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가락이 닮았다
1
피부가 더 칙칙하냐 인생이 더 칙칙하냐를 놓고 뇌내 논쟁이 한판 벌어졌는데 호각이다. 나이를 먹고 먹다 딱 어느 시점을 지나면 그때부터 한 번 망한 피부는 불로초에 우담바라를 갈아서 팩으로 처발라도 돌아오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한 번 망한 인생이 결코 되돌아오지 않는 티핑포인트, 오늘은 비록 시원하게 망했지만 내겐 내일도 없다!고 외칠 수밖에 없는 구슬픈 지점은 몇 살쯤일까? 35? 40? 50? 500?
그러거나 말거나 날씨가 추워지면 역시 읽는 것뿐인데, 아니 작년까지는 분명 그랬었는데, 올해는 이상하게 자꾸 책 집어 던지고 찬바람 면담하러 나가고 싶어진다. 어디 딱히 갈 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두꺼운 옷 걸치고 나가도 동네 한 바퀴 휘 돌고 오면 얼굴이 김장김치가 될 만치 추위에도 약한데, 그래도 괜히 꾸역꾸역 기어나가고 싶다. 엄마는 너 이제 그러다 감기 걸리면 죽을 수도 있는 나이라며 핀잔을 주는데 그 표정이 사뭇 엄숙하고 진지해서 이쪽은 더 빡친다. 앉아서 머리 말리고 있는데 뒤에 서서 내려다보다 흰머리를 발견하고는 또 쓸데없이 근엄한 표정으로, 너 그 흰머리 뽑지 말고 염색해라, 뽑으면 머리 안 난다, 너 가뜩이나 머리숱도 적은데, 이러면서 걱정하는 척 돌려깐다. 어디서 주워듣고 온 비과학적 발언으로 아들 마음에 생채기를 내다니 이 엄마가 내 엄마가 맞는지 과학적인 의구심이 생겨난다. 엄마, 내 머리숱 적은 거, 쟤(동생) 머리숱 적은 거, 그거 다 왜 그런지 모르겠으면 거울 한 번 보소서. 그러자 엄마 역시 와, 저게 내 아들인지 후레아들인지 과학적인 의구심이 생겨난다는 표정인데, 그 순간 이쪽에서는 역시 우리는 모자관계일 확률이 99.98% 라는 과학적인 확신이 드는 것이다.



