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으로 말할 것 같으면무한한 애정을 갖고 있는 책이다막내 동생이 어릴 때 여러 전집을 비교한 끝에 구매한 삼성 전래 동화’ 시리즈 중 한 권으로이 책을 처음 읽은 날 반해버린 뒤로 내 책장에 고이 보관해오고 있다글 송재찬인형 박진덕의 전래 동화 정신없는 도깨비.

 

옛날에 한 가난한 아이가 남의 집 일해 주며 혼자 살았다하루는 돈 서 푼 받고 신이 나서 겅중겅중 집으로 가고 있는데웬 키가 댓 발 장대만 한 것이 아이의 앞에 훌쩍 나타났다이름을 두 번 부르고 손뼉을 두 번 친다는 도깨비다아이는 깜짝 놀랐지만 곧 아무렇지도 않은 척 왜 그러느냐?” 물었고도깨비는 내일 줄 테니 돈 서 푼만 빌려 달라 한다수중에 딱 서 푼 있는 걸 알고 그러는 건지 아이는 주섬주섬 돈 서푼을 꺼내서 도깨비에게 내주었다.

이튿날 저녁이 도깨비가 정말 돈 갚으러 오나 하고 있는데 집 밖에서 아무개야아무개야.” 짝짝하는 소리가 들린다. “옜다어제 빌린 돈 서 푼.” 도깨비는 돈 서 푼을 주더니 휑하니 사라졌다아이는 그 도깨비약속 한번 잘 지키네 싶었다.



그다음 날 저녁도깨비가 다시 찾아와 옜다어제 빌린 돈 서푼.”하며 돈을 갚는다아이는 어제 갚지 않았냐고 받아치지만 도깨비는 허 참너 참 정신도 없구나어제 돈 빌리고 오늘 처음인데 내가 언제 갚아?”하며 우기는 통에아이는 할 수 없이 돈을 받았다이쯤 되면 아이의 다음 날이 그려지지 않는가.



그렇다도깨비는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다음 날의 다음 날에도 서 푼을 갚으러 왔다이렇게 몇 달이 지난 어느 날어김없이 돈을 갚으러 온 도깨비가 웬일인지 가지를 않고 머뭇거린다. “아무개야나 놀다 가도 되나?” 아이는 도깨비의 부탁에 선뜻 응한다. “그러지 뭐뭐하고 놀고 싶으냐?”둘은 두런두런 이야기도 하고 고구마도 쪄 먹고 한참을 노는데도깨비의 눈에 찌그러진 솥이 들어온다. “이 솥 너무 찌그러졌다새것으로 갖다 주랴?” 나쁠 것 없지아이는 그러라고 했다.

다음 날 저녁 도깨비는 돈 서 푼과 함께 새 솥을 가져다주었다아이가 이튿날 아침 새 솥에 밥을 지었는데고슬고슬 탱글탱글 밥 때깔이 다른 거다점심때가 되어 밥을 지으려고 솥뚜껑을 열었는데하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쌀밥이 가득하다그렇다도깨비가 가져다 준 솥은 요술 솥이었다도깨비가 새 솥을 계속해서 가져다주니 집에 솥이 쌓여만 가서아이는 이럴 게 아니라 솥을 사람들한테 나누어 주기로 한다아이의 나눔으로 온 동네가 요술 솥으로 떠들썩 신이 났다.

하루는 아이가 또닥또닥 다듬이질을 하고 있는데도깨비가 찾아왔다어김없이 돈 서 푼과 요술 솥을 들고 말이다아이가 손에 쥔 다듬잇방망이를 보더니 다 닳았다며 새것으로 갖다 주랴묻는다이번에도 마다할 것은 없어서 아이는 그러라고 했다.

이튿날 저녁 도깨비는 돈 서푼방망이를 가져왔다솥이 그랬던 것처럼 방망이 역시 일반 방망이가 아니었다원하는 것을 말만 하면 그것이 나오는 도깨비 방망이였다하루 종일 남의 집 일하고 돈 서 푼 받던 아이한테 횡재가 아닐 수 없었다아이는 돈이며 솥이며 방망이를 동네 사람들한테 골고루 나눠 주고 모두가 덩실덩실 살판이 난 어느 날이었다훌쩍훌쩍 하늘에서 우는 소리가 들려서 올려다보니 눈물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도깨비였다.



아니 너 왜 거기 떠서 울고 있느냐?”

살림을 헤프게 해서 벌 받으러 간다집에 있던 돈이랑 솥이랑 방망이가 다 없어졌다는구나.”

 

듣고 보니 아이는 도깨비가 참 안쓰러웠다그런데 이 도깨비가 이렇게 덧붙인다. “너한테 빌린 돈 서 푼도 갚아야 하고솥이랑 방망이도 주기로 했는데 미안하다.” 도깨비는 울면서 하늘 저 멀리 사라졌고그 뒤로 아무도 그 도깨비를 보지 못했다.

