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안짱 - 산하어린이 144
야스모토 스에코 (지은이), 허구(그림), 조영경 (옮긴이) | 산하
정 가 : 8,500원
출간일 : 2005-10-10 | ISBN : 8976503023
반양장본 | 234쪽 | 223*152mm (A5신)
올해 설날에 조카에게 줄 책을 고르려고 오프라인 서점에 갔다가 발견한 책입니다.
산 날 바로 다 읽어버리고 조카에게 주었는데,
나도 꼭 한 권 갖고 싶어서 알라딘에서 다시 샀습니다.
아니 그런데 알라딘에 이 책에 관한 리뷰도 페이퍼도 전혀 없지 뭡니까!
뭐야, 이렇게 좋은 책이 왜 묻혀 있는 거야!
[니안짱]은 동화나 소설이 아니고, 실존했던 어린이의 일기입니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바로 그 일본 땅에 남아 살아가야 했던
조선인 네 남매의 막내가 쓴 일기를 추려서 모은 책입니다.
어머니는 일찍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이 일기를 쓴 스에코(末子)가
소학교 3학년이던 1952년 12월경에 돌아가셨습니다.
이 책은 아버지의 49제 날인 1953년 1월 22일 일기부터 시작됩니다.
‘니안짱’은 ‘작은오빠’란 뜻이지만 원래 일본어에서는 쓰지 않는 표현인데,
스에코가 작은오빠를 이름으로 부르곤 해서 이름 대신 부르기 쉽도록
아버지가 지어준 호칭이라 합니다.
그러나 일기에 작은오빠 이야기만 나오지는 않습니다.
아버지 대신 생계를 짊어져야 했던 큰오빠,
형에게 짐이 되지 않고 저도 한 몫을 하려 들었던, 똑똑하고 다혈질인 작은오빠,
어머니 대신 집안을 돌보고 살림을 책임졌던 언니와
다정하고 씩씩한 스에코, 그리고 스에코의 착한 친구들을 눈앞에서 보는 것 같습니다.
4월 8일 수요일 맑음
점심시간 때 나카타케 치에와 손을 씻으러 갔습니다. 그리고 아무도 없는 틈에
“치에, 나는 도시락 안 먹을 거야.”
하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치에는
“네가 안 먹으면 나도 안 먹을래.”
하고 말했습니다.
“그러면 잠깐 6학년 2반 교실에 갔다 오자.”
나는 그렇게 말하고 교실로 돌아와 책상에서 도시락을 꺼내 들고 작은오빠네 반으로 갔습니다. 하지만 작은오빠는 교실에 없었습니다. 설마 내가 도시락을 가지고 올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하고 나가서 놀고 있는 모양입니다.
내가 배가 고프면, 작은오빠도 배가 고플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남자니까 활발하게 뛰어놀 거고, 게다가 6학년이라 집에 늦게 오니까 나보다 훨씬 더 많이 배가 고플 것입니다. 4학년은 늦어도 3시까지는 집에 가니까 괜찮다고 생각해서 가지고 온 도시락이었습니다.
하지만 작은오빠가 없어서 이런 생각이 모두 소용없게 되자 맥이 탁 풀리고 말았습니다. 모처럼 가지고 왔는데 줄 수 없게 되어, 그대로 집으로 가져와서 언니하고 둘이 나눠 먹었습니다. 둘이서 먹었다고는 해도, 언니는 겨우 두 숟가락 정도밖에 안 먹었습니다.
4월 9일 목요일 맑음
점심시간에 손을 씻고 나서 치에와 고다마에게 같이 가 달라고 해서 오늘도 6학년 2반 교실에 가 보았습니다. 어제는 교실에 없었기 때문에 오늘은 도시락을 들고 가지 않았습니다.
작은오빠가 있는지 없는지 교실 안을 들여다보았지만, 오늘도 없었습니다. 어디에 갔을까 하며 운동장을 둘러보았더니 거기에 있었습니다.
“니안짱!”
하고 부르자, 작은오빠는 바로 알아듣고 내게로 왔습니다.
니안짱은 작은오빠라는 뜻으로, 다카이치 오빠를 말합니다. 아버지가 살아 계셨을 때 내가 다카이치, 하고 이름을 부르니까, 그러면 안 된다면서 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호칭입니다.
“나는 안 먹을 테니까 도시락 가지러 와.”
하고 말하자,
“그런 거 안 먹어. 너나 먹어.”
하며 작은오빠가 화를 냈습니다.
작은오빠야말로 배가 고플 것입니다. 그래도 나를 생각해서 안 먹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작은오빠가 먹지 않았기 때문에, 나도 먹지 않았습니다.
여동생과 오빠가 서로 밥을 양보하고,
또 친구가 안 먹는다고 자기도 안 먹는 아이들.
(저는 배고픈 걸 참지 못하고 식탐이 있어서 먹을 것은 일단 먹고 보는데... ㅠ.ㅠ)
밥을 싸 가지고 달려가서 한 공기씩 먹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