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사회에서 좋아하는 외국어를 하나 익혀 내 나라 말이 아닌 낯선 외국어로 소통을 하고 의사 표현을 하는 걸 로망으로 삼는 건 어떠한가? 시작은 미약하지만 끝은 창대할 수도 있고 반대로 시작은 창대했으나 끝은 미약할 수도 있다. 그 과정은 어느 누구도 쉬이 판단내릴 수 없는 일이고. 인생은 롤러 코스터를 타는 일과 같다. 위로 올라갈 때가 있고 아래로 추락할 때가 있다. 한없이 추락하는가 싶은데 또 위로 치솟는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것이 삶이다. 그렇다면 외국어를 매일 사용하는 삶이란 어떠할까? 내 나라에서 살면서 모국어로 생활을 해도 외국어를 매일 익히면서 살아가는 것 역시 외국어와 함께 하는 인생이다. 반대로 외국에서 살면서 그 나라의 말로 영상을 시청하고 라디오를 듣고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고 동료들과 일을 한다고 해도 퍼뜩 떠오르는 나의 생각과 느낌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건 모국어이고. 여기 모국어와 외국어로 나날들을 이어가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곽미성의 [언어의 위로]의 부제는 다음과 같다. '모국어는 나를 키웠고 외국어는 나를 해방시켰다.' 프랑스 영화에 반해 프랑스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한 한 소녀는 어느덧 나이를 먹어 프랑스 파리에서 일을 하며 살아가고 있고 프랑스인 남자와 함께 살아가며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지만 그 프랑스어는 아직도 그 소녀(이제는 나이를 먹었지만)를 가끔 쩔쩔매게 만든다.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나는 프랑스어 앞에서 쩔쩔매게 될듯 하다고 글쓴이는 이야기한다. 이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다. 1부는 프랑스어가 '삶에 스며드는 과정에 대한 고찰'을 담았고 2부는 프랑스어를 만나 프랑스어를 사용하면서 프랑스어로 자신의 생각과 마음을 표현하는 동안 글쓴이의 '가치관을 흔들고 시야를 확장시킨 순간들에 관한 고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읽는 동안 에세이스트 전혜린이 떠올랐다. 전혜린의 외국어에 대한 강한 애정은 익히 유명하다. 소녀 시절부터 지적인 호기심으로 외국어를 익히기 시작한 전혜린이 겹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낯선 세계에 대한 열망과 모르는 것에 대한 앎의 욕망은 언제나 소녀 시절에 찾아오는 것이기에. 더 알고 싶다, 그 낯선 말을 내 것으로 삼아 내 안에 있는 것들을 표현하고 싶다는 마음 또한 소녀 시절에 시작된다. 그 소녀 시절이 중년의 나이에도 불쑥 겹쳐지기도 하고. 글쓴이는 말한다. 우리 모두는 각자의 고양이를 찾아 탐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그 어느 곳에도 성공과 실패의 잣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주어진 시간은 동일하고 우리는 각자의 다양한 생김새 그대로 자신만의 고양이를 찾아 길을 떠날 뿐이다. 배움은 끝이 없고 그 배움의 활자들이 한국어일 수도 있고 외국어일 수도 있다. 혹은 그 둘 모두일 수도 있고. 외국어에 관심이 있는 그대라면 시간을 내어 읽어보시기를 추천한다. 가볍게 차려입고 보다 더 경쾌하게 내 고양이를 찾아 길을 떠나고 싶어질 수도 있으니.
+ 아가들 대상으로 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