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9 #시라는별 51
악의 평범성 2
- 이산하
˝불교 승려들이 숲을 지날 때 혹 밟을지도 모르는 풀벌레들에게
미리 피할 기회를 주기 위해 방울을 달고 천천히 걷는다는 말에
난 아주 깊은 감동을 받았다.
우리는 그동안 아무 생각 없이 얼마나 많은 생물들을 밟아 버렸던가.˝
득음의 경지에 이른 어느 고승이나 성자의 얘기가 아니다.
유대인 학살을 총지휘한 나치 친위대장 하인리히 히믈러의 말이다.
전 친위대원을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로 만들고
가난하고 소박한 생을 최고의 삶으로 꿈꾼 사람이기도 했다.
악의 비범성이 없는 것이 악의 평범성이다.
우리의 혀는 여기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다.
악의 평범성 3
몇 년 전 경주와 포항에서 지진이 일어났다.
그때 포항의 한 마트에서 정규직은 모두 퇴근하고
비정규직 직원들만 남아 헝클어진 매장을 수습했다.
밤늦게까지 여진의 공포 속에 떨었다.
대부분 아르바이트 학생들과 아기 엄마들이었다.
목숨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차별받는 세상이다.
지진은 무너진 건물의 속살과 잔해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인간의 부서진 양심과 잔인한 본성까지도 보여준다.
정말 인간은 언제 인간이 되는가.
불쑥 영화 <생활의 발견>에 나오는 대사가 떠오른다.
˝우리 사람 되는 거 힘들어.
힘들지만 우리 괴물은 되지 말고 살자.˝
놀라운 발견. 이산하 시인이 22년 만에 펴낸 시집 『악의 평범성』은 자우메 카브레의 『나는 고백한다』 를 시로 읽는 느낌이다. 아우슈비츠와 제주 4.3 사건과 오늘날의 평범한 악이 교차 편집되어 있다.
이산하와 동지들은 제주 4.3사건을 ˝가스실 없는 한국판 아우슈비츠˝로 불렀다. 이산하의 <한라산>이 당대 정권에 던지는 ‘폭탄‘이 된 것은 아우슈비츠가 여전히 현재형이었기 때문이다. <한라산>의 문제의식을 현재화한 이산하의『악의 평범성』은 아우슈비츠의 역사적 사례들을 시적으로 재구성한다. 주된 방식은 나열과 병치이다. (김수이 문학평론가 해설 중)
시들이 우리가 몰랐던, 혹은 모르고 싶었던 숨은 본성을 일깨운다. 인간은 상황만 달라지면, 누구나 악해질 수 있다. 그렇기에 반성과 고찰이 중요하다. 이산하 시인의 시들은 읽기가 쉽지 않다. 말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찌릿찌릿 가슴을 찔러서이다. 시로 읽는 역사이고, 외면해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이다.
놀라운 발견 2. 어제 scott님이 올린 알마 로제의 오케스트라 이야기를 극화한 시도 있다. 제목은 <아우슈비츠 오케스트라>
시인의 말도 서늘하다.
자기를 처형하라는 글이 쓰인 것도 모른 채
봉인된 밀서를 전하러 가는 ‘다윗의 편지‘처럼
시를 쓴다는 것도 시의 빈소에
꽃 하나 바치며 조문하는 것과 같은 건지도 모른다.
22년 만에 그 조화들을 모아 불태운다.
내 영혼의 잿더미 위에 단테의 <신곡> 중 이런 구절이 새겨진다.
˝여기 들어오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
내 시집에는 ‘희망‘이라는 단어가 하나도 없다.
이산하 시인은 『악의 평범성』으로 ‘제18회 이육사詩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330/97/cover150/893642453x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3941/12/cover150/8991794645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7648/28/cover150/8954680046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837/65/cover150/k902736539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