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1/pimg_7716301333766480.jpg)
페미니즘 비평과 이론 (여성주의책같이읽기 1월책)
톰 아저씨의 오두막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
의심의 소녀 (김명순)
소금 (강경애)
그림책은
삶은 달걀과 감자와 호박
빼떼기
이렇게 완독했다.
삶은 달걀과 감자와 호박 같은 책은 힐링.
(조금 말이 억지스러운 곳도 있지만)
<제2의 성>을 읽고 있고 (그저께 2권으로 넘어감)
3월에는 <제2의 성>을 끝낼 수 있길.
글쓰기 책은 얇은데 진도가 영 안나간다..
공감은 하고 있고, 하루 15분씩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찾아 논문을 쓰고 있다.
(15분만 쓰라는 건 아닐텐데)
그런데 내가 가장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나는 알라딘 서재에서 보내고 있더라.. 그것이 문제였다.
3월에는 이 두 책을 마저 읽고
나혜석 <경희>
박화성 <하수도 공사>
같은 모임에서 (한국 여성문학 읽기)
박경리 <전도>
강신재 <해방촌 가는 길>
오정희 <중국인 거리>
박완서 <엄마의 말뚝>
읽고
이걸 빼먹었네. 이것도 북클럽 책이고... (역시 북클럽 정리가 필요하다)
정치에 좀더 관심을 가져야겠다 싶어서
리뷰대회 도전하려면 <사나운 애착>도 읽어야 해서
일단 계획은 여기까지만.
요즘은 소설을 너무 많이 읽어서 비소설을 읽고 싶은데, 읽고는 있는데 그 비소설들이 하나는 너무 두껍고 하나는 너무 재미가 없다..
읽어야 할 책들에 밀려 순간순간 읽고 싶은 마음이 드는 책들을 외면해야 하는 게 맘에 걸린다.
혹시 모르니 여성주의같이읽기책 한 권 더 넣어본다.
3월엔 적게 사고 많이 읽자.. (한 권만 사자는 말 차마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