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나의 30년 친구, 독서회
무카이 가즈미 지음, 한정림 옮김 / 정은문고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년 넘게 독서모임을 지속하다니 실로 놀랍다. 상상해 본 적 없는 정도.
올해 들어 사회과학읽기 모임을 6개월째 진행하고 있다. 독서모임은 간간히 했었지만 이렇게 작정하고 길게 유지하고 있는 것도 처음이긴 하다. 요즘은 유료 회원제로 진행해서 오히려 지속성이 높아진 거 같다. 여기서 소개하는 독서모임은 무료 공간에서 무료로 참가자들의 정성으로 모아가는 독서모임이다. 한국 실정에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처음 독서모임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겐 꽤 도움이 되겠다. 함께 읽는 즐거움이 무엇인지, 같이 읽을 때 더 깊어지는 마음이 무엇인지, 문학이 주는 기쁨과 읽기의 참맛에 대해서 잔잔하게 풀어놓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정한 나의 30년 친구, 독서회
무카이 가즈미 지음, 한정림 옮김 / 정은문고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읽는 즐거움이 무엇인지, 같이 읽을 때 더 깊어지는 마음이 무엇인지, 문학이 주는 기쁨과 읽기의 참맛에 대해서 잔잔하게 풀어놓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느린 정의 - 돌봄과 장애정의가 만드는 세계
리아 락슈미 피엡즈나-사마라신하 지음, 전혜은.제이 옮김 / 오월의봄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는 Care work : Dreaming Disability Justice이지만, 한국어 제목은 편집자의 제안으로 변경되었다. 한국에서 돌봄노동에 대한 정의가 아직 확장되지 않은 탓일것이다.
500페이지가 넘어가는 두꺼운 책이지만, 장별로 나뉘어져 있고 그 장마다 소소하고 일상적인 단어로 가득 차 있어 읽는데 어려움이 없다. 미국식 서술은 내 기준에는 중언부언 하는 경향이 있고 강조를 위해 개념을 반복하거나 소상히 설명하는 편이라 여기는데 그런 요소들이 오히려 책을 수월하게 넘기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어쩌면 지식인계층이 아닌 이들에게 접근하기 좋은 방식이 아닌가 싶다.
퀴어-장애학 관련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책이 하나씩 소개되고 있는데 인권과 시민권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꼭 퀴어-장애 분야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이책을 통해 더욱 확신하게 되었다. 교차성의 문제를 살펴본다면 그만큼 복잡하고 차별적 계급의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책은 위로가 된다. 유색인종 - 퀴어 - 장애인인 저자 리아 락슈미 피엡즈나 - 사마라신하는 활동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선주민, 빈곤층, 유색인종, 퀴어, 장애인들의 연대를 꿈꾼다. 먼저 차별의 시대를 살아간 조상들을 끄집어내 장애의 계보를 그린다. 그리고 강조한다. 우리는 반드시 서로를 구할 수 있다고.
추천.
아, 그리고 각 장별로 주석이 미주로 붙어있는데 각주만큼은 아니더라도 읽는데 책 맨 뒤로 미주가 밀려가 있는 것보다는 나았다.
<가장 느린 정의 : 돌봄과 장애정의가 만드는 세계>
리아 락슈미 피엡즈나 - 사마라신하 지음 / 전혜은, 제이 옮김 / 오월의봄 펴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주하는 남성성 - 폭력과 가해, 격분과 괴롭힘, 임계점을 넘은 해로운 남성성들의 등장
한국성폭력상담소 기획, 권김현영 외 지음 / 동녘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주하고 광분하는 남성성의 피해자는 모든 성별에 해당된다. 오히려 남성성과 남성을 구분하지 못하는 그 자체가 폭주하는 남성성, 그 자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동체의 감수성 - 공동체의 본질에 던지는 일곱 가지 질문
구현주 지음 / 북인더갭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마을공동체 운동의 현황을 날카롭게 진단한다. 마을운동의 장벽이 시민사회라는 것이 마음 아팠다. 갈등과 공포의 시대를 지내 화합과 토론이 필요하고 그럴 수 있는 세상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시민사회에 대한 안타까움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