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일 :2005년 2월호


지난 호 네트워크 엔지니어에 대한 소개에 이어 이번 호부터는 본격적으로 네트워크의 기본 기술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그 첫 번째로 현재와 같은 여러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케 한 이더넷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기술 중에서도 이더넷은 한두 페이지에 소개될 수 없을 만큼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인기 기술인 다계층 스위치나 보안 같은 기술의 습득도 중요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의 기본은 이더넷이라는 점을 잊지 말자.

 

최성열 | 파이오링크 기술지원팀 팀장


고속 이더넷
이제 1995년에 표준으로 제정돼 현재의 네트워크 속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속 이더넷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속 이더넷부터는 현장에서 직접 손쉽게 볼 수 있는 네트워크이므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이용한 100Base-TX
UTP 케이블을 사용하는 100Base-TX는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된 대부분의 컴퓨터들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10Base-T와는 달리, 카테고리 5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다 보니 여전히 100m의 거리 제한을 갖고 있다.


100Base-TX 네트워크는 10Base-T보다 10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자랑하고, 예전보다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나 연결되는 컴퓨터 수가 많아졌기 때문에 중간에 연결되는 스위치들의 신뢰성과 성능이 아주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그림 9)에서는 중간 연결 장비를 '허브/스위치'라고 했지만 사실 요즘은 대부분 고가의 스위치(각 포트마다 속도를 보장해주는)가 주로 사용된다. 스위치는 다양한 포트를 제공하는데 어떤 것은 포트가 수백 포트에 달하는 장비도 있다. 물론 가격도 비싸 대용량 스위치는 몇 억 원 단위까지 올라간다. 
  


 
<100Mbps 네트워크>
요즘 일반적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대부분의 컴퓨터들은 100Mbps를 이용한다. 그래서 자칫  100Mbps 전용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가 10Mbps와 100Mbps 속도를 모두 지원한다. 그래서 10/100Mbps라고 표현한다. 다음에 언급할 1000Base-T를 지원하는 장비들의 경우, 대부분 10/100/1000Mbps처럼 3개의 속도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광케이블을 이용한 100Base-FX
광케이블을 이용한 100Base-FX는 전송 속도와의 관계보다는 거리가 멀거나, 옥외 연결을 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보통 100Base-FX를 사용하면, 양쪽에 연결되는 장비들이 모두 100Base-FX를 지원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인데, 문제는 대부분의 100Mbps 스위치들이 100Base-FX 포트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하지만 (그림 10)과 같이 '광 컨버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스위치에서 100Base-TX만 지원을 하더라도 광 컨버터를 이용해 광신호를 UTP(전기 신호로)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보통 광 컨버터는 수십만 원대에서 백만 원대가 넘는 것들도 있다. 만약 한 포트만 사용한다면 어렵사리 비싼 스위치를 알아보기 보다는 광 컨버터를 이용하는게 바람직하다(요즘 추세는 8, 16, 24포트와 같은 수십 포트를 지원하는 100Mbps 스위치는 같은 속도의 100Base-FX를 제공하기 보다는 속도가 더 높은 1000Base-X 1~2포트를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