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행복한 임신중지의 가능성을, 가장 좋게 봐서 규범을 위반한 것, 가장 나쁘게 봐서는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만드는가?’ 임신을 원치 않은 여성의 관점에서 임신중지를 바라보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게 해 줄 유일한 수단이 있고 그 수단이 비교적 직접적이며 고통을 주지 않는데도 자꾸만 불행으로 재현된다는 것은 아무래도 터무니없다.
책을 읽고 내용은 정리가 안 되었어도 읽으면서 떠올렸던 과거의 기억을 적어두자 생각해서 끄적인다.
나는 오래도록 독신을 지향했다. 사랑에 대한 감정에 회의적이던데다 결혼이란 제도에 대한 불신이 컸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이전에 한 번 썼던 내용인데 나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스트레스가 컸다. 결혼 이전에도 그랬지만 친정 어머니의 삶을 보면서 나는 결코 아이를 낳지 말아야겠다라고 생각했었다. 아이를 넷 출산한 어머니는 출산 이후 한참을 지나도 육아로 고통을 받으셨기 때문이다. 아이를 넷을 낳아 키운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나는 똑똑히 지켜보았다. 지금보다 더 예전이었던 시절 가부장적인 환경 아래에서 살아온 부모님이 만나 아이를 낳았다. 지금도 공동육아가 현실적으로 어려운데 그때는 오죽했을까. 어머니는 임신 후 10개월을 총 4차례를 겪고 출산 후에는 아이를 키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생업 전선에 나서야 했다. 아버지가 번듯한 직장이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그렇지도 못해서 자영업을 시작한지라 이후에는 하루 밥 벌어서 아이를 키우는 과정이 10년 넘게 이어졌다. 말 그대로 슈퍼맘이었지만 나는 이 용어가 너무 싫다. 왜 슈퍼맘이 되어야만하는가.
임신은 남녀가 함께 해야 이루어지는 것인데 임신과 출산, 임신중지에 대한 고민은 왜 여성들만 하게 되는지 모르겠다. 나는 지금의 남편을 만나기 전에는 열렬한 사랑을 해본 적이 없다. 대부분 짝사랑이었거나 그마저도 뜨거운 감정이 일어나는 사랑은 아니었다. 남편을 만나고 사랑을 하면서 혼전임신에 대한 고민을 비로소 하게 되었다. 고정관념이 강했던 나는 결코 혼전임신을 해서는 안된다는 주의였다. 잘못 했다가는 피곤해진다는 생각이 강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혼전임신이 잘못인 것은 아니다. 사랑해서 낳은 결실이 결혼 전이라고 스스로 책잡힌다고 생각하게 되는 씁쓸한 현실.
결혼을 하고 나서는 초반에 임신에 대한 시할머니의 압박이 심했다. 한 날은 명절에 한 번 갔다가 "아이를 낳아야 효도지."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용돈과 선물을 드리는 것, 다정한 말로 안부를 묻는 것은 효도가 아닌건가 싶어 좌절감이 일었다. 시간이 좀 지나니 친정 부모님께서 스트레스를 주셨다. "아이는 반드시 낳아야 한다."라고 하시는데 이해가 되지 않았다. 특히 어머니. 본인이 그렇게 고생을 하셨으면서 내게 아이를 낳아 키우라는 게 말이 되나? 이제는 자연스럽게 내 몸이 노화가 되어 임신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서 더 이상 말을 해도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아신 모양인지 말씀하시지 않지만 그럼에도 그 때를 생각하면 서운함이 밀려온다.
임신중지에 대한 고정관념은 여성의 경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이야기한다는 저자의 말이 무엇보다 공감되었다. 또 임신한 여성을 아이의 어머니로 고정시켜 임신중지는 잘못되었고 해로운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에게 비판을 가한다. 여성들이 임신과 임신중지라는 경험을 겪으며 느끼는 온갖 불평등의 상황은 분노해야 하는 게 맞고 트라우마를 비롯한 부정적 감정은 느끼지 않아도 될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