이 아끼고 그리워함도 알 수있다. 심지어 부부싸움도 가능했다.(나는 조선시대에 여인은 무조건 남편의 말에 복종한다고 생각했다. 사극에선 할말 안할말 다하는 여인들이 많이 나오긴 하더라만.)

또 한가지, 서출이 양민이 되기도 의외로 어렵지 않은 시기였던 듯하다. 미암은 그의 서녀 셋을 모두 양민으로 속량시켜주었으며, 시집을 보낼때도 최선을 다해 그 제물을 마련해 주었다. 그 유명한 홍길동은 후기에나 나올수 있는 것이었다.

이 책은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16세기 양반이 쓴 개인일기를 통해 엿볼수있는 생활상이란 생각보다 많이 흥미롭다. 단지, 그 한계가 너무 분명하여 조금 안타깝다.

물론, 지배계층인 양반이 피지배계층의 생활에 관심을 가질리가 없으며, 피지배계층인 양민이 기록을 남기는 것도 어려운 일이니 이정도가 어쩔 수 없는 한계일 것이다. 그럼에도 아쉬운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