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불안정노동에 대한 이야기이며, 연대와 투쟁에 대한 이야기임과 동시에, 우리가 상호문화의 사회를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불안정노동과 주당 15시간 미만으로 일하고 있는 한국어교원들은 누구일까.
다수의 한국사람들이 갖고 있는 착각 몇 가지를 꼽아보자.
1. 한국어는 매우 쉽다.
2. 자음과 모음이 과학적이라 몇 시간이면 한국어를 읽을 수 있다.
3. 거의 모든 한국인은 한국어를 자유롭게 사용한다.
4. 한국어지도는 국어지도와 같다.
외국인과 영유아, 또는 비문해 성인, 언어습득이 어려운 뇌신경을 가진 사람에게 한국어를 가르쳐봤거나, 문해력이 있는 성인에게 글쓰기를 가르쳐보면 위 네 가지가 모두 오래된 착각이라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한국어는 절대 쉽지 않고 불규칙이 과다하게 많고 관습적 표현의 허용범위가 중구난방이고 다수의 한국인은 국어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며 다수의 고학력자들은 정확한 문장을 쓰지 못한다. 대충 알아듣는 것이다.
한국어교원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들로, 국어교육과 다르다. 국어는 모국어를 한국어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책의 시작은 한국어교원의 특수성과 위에 언급한 배경때문에 한국어교원에 대한 오해를 하나씩 짚어나가면서 현재 한국의 이주민, 유학생 정책에 대해서 꼼꼼히 따져나간다. 현장의 이야기라서 한숨이 그득해지는 게 사실이다.
교육노동자이지만 교육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도 언급하는데 사실 한국사회에서 교육종사자는 대체로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한다. 게다가 소속이 정확한 정규직 외의 교육노동자들은 “좋은 일 하는 사람”정도로 인식되며 어차피 ‘당신이 좋아서 선택한 일 당신이 조금 더 희생하면 될 일’이라고 치부당한다.
빨간소금의 책이 거의 다 그렇듯이 현장의 이야기라서 이들이 한국어교원으로 제대로 된 법적지위를 획득하지 못하기 위해 어떤 수단들이 사용하는지 신랄하게 보여준다. 10여년 초중고등학교 외부강사로 일하며 ‘좋은 일 하는 사람’이 되었던 나의 무력감을 상회한다. 나는 그때 ‘언제라도 때려치우면 그만‘인 일로 나의 노동을 내려치거나 복도나 계단, 화장실에서 수업시간까지 대기를 하면서도 ’시민교육을 보급하기 위한 투철한 사명감‘으로 나의 자존감을 올려치면서 불안정한 노동의식을 당연하게 여기고 버텼다. 이 양극단을 오가지 않으면 지속하기 어렵다. 그건 내가 떠돌아 다니는 강의를 했기 때문이라 모든 조건이 일괄적이지 않다는 게 썩 유용했는데 여기에 언급되는 한국어교원들은 분명 어딘가에 소속되어 있지만 소속되지 않은 형태를 띤다.
한국어교원뿐 아니라 상당히 많은 특수고용노동자들과 프리랜서가 비슷한 형태일 것이다.
이책은, 불안정 노동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어떻게 결속과 연대를 통해 ‘그래도 내가 사랑하는 일’을 유지하고 내 삶을 지킬 것인지 대안을 제시한다.
더불어, 노동문제에 별 관심이 없더라도 한국사회에 상호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한국어교원의 처우만 살펴봐도 갈 길이 구만리가 아니라 구천 만리는 남았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날로 늘어나는 이주민과 유학생, 이들을 한국사회는 착취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다. 세상의 쓴 맛을 명징하게 느낄 때 우리는 한 발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케데헌의 골든과 세계 빅테크 기업이 주목하는 지금 이 세계에 너무 도취될까 두렵다면, 한국어교원의 이야기를 살펴봐도 좋겠다.
<한국어의 투쟁> 이창용 저 / 빨간소금 펴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놀 2025-11-06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쓰는 글을 ‘한글’이라 하고, 이 ‘한’은 그냥 우리말입니다. 1913년 즈음에 주시경 님이 처음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어서 우리글에 이름을 붙일 적에는 우리말도 ‘한말’이라 여겼습니다. 우리말이라면 그저 ‘한’이고 ‘하늘·하나·해·하양·함께·하다’를 나타내는데, ‘한국(韓國)’처럼 적을 적에는, 우리말 소리값만 따서 붙인 한자로 바뀝니다. 그래서 ‘한국어’라는 이름은 우리말이 아닌데, 아직 국립국어원을 비롯해서 한글학회조차 이 대목을 안 짚거나 뒷짐집니다.

배움터에서 영어하고 수학을 드높이지만, 정작 영어하고 수학을 제대로 하려면 한글·한말부터 찬찬히 배워서 익혀야 할 텐데, 우리 배움터는 이러한 얼거리를 거의 잊거나 나몰라로 가거나 땜질만 하는 얼개입니다. 이러다 보니 ‘한말 길잡이(한국어 교원)’이라는 자리에 서서 땀흘리는 숱한 분이 땀값을 제대로 못 누린다고 느껴요. ‘한말 길잡이’뿐 아니라 ‘우리말꽃 지음이(국어사전 편찬자)’도 똑같으니, 이런 얼거리는 아직 저 밑바닥에 파묻힌 판입니다.

빨간소금에서 뜻있게 책을 냈다고 느끼면서도 왜 “한국어의 투쟁”이라는 일본말씨를 그냥 붙이는지 아쉽기도 합니다. 적어도 “싸우는 우리말”쯤으로 붙일 수 있으니까요. “우리말은 싸운다”라든지 “우리말이 싸운다”라 해도 될 테고요. 아무쪼록 땀값이 차근차근 이슬빛으로 밝게 스밀 수 있는 아름나라로 거듭나기를 빌 뿐입니다.
 
한국어의 투쟁 - 우리는 한국어 교육 노동자다
이창용 지음 / 빨간소금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어교원의 현실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특수고용노동자들은 노동종말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주민과 유학생 정책의 민낯, 상호문화사회를 받아들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도 살펴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어의 투쟁 - 우리는 한국어 교육 노동자다
이창용 지음 / 빨간소금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불안정노동에 대한 이야기이며, 연대와 투쟁에 대한 이야기임과 동시에, 우리가 상호문화의 사회를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불안정노동과 주당 15시간 미만으로 일하고 있는 한국어교원들은 누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아하니까 말해 주는 거야 걷는사람 시인선 133
우은주 지음 / 걷는사람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글자 한 글자 옮겨적고 한숨쉬고 다시 한 글자를 뜯어보는 사람의 시.
아름답고 묵직하다. 혼돈의 시기를 건널 수 있는 힘이 있다면, 바로 이 시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병과 가난한 삶 - 노숙인을 치료하는 길 위의 의사, 14년의 연구 기록
최영아 지음 / 청년의사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렷하게 세상을 보는 의료인의 깊이에 대해 생각한다.
노숙인은 사회의 기표, 상징, 현상이자 결과인 셈.
이 사회 전반을 훑어내린다. 명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