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등록 마감일 즈음에 만나자는 연락이 오면, 열에 아홉은 `글을 써야 한다`고 그날은 안되겠다고 답하곤 한다. 다 내가 부지런하지 못해서 그런 거지만, 그럴 때마다 한 편으로 신기하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고 메모를 남긴다거나 이런 저런 방식으로 기록하긴 좋아해도, 온전한 서평을 남기는 건 어려워해서 반강제적으로 시작한 일이었다. 그렇게 시작한 일이 벌써 4년째. 4년간 책을 읽고 글을 써오면서 느낀점은 이렇다.


첫째. 가리지 않고 다방면으로 잘 읽는다고 생각했지만 내게 안맞는 책이 있음을 알았다. 예를 들자면 판타지 소설도 판타지 소설 나름이고, 감성 에세이도 감성 에세이 나름이라는 것. 내가 수용할 수 있는 그 `선`을 알게 되었다.


둘째. 평소의 나라면 가까이 하지 않았을 책을 읽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시작할 땐 낯설었지만 글을 쓸 때 그 책에 대한 애정이 생긴 것을 느끼면서 `내가 이런 책도 좋아하는구나` 하고 깨달았다. 출판사 북폴리오 리뷰블로거 시절에 고양이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읽게 된 후로 지금은 스스로 고양이에 관한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다.


셋째. 어렵지 않고 쉽게 서평을 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처럼 어렵게 서평을 쓰는 사람이 있다는 것. 쉽게 쉽게 쓰는 사람이 정말이지 부럽지만 어쩌겠나, 나는 그렇지 못한 걸.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평을 쓰는 그 과정에서 내 생각이 정리되고 그렇게 완성된 서평은, 잘났든 못났든 내게 남는 글이 된다는 것.



이 세 가지가 4년간 책을 읽고 글을 써오며 느낀 것들이다. 이렇게 긴 이야기를 하려고 했던 건 아닌데...🙈



김혜남 작가님의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를 읽고 쓴 서평의 마지막 두 문단을 덧붙여본다.


작가님의 버킷리스트 중에 7번째, ‘책 한 권 쓰기’에 눈길이 간다. 그동안 다섯 권의 책을 냈지만 부끄럽기 그지없다고. 부끄럽지 않은, 사람들에게 정말 도움이 되고 그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어 줄 책 한 권을 쓰고 싶다고 하셨는데, 나는 이 책을 읽음으로써 마음이 넘치게 따뜻했다.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앞서 읽었던 구작가님의 에세이 『그래도 괜찮은 하루』를 읽으며 써내려갔던 버킷리스트를 다시금 꺼내들었다. 그리고 빈칸에 이렇게 써 넣는다.

 

이 책처럼, ‘내 마음을 넘치도록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책 한 권이라도 더 찾아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반납하러 도서관에 가면서 '오늘은 정말 책 안 빌려 올 거야😠!'

하고 다짐하는 일은 '내일부턴 정말 다이어트 할 거야😠!'와 같다.

 

무인반납기에 반납하면서 북트럭에 반납된 책들을 살피고,

그러고나면 자연스럽게 신간이 꽂혀있는 서가로 향하고 만다.

신간페이퍼를 작성하며 읽고 싶어했던 하성란의 <당신의 첫 문장>이랑

저번에 빌리려다가 못 빌리고 돌아왔던 미나토 가나에의 <꽃 사슬>.

그리고 빨간 책등이 시선을 사로잡았던 <즐거우리 우리네인생>.

 

그게 언제건 책을 빌리는 건 좋은 일이다.

다만 내 가방에 이미 책이 3권, 노트가 2권 들어있었다는 게 함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쨌든 출발

뭔가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사실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간은 그렇게 열심히 달렸으면서 막상 출발선에 섰을 때 망설여지게 됩니다.
준비가 부실하면 시작 선에 서기도 힘들었을 텐데 이미 출발해야 했을 시간에도 여전히 갈등합니다.
이 시작은 자신의 삶의 방향이 달라지는 결정적인 순간일지도 모르니까요.
그럴 땐 등을 힘껏 떠밀어주는 존재가 필요합니다.
물론 적절한 때에 말이죠.
인생을 살다보면 준비만 왕창 해두고 막상 시작을 못 해서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바로 그런 존재가 필요하지요.
`넌 할 수 있으니 어서 시작해 보라구!`라는 말뿐인 부추김도 힘이 되지만, 가끔 저렇게 `액션`을 하게끔 등 떠밀어 주는 친구가 있다면 더 좋겠죠?

p.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렇게 객관적으로 너무나 괜찮은 사람이지만 도저히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객관적으로는 하나도 괜찮지 않은데도 도저히 사랑하지 않을 도리가 없는 사람이 있는 것이다. 이런 부조리함은 그것대로 낭만적인 일이 아닐까 싶다.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괜찮아

 

 

태어나 두 달이 되었을 때

아이는 저녁마다 울었다

배고파서도 아니고 어디가

아파서도 아니고

아무 이유도 없이

해질녘부터 밤까지 꼬박 세 시간

 

거품 같은 아이가 꺼져버릴까 봐

나는 두 팔로 껴안고

집 안을 수없이 돌며 물었다

왜 그래.

왜 그래.

왜 그래.

내 눈물이 떨어져

아이의 눈물에 섞이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말해봤다

 

누가 가르쳐준 것도 아닌데

괜찮아.

괜찮아.

이제 괜찮아.

 

거짓말처럼

아이의 울음이 그치진 않았지만

누그러진 건 오히려

내 울음이었지만, 다만

우연의 일치였겠지만

며칠 뒤부터 아이는 저녁 울음을 멈췄다

 

서른 넘어야 그렇게 알았다

내 안의 당신이 흐느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울부짖는 아이의 얼굴을 들여다보듯

짜디짠 거품 같은 눈물을 향해

괜찮아

 

왜 그래, 가 아니라

괜찮아.

이제 괜찮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와같다면 2015-05-19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괜찮아.. 이제 괜찮아

제가 받아봤던 제일 큰 위로는...
꼬옥 안아주며 `나는 너야` 속삭여줬을때ㅠㅠ

해밀 2015-05-22 16:47   좋아요 0 | URL
정말 큰 위로네요. 댓글을 읽는 제게도 그 위로가 전해지는...^^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에서
˝네가 내 슬픔이라 기뻐.˝라는 구절이 기억나는 위로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