완전한 삶이란 없다. 그 조각만이 있을 뿐. 우리는 아무것도 가질 수 없는 존재로 태어났다. 모든 것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다. 그런데 빠져나갈 이 모든 것들, 만남과 몸부림과 꿈은 계속 퍼붓고 흘러넘친다...... 우리는 거북이처럼 생각을 없애야 한다. 결의가 굳고 눈이 멀어야 한다. 무엇을 하건, 무엇을 하지 않건 그 반대는 하지 못한다. 행동은 그 대안을 파괴한다. 이것이 인생의 역설이다. 그래서 인생은 선택의 문제이고, 선택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되돌릴 수 없을 뿐이다. 바다에 돌을 떨어뜨리는 것처럼.
_ 제임스 설터, 『가벼운 나날』
그래서 침묵이 강요된 이 시간 동안, 나는 일종의 일기 같은 것을 쓰기 시작하고, 심지어는 아무도 읽지 못하게끔 비밀 문자를 만들기도 한다. 나는 일기에 나의 불행, 나의 고통, 나의 슬픔, 나를 밤마다 침대에서 소리 죽여 울게 만드는 모든 것들을 적는다.
_ 아고타 크리스토프, 『문맹』
손님 : 혹시 직업에 대해 설명한 책이 있나요? 딸한테 동기 부여를 해주고 싶어요.
직원 : 아, 따님이 입시를 앞두고 있나요?
손님 : 아니요, 아직요. 우리 딸 저기 있네. 우리 공주님? 이리 와봐. (네 살 배기 아이가 온다) 우리 딸, 여기 친절한 언니랑 잠깐 얘기하고 있어. 나는 어떻게 의사나 과학자가 되는지 알려주는 책을 찾아보고 올게. 너도 의사나 과학자 괜찮지?
(아이는 아무 말도 없다)
(직원에게) 금방 갔다 올게요.
(손님은 논픽션 서가로 간다)
직원 : 이름이 뭐니?
아이 : 세라요.
직원 : 세라? 이름 예쁘다.
아이 : 고맙습니다.
직원 : 세라, 이다음에 크면 뭐가 되고 싶어?
아이 : ...꿀벌요.
직원 : 참 멋진 꿈이구나.
_ 젠 캠벨, 『그런 책은 없는데요』
2
오은의 시를 읽으며, 이 사람은 천재적인 데가 있구나, 하고 느꼈던 적이 많다. 성 농담과 쌍벽을 이루며 아재 개그의 영토를 크게 양분한다고 알려진 ‘글자 조작’(말장난?)의 미학을 최대치까지 밀어붙여 시로 만드는 쉽지 않은 재능이랄까. 이런 걸로도 시가 되는구나, 대단하구나, 생각하게 하는 시가 그의 시집 속에는 많았다. 그런데 그러다가도 갑자기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어정쩡한 시가 툭 튀어나오기도 했다. 바로 이런 거.
어젯밤 꿈에는 네가 나왔다. “잘 지내?”라고 차마 묻지 못했다. “잘 지내”라고 서슴없이 대답할까봐. 누구보다 네가 잘 지내기를 바라면서도 나는 이렇게나 나쁘다. 꿈속에서도 나아지지 않는다.
_ 오은 詩, 「표리부동」전문
syo가 나이 열다섯에 저런 글을 써서 블로그에 올리고 그날 일기에 “오늘도 한 편의 시를 썼다.” 라고 기록하곤 했다. 아, 흑역사.
혹시 syo가 뭔가를 똑바로 읽어내지 못하고 있는 걸까? 그래도 무려 오은인데. 어쩌면 저 안에 뭔가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 오래 곱씹어 읽으면 그제야 보이는 뭔가가?
만약 그런 게 있다면, 그렇게 오래 곱씹어 비로소 저 시가 아름답게 된다면, 그때 저건 오은의 시가 아니라 오은 반, syo 반, 반반시가 되는 것은 아닐까?
3
하지만 서점에서의 현실은 다르다. 전부는 아니라 하더라도 평론가들이 열광적으로 논평한 대부분의 책들은 몇 달 동안 먼지가 쌓인 채 서가에 꽂혀 있다가 결국 휴지조각으로 전락해버리는 반면, 미처 평가도 받지 못하고, 토론이나 추천의 대상도 되지 못했던 그 밖의 다른 책들은 순식간에 팔려나간다. 문득 나는 이런 책들에 관심을 쏟아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처음에는 정말 제대로 된 리뷰를 써보겠노라 결심했었다. 각각의 작품들을 문예사조에 따라 분류하고, 책의 성격이나 경향을 규정하고, 이 책이 다른 책보다 나은지 못한지 독자가 냉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내가 리뷰를 쓸 줄 모른다는 걸, 게다가 그다지 쓰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본질적으로 나는 독자로, 아마추어로, 그리고 뭔가의 가치를 끊임없이 평가하지 않아도 되는 단순한 애호가로 머물길 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_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읽거나 말거나』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해 줘서 고맙고, 무려 쉼보르스카와 같은 이야기를 하게 되서 영광이다.
도대체 서평이라는 것은 어디까지 쓰고 어디부터는 안 써야 하는 물건인지를 고민하던 시절이 잠깐 있었다. 잠깐인 이유는, 통용되는 의미로서의 ‘서평’ 장르가 요구하는 함량을 채울 역량이 애당초 syo에게 없었음을 금방 깨달았기 때문이다. 지금은 그런 고민을 1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전히 잘 된 서평은 그 솜씨가 부럽고, 부럽다보면 가질 수는 없더라도 알기라도 하고 싶어서 꼼꼼히 읽게 된다.
쉼보르스카의 이 서평집은 한 편 한 편의 분량으로 미루어보건대, 아마도 syo가 도달할 수 있는 한계치에 가까운 서평의 원형이라고 봐도 되겠다. 꼼꼼히 읽고, 어차피 서평인 듯 서평 아닌 서평 같은 것들만 쓸 팔자라면 이렇게라도 쓰고 싶다.
반면 이명현 선생님의 이 서평집은 서평에 과문한 syo의 입장에서는 논문급이다. 학위 드리고 싶은 심정이다. 있으시겠지만. 과한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상세하고 친절하며 그 와중에 다정하다. 오죽하면 이명현의 서평을 읽으면 원전을 읽은 것 같은 착각이 드니 읽지 말라는 말이 추천사로 붙었을까.
-- 읽은 --





이명현, 『이명현의 과학책방』
이영문, 『고인돌, 역사가 되다』
박병상, 『어쩌면 가장 중요한 이야기』
역사미스터리클럽, 『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세계사 명장면』
오은, 『왼손은 마음이 아파』
-- 읽는 --





데이브 레비턴, 『과학 같은 소리 하네』
월터 앨버레즈,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
기시미 이치로, 『마흔에게』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읽거나 말거나』
김상현, 『이성의 운명에 대한 고백 순수 이성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