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에 대해 쓰는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쓰지 않을 수 없다, 라고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는 말했다.

(p.18)

미국의 영화평론가 기리쉬 샴부는 낡은 시네필리아는 보수적이고 향수적인 구석이 있다고, 시네필적 경험(특히 어린시절이나 청년 시절의 경험)은 소중히 간직되면서 신성시되고, 한 사람의 생애를 걸쳐 고정된다고 말한다. 어린 시절에 극장에 들어가 의자에 앉아 어둠 속에서 밝아지는 몇 초간을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빛 마니아죠, 라고 한국의 영화평론가 유운성은 박솔뫼에게 말했다.

(p.24)

왜 줄거리를 요약하는 일이 이렇게 어려운지 모르겠다. 매번 내가 요약하는 줄거리는 요약하려는 대상을 닮았지만 끔찍하게 뒤틀리고 축소된 일종의 캐리커처, 악의적인 농담처럼 보인다. 남이 요약한 줄거리를 보는 일은 흥미롭다. 하지만 여전히 요약하고 있는 책이나 영화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텍스트로 느껴질 뿐이다.

(p.56)

시도하기 위해 희망할 필요도 없고, 지속하기 위해 성공할 필요도 없다. 한때 나는 바르트의 저 말(정확히 말하면 바르트가 인용하는 기욤 도랑주 나소 1세의 말)을 이마에 문신으로 새기고 싶다고 생각했다. 거울울 볼 때마다 상기할 수 있도록.

(p.147)


금정연 작가님의 『아무튼, 택시』를 잘 읽었던지라 기대감에 읽기 시작했다. 당연하게도 그 책은 그 책이고 이 책은 이 책이었다. 영화를 좋아는 하는데 잘 알지는 못해서 쉽게 읽히지 않았다. 그래도 이번이 아니면 언제 읽나 싶어서 끝까지 읽어봄.

책을 읽으며 가장 많이 했던 생각은 왕가위 감독의 다른 영화를 좀 더 챙겨봐야지, 저번에 특별전으로 재개봉 했을 때 챙겨봤으면 이 책을 좀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었을까 뭐 그런 생각들이었다. 역시 인생은 타이밍인가 싶었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씨는 얼결에 시험에 붙어서 배우가 되었고, 얼결에 주연을 맡았고, 운명적으로 불길 속에서 살아나 무대에 건강하게 서고 계시잖아요. 이런 일들을 쭉 겪으면서 왜 예술이 하나 씨의 인생에서 중요해졌는지도 말씀해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생명력을 유지해주거든요. 늘 이야기하는 건데, 예술이라는 건 생명력 그 자체예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아주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잖아요. 의식주, 인간관계 등 참 많은 삶의 요소들이 있는데, 저는 무대에서 또 다른 삶의 이유를 찾아요. 관객으로서도 그렇고, 배우로서도 그렇고 극장에 갔을 때 서로 공유하는 생명력이라는 게 분명 있단 말이에요. '내가 살아서 이걸 보다니!', '내가 살아서 이걸 듣다니!, 내가 살아서 이걸 하고 있다니!' 이런 감탄을 하면서 나 자신이 살아 있다는 걸 확인하는 거죠. 무척 단순한 건데도 참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아요. 특히나 제가 관객의 입장에서 좋은 공연을 보면 극장에서 나올 때 '나 정말 살아 있는 것에 감사해야겠다. 어떻게 이걸 봤지?'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돼요. 이게 극장, 공연 예술, 나아가서 예술이 우리에게 주는 생명력인 것 같아요.

-박희아 인터뷰집 『직업으로서의 예술가 : 열정과 통찰』 p.43

배우 나하나 인터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늦었지만 2022 민음사 출판그룹 패밀리데이 다녀온 후기.

나는 내가 이 나이 먹고도 "민음사TV 잘 보고 있어요!"라는 말 한마디 못하고 올 줄은 꿈에도 몰랐다. 

연주 대리님이 계산해주시고 송장은 저기서 받으면 된다고 안내해주실 때도... 

구매 마치고 건물 나오기 직전에 아란부장님 혼자 계시는데도 그 말이 안 나오는 거다.

