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로렌조의 밤, 체칠리아는 잠든 아이의 머리맡에서 오래전 그날, 6살의 로렌조의 밤의 기억을 떠올리며, 아이에게 들려준다.

독일군의 지배하에 있던 작은 마을. 미군이 진군하여 온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후퇴를 앞둔 독일군은 마을을 폭파시키겠다 위협하고, 성당의 안전만은 약속받은 신부는 마을 사람들에게 성당으로 피신하자고 설득한다.

그러나 늙은 농부 갈바노는 독일군이 우리를 그냥 살려 둘리가 없다며, 마을을 떠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마을 사람들은 두 갈래로 나뉘어 다음날 새벽 서로 작별을 나눈다. 성당으로 향한 이들과, 검은 색옷으로 갈아입고 마을을 떠난 사람들.

어린 체칠리아는 마을이 폭파된다는 것도 불꽃놀이처럼 느끼며, 그저 하나의 놀이처럼 즐거워한다.

드디어 폭음 소리가 들리고, 마을 사람들은 집의 열쇠를 버리고야 만다, 슬퍼하며. 영화는 마을이 폭파됨을 단지 소리와 무너진 시계탑(맞나?) 만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날 밤이후, 다시 길을 떠난 그들은 수박 서리도 하고, 파시스트와 마주쳐 몇몇이 죽기도 한다.

산달이 가까워온 임산부는 다시 마을로 되돌아가고, 그녀를 데려다주려는 사람들과 다시 마을로 돌아가려는 사람들과의 또다른 이별을 뒤로하고 사람들은 길을 떠난다.

다시 마을로 돌아간 사람들은 성당에 모여있다. 열려있던 성당의 문이 독일군에 의해 닫히고, 성당은 폭파당한다. 그리고 부상당한 이들과 죽은 이들이 쏟아져 나온다.

죽은 (다시 마을로 돌아온) 임산부를 부축하던 여인은 도와주려는 신부의 손을 냉정히 뿌리치고 수없는 말을 담고 있는 눈으로 그를 노려보다 돌아선다. 힘없이 주저 앉은 신부는 그 순간 어떤 생각을 했을까?

한편, 길을 떠난 사람들은 미군이 아닌 저항군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들을 찾아가 함께 한다.

그리고 노오란 추수가 한창이었던 그 밀밭에서 독일군과의 전투가 벌어진다. 서로 죽고 죽이고. 잊혀지지 않는 장면 중 하나는 서로를 쏴 죽인 독일군과 저항군이 같이 쓰러져있는 곳으로 죽은 이들을 발견한 독일군과 저항군이 함께 슬퍼하다가 서로 싸우던 장면.

어린 체칠리아는 그 속에서 울며 귀를 막고 언젠가 길에서 엄마가 알려주던 주문을 외운다.

저항군과 싸우던 이들은 독일군이라기 보단 파시스트들이다. 같은 나라의 사람들. 그들은 서로가 서로를 향해 총구를 겨눈다. 아이를 잃은 파시스트가 괴로워 울부짓다가 결국은 스스로 총을 쏴 죽은 장면은 서로가 총구를 겨누던 그 시절을 대표하는 장면일 것이다.

전쟁을 다룬 영화이지만, 영화는 그렇게 잔인하게 그려지지 않는다. 아마도 오히려 영화가 즐겁고 아름답게 기억되는 것은 영화의 시점이 어린 6살의 체칠리아의 시선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죽을 때까지 체칠리아는 그날의 성 로렌조의 밤을 잊지 못할 것이고, 나는 쉽사리 로렌조의 잠을 잊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