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벤 바레스 :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벤 바레스 지음, 조은영 옮김, 정원석 감수 / 해나무 / 2020년 4월
평점 :
북클럽문학동네 뭉클찜으로 이 책을 만났다. 벤 바레스,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표지의 띠지에는 한 남성의 사진이 실려 있고, 그 옆에는 이런 문구가 담겨 있었다.
“나는 내 뜻대로 살았다. 성별을 바꾸고 싶었고 그렇게 했다. 과학자가 되고 싶었고 그렇게 했다… 나는 진정 멋진 삶을 살았다.”
삶의 마지막에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는 진정 멋진 삶을 살았다는 그의 말에 나는 이 책을 읽기로 결심했다.
대단히 성공한 여성 과학자가 된 바버라는 벤으로 성전환했고 사람들이 자신을 남자와 여자 중 누구로 생각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과학적 가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우리 가운데 그 누구도 경험하기 힘든 방식으로 알게 되었다. 성전환을 하고 얼마 되지 않아 세미나 발표를 한 자리에서 벤은 우연히 한 참석자가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벤 바레스의 오늘 세미나는 훌륭했어. 이 사람 연구가 여동생보다 훨씬 낫네.” 과학계에서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는 급진적인 운동가는 이렇게 탄생했다. (p.13)
이 책의 서문을 쓴 MIT 생물학과 교수 낸시 홉킨스의 말마따나 벤 바레스만이 겪을 수 있는 차별이었다. 성별을 전환하기 전 여성으로서 차별을 겪은 일화가 훨씬 많은데, 그 중 하나를 소개한다.
MIT 학부생 시절 바버라는 한 수업에서 정상적으로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어낸 유일한 학생이었지만, 교수는 그녀에게 점수를 주지 않았고 오히려 남자친구가 대신 문제를 풀어준 것 아니냐며 바버라의 부정행위를 비난했다고 한다.
이공계에서의 성차별은 비단 바버라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원장님, 원장님의 품위는 어디에 있습니까? 원장님께서는 단 한 번이라도 여학생이나 여성 연구원들과 이 문제에 관해 이야기해보신 적 있으십니까? 이들은 학회에 참가할 때마다 이런 ‘수작질’을 끊임없이 당해왔습니다. 전에도 말씀드린 바가 있지만, 예순 살이나 먹은 한 유명한 노교수는 지금까지 학회에서 200명의 학생, 연구원들과 잤다고 떠벌리고 다닙니다. 어느 학생은 최근에 학회장에서 자신이 발표한 포스터에 대해 한 중견 과학자와 멋진 대화를 나누었다고 생각했는데 마지막에 자기 손바닥에 호텔 방 번호를 적고 가더라는 얘기를 하더군요.
전 제 학생들이 더는 이런 꼴을 당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p.21)
벤은 학회에서 일어나는 성희롱에 대해 분개했고, 학회 조직 위원회에 그러한 행동을 예방하는 규정을 마련하도록 요청하기 시작했다. 위 글은 벤이 미국 국립보건원 원장에게 쓴 편지의 일부다. 며칠 뒤 벤은 원장에게 품위 있는 답변을 받았지만, 벤은 전혀 만족하지 못했다. 벤이 원한 것은 성희롱 근절에 대한 실행이지 조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벤의 문제 제기는 한 번으로 그치지 않고, 집요하게 계속되었다. 어느 날 낸시가 많은 이들이 목소리를 내기 꺼리는 이런 일에 나서는 용기가 어디에서 나오는지 물었다.
낸시, 난 이런 일로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아.
어쩌면 내가 트랜스젠더라서 그런지도 모르지.
난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든 정말 상관없어.
그리고 내가 누구를 열받게 하든 그것도 신경 쓰지 않고.
정년 보장의 좋은 점이 이런 거 아니겠어?!
내가 스트레스를 받는 건, 세상이 이렇게 불공평하다는 거야. (p.24)
그렇다. 정년 보장은 이럴 때 이용하라고 있는 것이다. 벤 역시 정년 보장이란 것이 있는데도 많은 교수들이 목소리를 내고 진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새삼 놀랐다고 썼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며 주목했던, 트랜스젠더 과학자로서 벤이 겪은 성차별과 이공계에서의 성차별에 관해서만 언급했지만 이 책은 ‘자서전’답게 그의 삶 전반(1부 삶)과 그가 평생 함께한 ‘과학’(2부 과학)에 관해 이야기한다. 2부는 정말이지 과학 이야기다. 목차 중 하나를 살펴봐도 충분히 알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세포 발달, 랑비에결절 형성, 미엘린 수초화의 이해. 이 구역의 문과생인 나로서는 분명히 활자를 읽었는데요... 읽지 않았습니다... 하는 상황이 되었다. 도통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서 소리내어 읽어 보았는데도 녹록하지 않은 내용이었다. 그렇게 찐 과학 이야기 2부를 지나면, 3장 ‘옹호’가 기다리고 있다.
남녀를 막론하고 모든 트랜스젠더들은 사회가 단지 성별 때문에 사람을 다르게 취급하는 것에 대한 분노를 공유한다. 성전환을 시도한 지 얼마 안 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눈 한 상담가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들에게 그들의 사회적 지위가 갑작스럽게, 또 대단히 낮아진 이유가 트랜스젠더가 아니라 이제 여자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이해시키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p.222)
‘이제 여자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어떻게 이해시킬 수 있을까. 남은 평생을 여성으로 살아갈 이에겐 어쩌면 ‘트랜스젠더이기 때문’이 더 쉬운 이유가 되지 않을까. 단지 여성이기 때문에, 라는 이유보다는 조금 더 기댈 수 있는 이유일 테니까. 벤은 차별을 성별에 국한하지 않고, 소수 집단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이 부분이 참 마음에 들었다.
여기에서는 여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라틴계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포함한 많은 소수 집단들이 상당한 편견과 장벽에 부딪힌다. 모든 선의에도 불구하고 스탠퍼드나 그외의 대학에서 요직에 있는 아시아인들을 거의 볼 수 없다는 점 또한 불편하다. 미국 과학아카데미 회원 명단만 봐도 아시아인들은 자격과 상관없이 극히 소수만 선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 모두는 더욱더 분발해야 한다. (p.228)
위 구절에서 공통되는 ‘아시아인 여성’은 얼마나 큰 편견과 장벽에 부딪혔을지 눈에 선했다.
벤의 자서전을 읽으며 나는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의 다큐멘터리를 종종 떠올렸다. 여성에게 특혜를 요구하려는 게 아니라고, 다만 우리의 목을 밟고있는 발을 좀 치워달라는 것 뿐이라고 이야기했던 긴즈버그. 벤이 살아생전 긴즈버그를 만나 이야기했다면 둘은 어떤 이야기를 나눴을까. 1933년생인 긴즈버그와 1954년생인 벤은 나이를 떠나 좋은 친구가 되었을 것이다. 각각 이공계와 법조계에서 둘도 없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며, 둘의 목소리로 세상은 분명 변화했으니까.
신경아교세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였고,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한 교육자였으며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성차별과 맞서 싸운 비판적인 활동가였던 벤 바레스. 늦었지만 그의 명복을 진심으로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