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에 대해 쓰는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쓰지 않을 수 없다, 라고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는 말했다.

(p.18)

미국의 영화평론가 기리쉬 샴부는 낡은 시네필리아는 보수적이고 향수적인 구석이 있다고, 시네필적 경험(특히 어린시절이나 청년 시절의 경험)은 소중히 간직되면서 신성시되고, 한 사람의 생애를 걸쳐 고정된다고 말한다. 어린 시절에 극장에 들어가 의자에 앉아 어둠 속에서 밝아지는 몇 초간을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빛 마니아죠, 라고 한국의 영화평론가 유운성은 박솔뫼에게 말했다.

(p.24)

왜 줄거리를 요약하는 일이 이렇게 어려운지 모르겠다. 매번 내가 요약하는 줄거리는 요약하려는 대상을 닮았지만 끔찍하게 뒤틀리고 축소된 일종의 캐리커처, 악의적인 농담처럼 보인다. 남이 요약한 줄거리를 보는 일은 흥미롭다. 하지만 여전히 요약하고 있는 책이나 영화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텍스트로 느껴질 뿐이다.

(p.56)

시도하기 위해 희망할 필요도 없고, 지속하기 위해 성공할 필요도 없다. 한때 나는 바르트의 저 말(정확히 말하면 바르트가 인용하는 기욤 도랑주 나소 1세의 말)을 이마에 문신으로 새기고 싶다고 생각했다. 거울울 볼 때마다 상기할 수 있도록.

(p.147)


금정연 작가님의 『아무튼, 택시』를 잘 읽었던지라 기대감에 읽기 시작했다. 당연하게도 그 책은 그 책이고 이 책은 이 책이었다. 영화를 좋아는 하는데 잘 알지는 못해서 쉽게 읽히지 않았다. 그래도 이번이 아니면 언제 읽나 싶어서 끝까지 읽어봄.

책을 읽으며 가장 많이 했던 생각은 왕가위 감독의 다른 영화를 좀 더 챙겨봐야지, 저번에 특별전으로 재개봉 했을 때 챙겨봤으면 이 책을 좀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었을까 뭐 그런 생각들이었다. 역시 인생은 타이밍인가 싶었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