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 모임
백영옥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 마음에 들었다. 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모임이라...  곧 이런 모임이 정말 만들어 지지 않을까?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어도 좋겠다 싶은 그런 소설이다.

헤어지고 나면 혼자 있는 집이 싫어서, 혼자 있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프렌차이즈 커피숍에 가서 앉아 있었던 때가 생각났다. 같이 밥 먹얼 줄 사람. 실연한 사람들에게 필요하다. 같이 밥 먹고, 영화를 보고, 그리고 헤어진 상대방을 생각나게 하는 물건들을 처리해 주는.

 

예전 공지영씨의 글 속에 잘 이별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을 만나라는 말이 나오는 데, 이 소설에선 성인다운 세련된 이별이 묘사되고 있다. 유부남을 사랑한 사강이 일 년동안 슬픔에도 못헤어나오지 만, 당당하고 떳떳하고 그 앞에서 인사를 하고 손을 흔들며 떠나보낸다. 지훈과 현정 역시, 질척거리지 않고, 현정이 좋아할 사진을 건네주며. 첨엔 다들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슬퍼하지만 ,그래서 트위터에 뜬 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모임에 참석하게 되지만, 결국 그 아픔을 극복하고 한층 성숙해지는 결말. 작가의 의도를 알 것 같다. 사랑에 빠지고, 그 사랑이 끝나는 아픔이 있지만, 그래서 아침 눈을 떴을 때 혼자 있기 힘든 시간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을 잘 극복해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사랑과 만날 수 있다. 뭐 그런.

 

작가는 어쩜 이렇게 연애에 관한 심리 묘사를 잘 할까?

-연애는 질문이고, 누군가의 일상을 캐묻는 일이고, 취향과 가치관을 집요하게 나누는 일이에요.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죽도록 시간을 많이 걸리는 일, 우연히 벌어지는 환상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철저한 노동을 필요로 하는 일, 그게 제가 알고 있는 연애예요.

-영원히 끝나지 않는 연애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성숙한 어른들의 언어인 침묵의 진짜 의미를 아프게 배워나간다.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이 늘어날 때마다, 보일 리 없는 것들이 보일 때마다, 우리가 아주 조금씩 성장해가는 것처럼.

-모든 연애에는 마지막이 필요하고, 끝내 찍어야 할 마침표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고마워'로 시작하는 사랑보단 '고마워'로 끝나는 사랑 쪽이 언제나 더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