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지독한 사랑에 빠지다 - 여행의 재발견 02
조희섭.엠레 잔 지음 / 위캔북스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터키 여행을 계획하며 읽은 책.

이스탄불의 유적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역사의 부분부분을 알아 좋았는데, 사실 사진와 매칭이 잘 안되고 사진 아래 작은 글씨로 설명도 없어서 이게 이건지 저제 저건지 좀 애매한 것들이 있었다.

 

술탄 슐레이만와 하렘의 사랑 이야기에서 톱카프 궁전이 궁금해 지긴 한다.

또한 오스만 제국의 독특한 왕위 계승 방식이 놀랍다. 오로지 능력만으로!

P55 술판이 결혼을 하지 않음으로써 술탄의 아들들 사이에는 적서의 구분이 없게 되고, 오로지 그 능력으로만 후계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받게 된다. 누구든 나라를 통치할 능력만 있으면 나이나 어머니의 출신과는무관하게 술판의 지위를 물려받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이번 여행 페티예에 들려 꼭 패러글라이딩을 할 계획인데,

P177 만약 패러글라이딩을 하게 될 경우 직접 그의(헥토르)의 사무실을 찾아가서 흥정하는 것이 제일 싸다.

요런 깨알 정보에 감사~ ^^

 

여행 갈거라고, 여기 저기 유투부에 여행 관련 동영상도 찾아 보고 있는데 카파도키아를 종교 박해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만들어 놓은 곳이라는소개가 있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P210 사실 카파도키아의 지하 도시 역사는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응회암과 용암층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기암괴석에 동굴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날씨와 짐승들을 피해 이곳에 살기 시작했던 것이다. 기독교인들은 그렇게 이미 만들어져 있던 지하 도시를 이용해 자신들의신앙을 지켰다.

 

비행기를 예약할 때 아타튀르크 공항이라고 되어 있어 이 이름은 왜 그런가 궁금했었는데, 아타튀르크 인물 설명도 잘 되어 있고, 특히나 오르한 파묵에 대한 설명은 첨 접했다. 터키에 관한 다음 책으로 내 이름은 빨강을 읽어볼 계획이었는데 오르한 파묵이 이스탄불을 뼛속까지 사랑한 작가라는 말만 알고 있었지 실제 터키인들의 미움을 받는 지는...  그것도 아르메니아 대학살 발언때문에. 사실 우리로 치자면 독도는 일본땅 이렇게 말해보린 사람이 아닌가. 어쨌든 노벨 문학상을 받은 사람이니 어디 한번 그의 작품을 읽어보기로. 정말 작품으로 인정할 만한지, 아니면 진짜 작품은 별론데 정치적인 쇼로 받게 된 상이었는지.

 

나도 터키와 사랑에 빠질 수 있을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