민음사TV 애청자다! 왜 말을 못하냐고!!!

하... (›´-`‹ ) MBTI를 좋아하진 않지만 유행하기 시작한 뒤로 내향인이라는 얘기를 극I라고 설명하면 되니 편했다. 

근데 이건 E와 I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나이만 먹었지 여전히 좋아한다는 표현도 제대로 못하는 애여 애...

가는 길에 버스 배차랑 승차 대기줄 조금 잘못 선 바람에 파주 도착하기 전부터 체력 다 털린 이야기는 재미 없으니까 생략하고,


이날 업어온 책들은 총 7권이다.

서머싯 몸의 『인생의 베일』과 마거릿 애트우드 월드★

에세이 『나는 왜 SF를 쓰는가』와 『도덕적 혼란』, 『그레이스』 그리고 


미친 아담 3부작.

뭐 늘 그렇듯 이걸 당장 읽는 건 아니고(...) 두고두고 읽을 것이다. 조만간 책장 정리해서 마거릿 애트우드 칸 만들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씨네21, 몇 권의 무비위크와 매거진M을 정리했다.

그 시절 영화 잡지 읽기를 좋아했던 내 손을 놓기 싫어서 이 많은 잡지들을 껴안고 살아온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또, 나는 너무 많은 공간을 책에게 내어주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애소설 읽는 교수 1~5 세트 - 전5권 (완결)
안그람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사람이 떠오른 순간 깨달았어.
시간은 감정에게 손끝 하나 대지 못했다는 걸.
감정이 그렇다는 건, 사랑도 마찬가지 아닐까.
.
.
사람들은 가끔 익숙하지 않은 걸 이상하다고 표현할 때가 있지.
.
.
너도 알잖아? 다른 사람이 나를 위해서 한 행동이 항상 내게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는 건 아니고, 그래서 화가 날 때가 있다는 거 말이야. 반대로, 내가 상대를 위해서 했던 행동 역시 언제나 좋은 결과로 돌아오지 않지. 슬프지만, 세상은 그렇게 돌아가더라.
.
.
근데 걔가 날 나쁜 애처럼 말하니까 슬펐어. 절대 나쁜 마음이 아니었는데 좋은 마음도 타인에게는 나쁘게 보일 때가 있나봐.
.
.
또, 사람들의 얘기를 들으며 알게 됐어. 누굴 위해서 감춘다는 그 각오들, 사실은 본인을 위한 것이라는 거. 그럼 또 이런 생각이 들지.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평생을 다해 후회할 거짓말을 하면서 누군가를 위한다는 말로 스스로를 속이고 있지 않나 하고.
.
.
어떻게 견뎠냐고? 당연한 일을 견딘다고 표현하지 않잖아.
.
.
그러니까 누군가의 불행을 네가 짊어질 필요 전혀 없어.
뭘 보고 듣든 상처로 상처 내는 일은 하지 마.
누군가가 저지른 실수, 후회와 슬픔에 너를 던지지 마.
어쩌면 괴로운 마음에 자책도 하겠지만
그렇다고 기를 써서 이해하려고도, 용서하려고도 할 필요 없어.
너를 아프게 하는 놈들에게 너를 넘겨주지 마.
네가 사랑하는 것들과 너를 사랑하는 것들만 생각해.
내 얘기, 이해하겠어?



연애소설 읽는 교수 전권을 읽고 후기를 어떻게 쓸까 며칠을 고민했다. 이 책을 읽으며 밑줄을 그었던 문장들을 한 사람에게 쓰는 편지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돌아보니 다섯 명의 인물이 저마다의 상황에서 했던 이야기를 한데 모은 셈이라, 중간 중간 생략된 느낌이 들어서 문장을 나눴다. 두 개의 문장을 섞기도 했고, 문장의 순서를 섞었고, 가독성을 위해 호칭을 바꿨다. 여럿의 이야기가 한 사람의 이야기가 되기도 하고, 한 사람의 이야기가 여럿의 이야기가 되기도 하니까. 이 편지의 문장 중 하나라도 마음에 남는다면 연애소설 읽는 교수를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