 

정신없는 도깨비를 보고 있으면내리사랑은 이 도깨비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싶었다마지막까지 너한테 빌린 돈 서 푼을 갚아야 하고새 솥과 방망이를 주기로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하는 도깨비를 보는데 왜 내가 눈물이 나던지어제 준 것을 잊고오늘 다시 돌려 주러 왔다가 부족한 것이 보이면 그것도 주고 싶고넘쳐도 주고 싶은 것이 돈 서 푼 이었다. 나는 이것이 사랑으로 읽혔다물론 도깨비가 아이를 사랑해서라는 이야기가 아니고 누군가의 사랑이 이럴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이 세상에는 많은 도깨비가 있다최근엔 첫눈처럼 너에게 가는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가 여심을 흔들었고아이들이 채널을 고정하게 만드는 100살이 넘은 도깨비 신비도 있고어릴 때 무서워 무서워 하면서도 열심히 챙겨봤던 꼬비꼬비도 있는데나는 이 책 정신없는 도깨비를 읽은 뒤로 도깨비하면 이 정신없는 도깨비 생각부터 난다. 도깨비는 벌 받으러 올라간 하늘에서도 어제 빌린 돈 서 푼을찌그러진 솥과 닳은 방망이 대신 가져다주기로 했던 새 솥과 새 다듬잇방망이를 생각하고 있을 게 분명하다그래서 나는 이 도깨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각해보니 나는 굳이 수고를 들이는 일들을 좋아한다. 칼로 연필을 깎고, 매일 시계의 태엽을 감고, 일력을 뜯고, 전기포트를 놔두고 가스레인지에 물을 끓인다. 이런 비효율성을 감내하는 건 그만큼 마음에 여유가 있다는 걸 뜻한다(바쁠 땐 일력도 밀리고 시간도 멈춘다). 그래서 나는 내 일상 속에 항상 쓸데없는 일들이 조금씩 자리하고 있기를 바란다. 빠르게 움직이는 일상 속에 수고로운 것들이 비집고 들어올 틈이 있다는 건 잘 살고있다는 반증이기도 하기에.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수 고 신해철 씨가 생전에 쓴 ‘아마추어들에게 드리는 일곱 가지 충고‘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첫째,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져라.
둘째, 음악 자체를 목적으로 하라.
셋째와 넷째, 부지런히 하되, 서둘지 말라.
다섯째, 옆길이나 뒷문은 생각도 말라.
여섯째,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
일곱째,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구별하라.

이 글은 순수 아마추어들이 아니라 가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해준 충고에 가깝다. 그렇지만 나 같은 아마추어가 참고할 대목이 많다. 특히 ‘부지런히 하면서도,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별하라‘는 말은 모든 아마추어가 가슴 깊이 새겨야할 말인 것 같다.

"나는 완벽을 기하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 살고 있다. 비록 그 완벽이란 것이 언제나 나를 피해 갔고, 지금도 나를 피해 가고 있지만 말이다."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의 말인데 기타 연습에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한다.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말이 하나 있는데, 이 말은 책에서 나온 말이 아니다. 돌아가신 내 아버지의 입에서 나왔다. 대학 시절 어느 날, 아버지는 술에 취해 내게 말씀하셨다. "멋지게 사는 건 너무나 쉽다. 하지만 뭔가를 이루는 것, 그게 정말 어렵고 중요하다. 많은 사람이 나를 멋진 사람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말이다. 나는 인생에서 이룬 것이 하나도 없다. 아들아, 나는 실패자다. 명심해라 멋지게 살려 하지 말고 무언가를 이루려 해라." 나는 이 말을 듣고 꽤 충격을 받았다. 어떤 말로도 아버지를 위로할 자신이 없었다. 아버지는 술에 취해 있었지만 자신의 삶에 대해 냉정히 평가를 하고 분명한 결론을 내린 것 같았다. 자신의 삶 전체에 대해 평결을 내릴 수 있는 대심문관은 오로지 자기 자신일 수밖에 없다. 누군가가 당신의 삶 전체에 대해 성공이니 실패니 운운했다고 치자. 당신은 좌절하거나 기뻐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신은 그 말을 신뢰할 수 없다. 그 누가 당신의 삶 전체를 속속들이 알 수 있는가? 당신 자신을 제외하고 말이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이렇게 죽은 잔 다르크는 대중을 움직이고자 하는 후세의 권력에 의해 다시 살아난다. 결국 잔 다르크는 죽어도 죽은 것이 아니고, 여전히 전사로서 자신의 왜곡된 이미지와 싸우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프랑스의 작가 아나톨 프랑스는 이렇게 말했다.

"처녀 전사, 예견자, 술사, 주님이 보내신 천사... 사람들은 그렇게 보았다. 괴물을 본 사람도 있다. 모두 자기 식으로 보았다. 자기 형상대로 꿈꾼 것이다. (중략) 사람들은 언제쯤에야 잔 다르크 모습의 진정한 윤곽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을까?"

-아나톨 프랑스(앞의 책에서 재인용) - P126

『안네의 일기』를 읽은 독자들은 이 책에서 안네와 안네의 가족이 겪는 비극만 보지 않았으면 한다. 어떤 한 인간의 무리가 다른 인간의 무리를 말도 안 되는 이유로 학살하는 끔찍한 역사가 왜 발생하고 계속 반복되는지를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유대인 학살 사건은 인류 전체에 공통적으로 내재해 있었던 어떤 폭력의 전통이 히틀러와 나치즘을 계기로 폭발했을 뿐인 사건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P2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