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학교 보내고 읽던 시집을 읽고 내일 모레 제출할 숙제에 대해 생각해보려고했다. 아이들 돌아오기 전까지 푹 쉬면서 여유를 부리는 것, 그게 가장 중요한 오늘의 할일이다.
그런데 자꾸만 할일이 생긴다. 엊그제 사온 나물을 삶아 찬물에 담가두고 벌써 한두달전에 떨어진 깨를 볶았다.
늘 엄마나 시어머니께서 볶아주던 깨를 받아 먹었던지라 깨를 어떻게 볶는줄도 몰랐다.
몇년전 ˝넌 나이 마흔이 넘도록 깨도 볶을줄 모르냐˝하던 친정엄마의 타박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냥 볶으면 되는줄 알고 볶았다가 어느날 깨가 들어간 음식마다 돌이 씹혀 고생했던 기억도 떠오른다. 깨를 어떻게 볶아야하는지 제대로 배워본적이 없었다. 그저 살림이란 두리뭉실 얼렁뚱땅 되는줄로만 알았던 무식함 그 자체였다. 깨가 잘 볶아지는 타이밍은 타닥타닥 튀어오를때라는데 정말 그때가 되면 고소한 냄새가 퍼진다.

오늘은 어제 하루와 다르게 얼마만에 느껴보는 여유인지 모르겠다. 남편은 전화를 걸어 ˝밥은 먹었어? 잘 쉬었어?˝하고 마지막 끊을때도 ˝그럼 푹 쉬고 있어!˝한다.
푹 쉬기위해 책 한권 펼쳐들었다.
목소리가 매력적인 ss님이 건네준 <세상 끝에 살고 싶은 섬 하나>를 읽는다.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추크섬에 머문 김도헌님의 글을 읽으며 섬생활을 들여다본다. 하지만 난 고립된 삶을 원하지 않으니 아무리 바다가 좋아도 섬에서 살고 싶지는 않다. 가끔 찾아가 해풍을 맞고 파도소리 듣는 것은 좋지만 말이다.
아이들 오기 몇시간전, 아직 여유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베란다 정리 좀 해야할 것 같다. 겨우네 쌓아놓은 것들을 치워야겠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6-03-22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정한 남편분과 꿈섬님의 깨볶는 냄새가 여기까지 나는 것 같아요. 으히히,
부러워요~~~~~~^^

꿈꾸는섬 2016-03-22 16:34   좋아요 0 | URL
다정한 남편을 둔건 확실해요. 그런데 우리둘이 깨를 볶지 않아요.ㅎㅎ
그러니 부러울게 없어요.ㅜㅜ
이제 점점 숙제를 어쩌나하고 있어요. 시꼴도 못갖췄으니 어쩌죠?

수이 2016-03-22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도 깨 볶을 줄 몰라유~ 깨 볶을 때 정성스럽게 볶아야 하는데 저는 건성으로 해서 친정엄마, 시엄마가 속 터져서 이젠 안 시켜요~ 근데 남편의 안부전화라니~ 울서방은 내가 밤새도록 술 퍼마셔도 전화 한통 없는데;;;; 단발머리님 말씀이 맞는걸요. :)

꿈꾸는섬 2016-03-22 17:25   좋아요 0 | URL
ㅎㅎ나도 마흔넘어 배웠으니 야나님은 아직 괜찮은 듯~^^
울 다정한 남편의 안부전화
가 때론 다르게 느껴진다는~^^

2016-03-22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물이 넘 많아~~~~~유~~~~♥

꿈꾸는섬 2016-03-22 17:26   좋아요 0 | URL
ㅎㅎㅎ취나물은 모두 볶을거고 곤드레는 반은 남겼다가 밥할거에요. 시간있을때 불려놓는게 편해서요.
울 아들 딸이 나물을 엄청 좋아해서 며칠을 못가요.

프레이야 2016-03-22 2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고소한 냄새^^

꿈꾸는섬 2016-03-22 20:50   좋아요 0 | URL
ㅎㅎㅎ오늘 깨 좀 볶았어요. 게으른 주부에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