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ft Boy
1
남쪽 바다에는 별이 많아서, 우리는 얇은 이불을 두르고 테라스에 나가 두 몸을 최대한 포개고 서서 한참동안 별을 셌다. 별을 세는 손가락이 뭉툭하여, 또 우리처럼 별들이 서로 너무 가까이 붙어서, 혹은 좀 셀만 하다 싶으면 잠깐씩 입을 맞추느라, 우리는 세고, 세고, 자꾸만 새로 세야 했다. 별을 세느라 밤을 새겠구나, 우리는 오들오들 떨면서도 킥킥 웃었다. 그날 그 바다에서도 나는 왼쪽에, 당신은 오른쪽에 서 있었다. 그랬을 것이다.
우리는 잘 때도 그렇게 잔다. 천장을 바라보고 나는 왼쪽에, 당신은 오른쪽에. 나는 왼손잡이고 당신은 오른손잡이라서 우리는 행복하다. 내 오른손이 당신의 왼손을 잡으면, 우리는 그 손을 놓지 않고도 나란히 앉아 밥을 먹는다. 당신의 왼손이 내 오른손을 잡으면, 우리는 그 손을 놓지 않고도 나란히 앉아 공부를 한다. 이런 행복 만만한 포지션이 발명되었던 첫 밤이 언제였는지를 정확히 기억한다. 당신에게 오른손을 내주고도 내가 잘 쓰는 왼손은 자유로웠으니까. 잠이 든 당신 쪽으로 슬며시 몸을 돌리면 당신의 곤한 잠을 헝클지 않고도 머리를 쓸어줄 수 있었으니까. 새벽이 밀물처럼 밀려왔다가 다시 썰물이 되어 돌아갈 때까지 지치지 않고 당신의 어깨를 토닥거리거나, 당신이 자꾸만 걷어 치우는 이불을 끌어올려 주거나, 장난스럽게 당신의 허리를 간질여 당신이 꾸는 꿈을 간질일 수도 있었으니까. 당신은 오른쪽, 나는 왼쪽. 그 밤에 그랬으니까 우리는 오늘도 내일도 그렇게 잔다. 그 밤에 그랬으니까. 오늘도 역시 그럴 것이고, 내일도 계속 그럴 것이니까.
그날 남쪽 바다 섬의 테라스에서도, 나는 강한 왼손으로 별을 가리키면서 약한 오른손을 당신에게 맡겨놓았을 것이다. 내가 강한 왼손으로 별을 세고, 당신이 강한 오른손으로 이불의 귀퉁이를 쥐고 있는 동안, 내 약한 오른손과 당신의 약한 왼손이 만나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었을 것이다. 그 안에서 약한 손들은 자기들끼리 힘을 모아 강해지기도 했겠다. 그러다 얼마 못가 알아챘을 것이다. 강하거나 약하거나 그런 것 따윈 아무래도 상관없겠구나, 이내 깨달았을 것이다.
당신이 가장 열렬히 사랑했던 대상을 생각해보라, 어느 정도까지 그 사랑이 당신의 인생행로에 영향을 미쳤는가? 아직도 그것이 중요하다면 어느 정도까지 그 사랑이 당신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는가? 당신의 내면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쳤는가? 한 사람, 국가, 이상에 대한 사랑이 당신의 삶, 가치, 습관을 변화시켰는가? 그 사랑이 없었다면 당신은 어떤 사람이 되었을까? 지금과 다른 사람이 되었을까?
_ 발타자르 토마스, 『비참한 날엔 스피노자』 36쪽
2
문학에서는 무엇보다도 문장의 아름다움과 언어의 고상함, 특이하고 진귀하며 정선된 표현, 깊고 무거운 은유 같은 것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은 다릅니다.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상황과 경험을 서술하는 언어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 정확하며 어느 것에도 수그리거나 타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정확함을 향해 노력하다 보면 희귀하고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내 삶에서 가장 큰 비극은 다른 여느 비극과 마찬가지로 운명의 아이러니다. 나는 지옥을 거부하는 것처럼 진정한 삶을 거부한다. 나는 무례한 해방을 거부하는 것처럼 꿈을 거부한다. 그러나 나는 실제 삶의 더러움과 지루함을 살아간다. 그리고 꿈의 강렬함과 집요함을 살아간다. 나는 시에스타에 술을 들이켜는 노예와 같다. 유일한 몸뚱이에 두 배의 비참함을 진다." 페르난두 페소아의 글(<불안의 책>, 16장)입니다.
_ 페터 비에리, 『페터 비에리의 교양 수업』 63-64쪽
첫째. 근래 페소아의 시집 3권이 일제히 번역되어 나왔다. 그 3권은 모두 페소아 전도사라는 점에서 보면 한국의 타부키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김한민 선생님의 노고다. 거의 원맨쇼 수준의 활약 중이시다.
둘째. 그리고 어제 서재 친구 설해목님이, 페소아가 썼건 아니건 국내에 발간된 페소아에 관한 거의 모든 책들을 쌓아놓은 사진을 올리셨다. 페소아 좋은 거야 진작에 주워들어서 알았지만, 사진으로 보면 이게 또 뽐뿌가 장난이 아닌거라.
셋째. 그런데, syo 역시 최근 알라딘 중고서점에 대량의 책을 판매하고 쌓아둔 적립금으로, 페소아의 이런 저런 책들을 일괄 구매하여 배송을 기다린 상태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런 와중에 뜻밖에도 저런 대목을 만난 것이다. 물론, 페터 비에리가 『리스본행 야간열차』를 쓴 "파스칼 메르시어"와 동일인물이라는 걸 고려한다면 그의 다른 책에 페소아의 이야기가 나오는 것을 온전히 뜻밖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쨌든 그렇다면 페소아지. 페소아기는 페소아겠는데...... 될까? 『불안의 책』만 해도 발간과 동시에 구매했으나 3년째 지금 책장에서..... 가끔씩 책장 밖으로 나오긴 했지만......






3
롤스는 다른 기본적 자유도 양심의 자유를 일반화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기본적인 물질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물질적 이득에 대한 관심보다 자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해지므로 자유의 절대적 우선성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롤스는 경제적·사회적 가치의 한계 효용은 감소하는 반면 자유의 한계 가치는 점증한다고 보며 이 두 한계 효용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부터 자유 우선을 요구하는 특수한 정의관이 적용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_ 황경식, 『존 롤스 정의론』 94쪽
그러니까 기본소득.
어제 오늘은 어쩐지 기(승전)본소득 구도로구만. 안녕하세요, 기본소득성애자 syo입니다.......




어제랑 다른 책들
-- 읽은 --


황경식, 『존 롤스 정의론』
페터 비에리, 『페터 비에리의 교양 수업』
-- 읽는 --






폴 록하트, 『숫자 갖고 놀고 있네』
발타자르 토마스, 『비참한 날엔 스피노자』
에이모 토울스, 『모스크바의 신사』
김한민, 『페소아』
페르난두 페소아, 『시는 내가 홀로 있는 방식』
존 조던, 『로봇 수업』
-- 이런저런 방식으로 오늘 만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