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시와 뽕브라 - 어떻게 나의 꿈을 찾을 수 있을까? ㅣ 나를 나로 만드는 것 1
캐시 홉킨스 지음, 박슬라 옮김 / 오즈북스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줄창 헤르만 헷세를 읽었다. 데미안, 지와 사랑, 싯달타....
문학을 합네 하던 시절에는 줄창 고상한 작가들만 들먹였다.
가스똥 바슐라르(이릅도 고상했다.) 패트릭 모디아노, 알베르트 까뮈, 르끌레지오(발음도 멋지다.),
가르시아 마르께스, 보르헤스,파스칼 키냐르, 폴오스터......
깊고 묵직하고, 뭔가 좀 있어 보이는 작가에 대한 독서취향이 요즘은 오쿠타 히데오, 가네스로 가즈키 같은 가벼운 풍으로 입맛을 확장한다.
문학적 퇴행이라고 따진다고 해도 변명할 거리가 궁색하다.
그러나 어쨌든 시정잡배들의 입담도 그 재미가 솔깃하다.
어디로 튈지 모르던 10대의 이야기들도 재밌다.
그들의 섬세함과 갈피없음, 그들의 좌충우돌과 변덕을 우리는 너무 빨리 잊어버린 것은 아닌지.
<루시와 뽕브라>는 먼 영국의 일, 그것도 15살의 영국 계집애들에 관한 것이지만
나는 거기에서 나의 10대를 읽는다.
<둘 중의 하나, 너의 소원을 들어주마. 키 10센티미터를 더 크고 싶니, 전교 1등이 되고싶니?>
그때의 내게 누군가가 이런 제안을 했다면
나는 주저없이 키 10센티미터를 요구했을 것이다.
전교1등이 키 10센티미터보다 얼마나 더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애써 설명하려고 하는 인간들
우리는 그 인간들을 어른이라고 부른다.
전교1등이 키 10센티미터보다 얼마나 더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아는 것
우리는 그것을 성숙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어른들은 알아야 한다.
성숙이 미성숙보다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
좋은 성장소설에는 미성숙의 싱그런 민트향이 난다.
인생을 성숙의 과정으로만 아는 사람들은 재미없다.
삶은 숙성의 결과물인 치즈랑은 다르니까.
훨씬 복잡하고,훨씬 미묘하다.
미성숙,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예뻐보일 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