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음식을 좋아한다.  음식을 먹는 것도 좋아하고, 맛있는 집을 찾아가 한 끼를 채우는 것도 좋아한다.  대신 음식을 하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이다. 그건 오원 장승업이 취화선에서 읊은 대사처럼 내겐 "꼴려야 하는 일"이다. 맛있게 먹어줄 사람이 수저를 들고 대기하고 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설거지가 잔뜩 쌓이고 내가 버려야 할 음식물쓰레기가 산처럼 미끄러질 경우엔, 음식을 만들기가 귀찮아 진다. 주부 5년차. 요령만 늘어간다.  

스파게티는 나에게 슬픈 추억이다. 어릴 때 깡통에 들은 미제 스파게티를 먹고 배탈이 심하게 나 조회시간에 쓰러진 적이 있었다. 스파게티는 나에게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이었다. 언제부턴가 한국에 불어닥친 스타게티 열풍으로 나도 그 조류에 합류하게 되었는데, 몇 년전부터는 스타게티 보다는 라비올리나 페투치네 같은 다른 종류의 파스타로 눈이 가게 된다. 문제는, 과다한 소스로 인해 속이 더부룩하고 배탈이 난다거나 하는 부작용과, 스파게티를 제외한 파스타를 맛볼 수 있는 집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좋은 파스타를 먹고 싶다는 생각은 언제나 간절하지만 아직 그 소박한 소망을 이루진 못했다.  

이 책은 좋은 파스타에 대한 나의 욕망을 조금 사위어주는 책이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이탈리아에서 그들이 즐겨 먹는 정말 보통의 파스타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 하고 있다. 물론 특별한 파스타에 대한 이야기도 있지만, 책의 전반적인 정서는 서민적이고 일상적인 파스타에 대한 이야기이다. 예찬론이라기 보다는 그들의 파스타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고 - 그렇다고 장황하거나 지루하지 않다 - 그들의 음식문화가 어떤 경로로 발전했으며 - 이 역시 매우 간결하다 - 현재의 이탈리아 음식문화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곁들이며 한국인이 오해하고 있는 파스타의 진실에 대해서, 정말 이탈리아 보통의 파스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책 제목을 짓는 일은 많이 어려운 일인데, 이만큼 주제의식이 확실한 글을 찾아보는 일은 사실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일단 이 책은 잘 만들어진 책이다. 확실한 주제의식과 재치넘치는 문장, 간결하고 즐거운 문체가 소박한 보통날의 파스타의 향연을 즐길 수 있는 책이다. 중간 중간에 섞여 있는 기본적 레시피와 소스 만들기나 스타게티 잘 삶는 법, 등의 항목들도 눈여겨 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활용도가 매우 높다. 대신 요리책은 아니고 요리에 관한 에세이이므로 이탈리아 음식을 좋아하거나 파스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즐겁고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지 않겠는가.  

한 권의 책이 사람을 변화시킬 때 그 책이 가진 효용성은 배가 된다. 책을 읽고 리뷰를 쓰는 것을 넘어서서, 나는 이 책을 다 읽은 날, 슈퍼에서 사온 소스까지 첨가된 인스턴트 스파게티라도 삶아 아이들을 먹였으니, 나에겐 큰 변화를 가져다 준 책인 셈이다.  

책을 읽을 수록 저자의 파스타를 맛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져서, 좋은 파스타에 대한 욕망이 높아지기도 했으니 양면성을 가진 책이기도 하다. 지인들과 파스타집에 가서 아는 체를 조금 할 수 있고, 집에서 스파게티를 해 먹을 수 있고, 그리고 풍성한 사진과 자료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으니, 실용도도 매우 높고 감성도 자극해 주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좋은 음식을 만들어 배고픈 자들이 배를 채워주는 저자의 직업만큼 그의 글도 감성과 열정에 굶주린 사람들을 채워주었으니, 좋은 책을 만들어주신 저자와 출판사에 감사를 표하고 싶다.  

 2010. 1. 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