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란 非存在의 힘, 즉 궁극적 허무, 철저한 무의미, 그리고 영원한 죽음이라는
인간의 어쩔 수 없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긍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용감한 사람은 자아 긍정을 통하여 비존재에 대한 불안을 자기 자신이 짊어진다.
-폴 틸리히 <존재에의 용기/ Courage to be> 중
십몇 년전, 현대문학인지 문학사상을 읽다가 '폴 틸리히의 <존재에의 용기>를 읽고
절망의 끝에서 용기를 얻었다'는 시인 원재길의 글이 눈에 띄었습니다.
흥분하여 당장 서점에 알아보았더니 절판, 출판사에 전화를 했더니 어디 창고에 한 권쯤
있을지 모르겠다고 답변하는 걸 기다리지 못하고 퇴근 후 무작정 버스를 탔답니다.
마포구 구수동의 한 출판사였는데 뺑뺑이 돌다가 결국 못 찾고(제가 길치입니다!)
근처의 허름한 생맥주집에 들어가 맥주만 벌컥벌컥 한잔 마시고 나왔지요.
어느 시골 장터의 술집 같은 곳이라 혼자 앉아서도 별로 불안하지 않았답니다.
어제 갑자기 생각나서 검색해 보니 <존재의 용기>란 제목으로 2004년에 책이 출간되었네요.
2006년 저의 첫 주문 책은 당연히 <존재의 용기>입니다.
혼자 비실비실 돌아다니던 그때가 울컥 그리워질 때가 있습니다.
참, 생각나는 일화도 하나.
1990년대 중반, 불발로 끝났지만 무슨무슨 문학 행사 준비 관계로 프라자호텔 한식당에
사람들이 모였는데 이상희 시인도 그 중 한 명이었습니다.
'한국의 아누크 에메'라고 김영태 시인이 말했잖아요.
그는 바로 원재길 시인의 아내였어요.
<존재에의 용기>라는 책을 혹시 책꽂이에서 본 적이 있냐고 묻고 싶은데 입이 안 떨어져
달싹이다가 결국 밥을 코로 먹었는지 어디로 먹었는지도 모르게 그 시간이 끝나고 말았습니다.
열심히 갈비찜을 뜯던 주둥이로 '존재에의 용기'라는 말을 꺼내는 게
그렇게 어색하게 느껴질 수가 없더라고요.
그런데 그때도 '존재에의 용기'가 그토록 간절히 필요했나 봅니다.
신기하지 않으세요?
'존재'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도, 별로 깊이 고민하지도 않고 살고 있는데 저 책이 뚝 떨어진 것.
지금도 저 책은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인가 봅니다.
사는 데 용기가 필요한 것도 10년 전이나 20년 전이나 다를 바 없고요.
읽지도 않는 책을 마구 사들이고, 허구헌날 알라딘 방에서 죽치고.
방만한 한 해로 올해가 정리됩니다.
내년엔 좀 다르게 살아야 할 텐데 어찌 될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