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어가 있다 4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 팀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6년 9월
평점 :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처음 시작했을 때, 딴엔 사투리를 거의 안쓴다고 생각했지만, 꼭 지적받는 말이 있었다. 서울 사람들은 "목요일" "월요일" 또박또박 발음하지 않는다며, "모교일, 워요일" 이렇게 발음한단다. 이것도 본음과 속음으로 설명되는 거였겠지?
P55 유월을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부르는 이유: 한자어는 본음으로도, 속음으로도 발음한다. 속음은 본음과 달리 일반 사회에서 널리 쓰는
음을 뜻한다. 유월을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십월을 ‘시월’로, 초팔일을 ‘초파일’로
읽는 것이 대표적이다.
여운을 남긴다라는 말을 정말 많이 썼는데, 앞으로는 오랜 여운을 주었다 혹은 긴 울림을 남겼다 등으로 써야 겠다.
P111 여운을 남기다는 겹말
P163 벨크로테이프 우리말은 ‘찍찍이’
하루야채라는 상표가 있는데, 아무래도 하루채소보다 하루야채라고 하는 것이 더 입에 붙어서 그렇겠지? 그래도 야채가 일본식 한자어였음을 안 이상, 슈퍼에서 이 상표를 보면 눈에 좀 거슬릴 것 같다.
P235 야채는 일본식 한자어이고, 우리말은 채소다.
채소보다는 ‘남새’ ‘푸성귀’ 등 순 우리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